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부 인광대사 요범사훈 서문 강기
업장이 무거운 경우에도 3년을 수지하면 틀림없이 효과를 볼 것입니다.
우 거사는 주석에서 "공격」 이 책에서는 일체 선악의 행위를 규정하고 있으니, 마땅히 공과의 수량을 얻어야 한다." 말합니다. 모름지기 선악을 변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크게 선한 일이면 공이 많아 몇십개 몇백개 공을 얻고, 작게 선한 일이면 한 개 두 개의 공을 기록합니다, 크게 악한 일이면 백 개 십 개의 과가 있고 작게 악한 일이면 한 개 두 개의 과가 있습니다. 매일 자신이 공과 과를 기록하여야 합니다. 꾸준한 마음이 있어야 합니다. 이 삼일만 기록하다 그만두어서는 안 됩니다. 귀찮다고 「공과격」을 내버려두면 성공할 수 없습니다! 요범 선생은 인내심이 있어 날마다 적었습니다. 《사훈》 뒤쪽을 읽으면 그 자신만 기록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의 부인도 이와 같이 적었음을 명백히 알 것입니다. 그녀는 글자를 몰라 거위 털로 만든 붓으로 주사를 찍었습니다. 공은 붉은 색으로 찍었고, 과는 검정색으로 찍었습니다. 그녀는 이 방법을 써서 적었습니다. 생각해보십시오. 글자를 모르는 사람인 그녀도 닦을 수 있고, 운명도 개조할 수 있었습니다.
주렴요부 및 한위공, 소문충공蘇주회암(주자), 文忠 이들 몇 분은 모두 과거의 대유학자입니다. 요부는 송나라 도학자 소강절이고, 한위공은 송나라 재상인 한기琦이며, 소문충공은 소동파입니다. 이 분들도 모두 이렇게 「공과격」을 수지하였으니, 우리도 착실히 학습하여야 합니다. 우리는 현재 진정으로 발심하여 수지한다고 말하려면 연지대사의 《자지록自知錄》, 《감응편과 같은 몇가지 과거의 공격」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덕육고감등의)책은 그의 정신을 근거로 삼아 중시하고 현대의 조류를 배합하여 한책을 수정하여 자신이 공부하기에 알맞는 「공과격」을 수지할 수 있습니다. 고대의 「공과격」 내용에 완전히 따를 수 없습니다. 그것은 많은 쓸데없는 번뇌를 증가시켜서 오히려 나쁩니다. 이는 우리가 반드시 주의해야 할 점입니다. 생활의식이 현대와 고대가 매우 다르기 때문입니다.
무릇 마음을 일으키고 생각을 움직이며 말하고 행동할 때 선과악을 상세하게 빠짐없이 다 적는다.
凡舉心動念。 及所言所行善惡纖悉皆記。
마음을 일으키고 생각을 움직일 때 언제 어디서나 모두 기록하여야합니다. 소소행」,은 언어입니다. 언어에는 선한 것도있고 악한 것도 있습니다. 공과이를 상세히 기록합니다. 안에 그리고 《경》에서는 강령만 말할 뿐입니다. 거짓말을 하지 않음이 선이고, 거짓말은 과입니다. 십선+에서 말로 짓는 업에는 거짓말을 하지 않음. 험한 말을 하지 않음. 이간질하는 말을 하지않음. 쓸데없는 말을 하지 않음, 이 네 가지가 선으로 나뉩니다.
뒤집으면 곧 악입니다. 그러나 모두 공과격」 상에 상세히 기록합니다. 이는 우리에게 공과격」에 따라 수행하여야 함을 가르칩니다. 목표는 매우 뚜렷하니 선은 날로 증가하고, 악은 날로 줄어들길 바랍니다. 자신이 기재하고 자신이 압니다. 선과 공은 날로 증가하고, 과와 악은 날로 감소하는 것이 아닙니까? 만약 이러하다면 진보가 있고, 기뻐할만합니다. 우리의 선이 날마다 줄어들고 과가 날마다 증가하면 복이 아니고 뒤집어져 곧 재난이 멀지 않습니다. 《태상감응에서 매우 잘 말하고 있습니다. "화와 복은 달리 들고나는 문이 없고, 오직 자기 자신이 스스로 초래할 뿐이다(禍福無門 惟人自召).” 이는 복과 화는 모두 우리가 만들어낸 것입니다. 복은 우리 자신이 닦은 것이고, 화도 우리 자신이 초래한 것입니다. 자신이 초래한 것이 악이니, 어떻게 하늘을 원망하고 남을 탓할 수 있겠습니까? 하늘을 원망하고 남을 탓하는 생각이 생기면 또한 과입니다. 다만 자신의 선이 너무 적고 과가 크게 증가할까 두려울 뿐 어떻게 복보가 현전할 수 있습니까? 그래서 목표는 대단히 분명합니다.
(거짓말은 곧 말이 진실하지 않음이다. 말이 진실하지 않으면 마음도 진실하지않고 인격을 크게 잃게 만든다. 쓸데없는 말은 곧 외설스럽고 저질스런 말(쓸데없는말로는 1) 농담 등 실없는 말장난, 2) 무익한 말, 무익한 논쟁 토론, 3) 때에 맞지않는 말 4) 아첨하는 말, 번드르르하게 치장하는 말 5) 터무니없는 허황된 말)
원왕생 원왕생 왕생극락 견미타 획목마정 수기별 원왕생 원왕생 원재미타 회중좌 수집향화 상공양 원왕생 원왕생 왕생화장 연화계 자타일시 성불도 나무아미타불 나무극락도사 아미타여래불 🙏
첫댓글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_()_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