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번호 |
영역 |
과목 예시 |
대학의 영역별 필수이수학점 |
대학원의 영역별 필수이수학점 |
한국어교원 양성 과정 필수이수시간 | |
주전공 또는 복수전공 |
부전공 | |||||
1 |
한국어학 |
국어학개론 한국어음운론 한국어문법론 한국어어휘론 한국어의미론 한국어화용론 한국어사 한국어어문규범 등 |
6학점 |
3학점 |
3~4학점 |
30시간 |
2 |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
응용언어학 언어학개론 대조언어학 사회언어학 심리언어학 외국어습득론 등 |
6학점 |
3학점 |
12시간 | |
3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
한국어교육개론 한국어교육과정론 한국어평가론 언어교수이론 한국어표현교육법(말하기, 쓰기) 한국어이해교육법(듣기, 읽기) 한국어발음교육론 한국어문법교육론 한국어어휘교육론 한국어교재론 한국문화교육론 한국어한자교육론 한국어교육정책론 한국어번역론 등 |
24학점 |
9학점 |
9~10학점 |
46시간 |
4 |
한국 문화 |
한국민속학 한국의 현대문화 한국의 전통문화 한국문학개론 전통문화현장실습 한국현대문화비평 현대한국사회 한국문학의 이해 등 |
6학점 |
3학점 |
2~3학점 |
12시간 |
5 |
한국어 교육 실습 |
강의 참관 모의 수업 강의 실습 등 |
3학점 |
3학점 |
2~3학점 |
20시간 |
|
합계 |
|
45학점 |
21학점 |
18학점 |
120시간 |
2. 시험 개요
시험은 필기시험과 면접시험으로 구성되며,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한해서 면접시험의 기회가 부여(개별 통지)된다.
[필기 시험]
객관식 문제는 1문항에 1.5점, 주관식 문제는 1문항에 3점 만점이다. 주관식 문제는 채점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부분 점수를 인정한다.
교시 |
영역 |
문항 수 |
배점 | |
객관식 |
주관식 | |||
1교시 |
한국어학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
54 20 |
3 0 |
90점 30점 |
2교시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한국 문화 |
92 20 |
4 0 |
150점 30점 |
계 |
|
186 |
7 |
300점 |
[면접 시험]
면접시험은 교안 작성과 구술시험으로 나누어진다. 교안을 작성할 단원과 문법은 시험 당일 제시되며, 구술 시험은 응시자가 작성·제출한 수업지도안 관련 내용 질의, 기타 한국어 교사의 태도 및 교사상, 교사의 적성 및 교직관, 인격 및 소양, 한국어 능력 평가 등을 한다. 면접 시험에서 최종적인 합격과 불합격을 판정한다.
[시험 장소]
시험장소는 시험 접수 후 추후 공지되며, 광역시별로 분산 실시된다.
[시험 응시 자격]
자격 제한은 없으며, 시험 전 교사양성과정(120시간)을 이수해야 한다.
[합격 기준]
필기시험에서 각 영역의 40퍼센트 이상, 전 영역 평균 60퍼센트 이상 득점하고 면접 시험에 합격한 자로 한다.
[원서 접수 방법]
가. 접수 방법
▸방문 접수: 재단 사무실(9:00~18:00)
※단, 토·일요일은 접수기간에서 제외.
▸우편 접수: 접수 마감일자 우체국 소인분까지 유효.
▸온라인 접수: www.glokorean.org
나. 원서 교부
▸방문 및 우편 접수: 재단 홈페이지에서 응시 원서 파일 내려받기
▸온라인 접수: 재단 홈페이지 접속 후 접수 절차에 따라 진행
다. 응시료: 30,000원
※ 우편 접수 시, 무통장 입금 후 아래의 계좌로 입금 증 사본 동봉.
은행이름: 신한은행 / 계좌번호: 233-05-010065 / 예금주: 한국어세계화재단
[제출 서류]
응시 원서 1부
[기타 사항]
가. 제출된 응시 원서는 반환하지 않음.
나. 응시료 환불 규정
1) 응시 원서 접수 기간 내 요청 시 전액 환불(결제 수수료 제외)
2) 응시 원서 접수 완료 후부터 시험 전일까지는 10% 공제 후 환불
3) 시험일 이후 환불 불가
다. 시험 당일 수험표, 신분증, 컴퓨터용 사인펜, 검정색 볼펜(혹은 사인펜)을 반드시 지참하고 시험 시작 30분 전까지 시험장에 도착할 것.
라. 문의처: 재단법인 한국어세계화재단
1) 전화번호: 02)2664-9783, 2661-9783
2) 주소: 서울시 강서구 방화3동 827번지 국립국어원 청사 608호 (157-857)
3) 전자우편: test@glokorean.org
4) 전송: 02)2661-3895
제1회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응시 원서
사진 3.5cm×4.5cm (6개월 이내에 촬영한 탈모 상반신 사진) |
이름 |
한글 |
한자 |
로마자 | |||||||
|
|
| |||||||||
국적 |
|
생년월일 |
년 월 일 |
성별 |
남․여 | ||||||
주민번호 (외국인: 여권번호) |
| ||||||||||
주소 |
우편번호:
| ||||||||||
전화번호 |
휴대전화 |
전자우편 | |||||||||
( ) - |
- - |
@ | |||||||||
희망 응시 지역 |
□ 서울 □ 춘천 □ 대전 □ 전주 □ 광주 □ 부산 □ 대구 □ 제주 | ||||||||||
최 종 학 력 |
년 월 |
초등학교 |
재학․졸업 | ||||||||
년 월 |
중학교 |
재학․졸업 | |||||||||
년 월 |
고등학교 |
재학․졸업 | |||||||||
년 월 |
대학교 학부(과) |
재학․졸업 | |||||||||
년 월 |
독학사 회 전공 |
재학․졸업 | |||||||||
년 월 |
대학원 전공 석사 ․ 박사 |
재학․수료․졸업 | |||||||||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 |
□ 이수 안 함 | ||||||||||
□ 이수 |
이수 기관 |
| |||||||||
이수 기간 |
년 월 일 ~ 년 월 일 | ||||||||||
이수 일자 |
년 월 일 | ||||||||||
이수 시간 |
총 시간 | ||||||||||
직업 |
|
현 소속 |
| ||||||||
경력 |
기간 |
주요 경력 사항 | |||||||||
년 월 ~ 년 월 |
| ||||||||||
년 월 ~ 년 월 |
| ||||||||||
시험지 유형 |
□ 일반 시험지 |
□ 특수 시험지(확대 ․ 점자) |
□ 기타(대필자․보조감독자 등) | ||||||||
※ 특수 시험지 및 기타 선택의 경우, 접수 시 관련 증빙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 |||||||||||
위 기재 사항은 사실과 다름없으며 만일 시험 합격 후에 허위 사실이 판명되었을 때에는 합격자 취소 처분에도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할 것을 서약함.
2006년 월 일 응시자 (날인 또는 서명)
재단법인 한국어세계화재단 이사장 귀하 |
응시 원서 기재 요령
1. 사진
: 인터넷 접수 시- 해상도 100, 140X180 pixel이나 3.5cm×4.5cm의 jpg 또는 gif 규격의 사진 파일
방문 및 우편 접수 시- 6개월 이내에 촬영한 탈모 상반신 사진(3.5cm×4.5cm)
2. 이름
: 한글, 한자, 로마자 모두 기재
로마자는 성, 이름 순으로 기재 (예. Hong, Gildong)
3. 생년월일
: 주민등록(외국인의 경우 여권)상의 생년월일을 기재
4. 주민번호
: 주민등록등(초)본상의 번호를 기재. 외국인은 여권번호를 기재
5. 주소
: 우편 통보 시 연락이 가능한 곳을 기재
6. 연락처
: 시험 안내 및 변동 사항 공지를 받을 수 있는 전화번호, 휴대전화번호, 전자우편 주소를 기재
7. 희망 응시 지역
: 시험을 보고자 하는 지역을 한 곳만 선택하여 ☑ 표시. 원서 접수 후에는 희망 응시 지역을 변경할 수 없으므로 신중히 선택하여 기재
8. 최종 학력
: 전체 학력이 아닌 최종 학력만 기재
9.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
: 이수 여부에 따라 이수 안 함, 이수 중에서 ☑ 표시 후, 이수한 경우에는 이수 기관, 이수 기간, 이수 일자, 이수 시간 등을 정확히 기재
10. 경력
: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경력 위주로 기재. 경력 사항이 많을 경우 대표적인 것만 선별하여 기재
11. 시험지 유형
: 특수 시험지(확대․점자), 기타(대필자․보조감독자 등)의 유형은 접수 시 관련 증빙서류(장애 복지카드 복사본, 해당 동사무소 발급의 장애인 확인서 등)를 제출해야 함. 특수 시험지나 기타 유형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반드시 일반 시험지를 선택
3. 평가 영역 및 내용
한국어학 |
한국어학개론, 한국어 음성·음운론, 한국어 어휘·형태론, 한국어 통사론, 한국어 의미론, 한국어 화용론, 한국어사, 한국어 규범 (8개 영역) |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
언어학개론, 대조언어학, 심리언어학, 사회언어학, 외국어습득론 (5개 영역)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
한국어교육학개론, 한국어발음교육론, 한국어문법교육론, 한국어어휘교육론, 한국어말하기교육론, 한국어듣기교육론, 한국어읽기교육론, 한국어쓰기교육론, 한국문화교육론, 한국어교육이론, 한국어교육과정론, 한국어교재론, 한국어평가론, 한국어교육공학 (14개 영역) |
한국문화 |
일상 문화, 예술 문화, 한국 문학, 한국 역사 (4개 영역) |
[정답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