시험전 이거 한번만 아니 반번만이라도 봤으면.. 아니 2.28이라는 단어 하나만 들었더라도 쉽게 풀 수 있었을 문제를 틀려서 더욱 아쉽습니다..
---------------------------------------------------------------
2.28 학생 민주 의거는 이승만의 자유당 독재정권의 횡포와 부패, 실정이 절정을 이루고 국민들의 생활이 “못살겠다 갈아보자”고 할 만큼 빈곤과 불법적 인권유린이 극에 달한 상황에서 일어난 민주적 저항운동이었다. 당시 자유당 정부는 영구집권을 위한 개헌을 했고 60년 3월 15일 정부통령 선거를 맞아 부정선거로 집권을 연장할 것을 기도했다.
그에 따라 온갖 악행을 자행하는 가운데 언론과 야당의 탄압은 말할 것도 없고 막걸리와 고무신으로 매표공작을 벌였는가 하면 투표장과 개표장에선 사전투표·대리투표·피아노표 등 부정투개표로 민의를 조작했다.이같은 자유당의 장기 집권을 위한 부정 음모가 진행되면서 정부통령 선거운동이 막바지에 이르렀던 60년 2월 28일 대구 시내 수성천변에서 야당의 부통령 후보인 장면(張勉)박사의 선거 연설회가 계획되었다.
이 때문에 일요일인 그날의 수성천변 유세는 대구 시민들은 말할 것도 없고 전국의 이목이 집중돼 자유당 정권의 감시에도 불구하고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됐다. 선거의 패배를 예감한 자유당 정부는 이성을 잃고 고교생인 어린 학생들이 유세장으로 몰릴 것을 우려한 나머지 대구 시내 공립 고등학교에 일요 등교를 지시했고 학교 당국은 온갖 핑계로 일요 등교를 강행했다. 어린 학생들마저 정치도구로 희생시키려 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자유당 정권의 간계를 간파한 학생들은 불의에 몸을 떨었고 그날 학교에 모인 학생들은 당국의 지시에 따르지 않고 이같은 자유당의 불의와 부정을 규탄하는 집회로 바꾸어 궐기했고 교사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학교를 뛰쳐나왔다. 당시 인구가 밀집했던 중앙통을 거쳐 경북도청과 대구시청, 자유당 경북도당사, 경북지사 관사 등을 돌며 자유당 정권의 악행을 규탄했다. 숱한 학생들이 경찰에 연행되어 고통을 받았고 교사들도 모진 책임추궁을 받았다.
엄벌을 계획했던 정부 당국은 국민들의 분노에 처벌을 완화했고 독재에 움츠렸던 언론도 마침내 2.28학생의거를 보도함으로써 전국의 학생들이 잇따라 궐기하고 시위에 나섰다. 당시 야당도 함부로 나서지 못했고 어른들도 말못했던 공포 분위기를 어린 학생들이 처음으로 흔들어 놓은 것이다. 학생들이 처음으로 자발적이고 민주적인 의사표시를 한 것이며 대구 시민들도 도피 학생들을 숨겨주는 등 뜨거운 성원을 아끼지 않았던 것이다.
2.28의거는 광야를 태우는 한알의 불씨가 되어 들불처럼 번져갔고 3.15 마산의거, 4.19 대학생시위, 4.26 이승만대통령 하야로 이어져 마침내 독재정권을 무너뜨리고 이나라 최초의 민권 민주주의 혁명을 완수했다. 2.28대구학생 민주의거는 가난과 독재, 불의와 부정에 항거한 대구 시민정신의 표출이었고 해방과 더불어 수입한 서양식 민주주의의 한국판을 선구한 사건이었다.
출처: 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