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와 같은 표에서 3행의 모든 열을 컴마로 구분하는 숫자로 만드는 방법입니다.
한글에서는 블록을 잡아서 일시에 컴마로 구분하는 방법이 쉽게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블록계산에서 컴마로 구분하는 점에 힌트를 얻어서 해 보았습니다.
간단하지는 않습니다.
일단 블록계산을 하기 위해서, 3행의 옆에 2행을 셀 나누기로 덧붙입니다.
이제 5행, 3열의 표가 되었습니다.
4행을 숫자 0 인 셀로 만듭니다. 이것은 표 메뉴의 자동채우기로 하시면 편합니다. 4행의 1열과 2열에 0을 넣고 4행의 모든 열을 블록으로 잡아서 자동채우기를 하시면 모두 0인 셀이 됩니다.
3행과 4행을 블록으로 잡고 <표>메뉴의 블록계산식, 블록합계를 내면, 5행에 그 결과가 나타납니다. 이때, 컴마로 이루어진 숫자배열이 나타납니다.

이제는 필요없는 3행과 4행을 지워야겠죠. 그런데, 바로 셀지우기로 해봤더니, 5행의 컴마로 이루어진 숫자가 <잘못된 계산식>이라는 에러를 냅니다.
그래서, <계산식>이라는 조판부호를 없애야 합니다.
이것을 없애는 방법으로는 매크로를 이용해서 쉽게 해결해야겠죠.
일단은 사전조작으로, <보기>메뉴의 <조판부호 보기>에 체크해 주시고,
ALT+G 로 조판부호를 찾아봅니다. ALT+G 창을 열어서, 좌측의 조판부호에 체크하시고, 우측 창에서 “계산식”을 찾아서 확인합니다. 그러면, 화면아래의 상태창에서 “:(D1)계산식” 정도를 볼 수 있을 겁니다. 일단 계산식을 한 번 찾아주신 다음에 매크로를 실행해야 조금 더 간단한 매크로를 만들 수 있습니다.
<계산식>이라는 조판부호를 없애기 위한 매크로입니다.
일단 ALT+B 로 매크로 정의로 들어갑니다. 적절한 번호를 선택해 주세요. 그런 다음, 아래의 키를 입력하는 것입니다. DELETE 는 화살표키들 위의 DELETE 키이면, 엔터는 그냥 엔터입니다.
CTRL+L DELETE ENTER
ALT+B 로 정의를 마칩니다. 이것은 좀전에 찾았던 <계산식>을 다시 찾으라는(CTRL+L) 말이며, 지우고,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매크로를 정의하시고, ALT+(좀전에 정의된 숫자) 하시면, 1 개의 <계산식>조판부호가 없어집니다. 이제는 ALT+Z 으로 여러번 실행해서 모두 없애주면 되겠죠.
일단 1 번 실행해 보고 판단하세요.
그런데, 제것 2002가 말썽입니다. ALT+Z 으로는 잘 안되네요. 그냥, ALT+(숫자)를 계속 누르고 있다가, 다 찾았다는 말이 나올때까지...

<계산식> 조판부호를 없앤다음에, 3행과 4행을 지워버리세요.
이제는 3행 3열의 표로 다시 왔지만, 컴마로 구분된 숫자가 되었겠습니다.
이제, <표>메뉴의 표를 문자열로를 이용해서 메일머지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합니다.
구분자를 NNNN 으로 하시고(마음대로) 확인 합니다. 그러면, 이상하게 된 문자열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찾아바꾸기를 실행합니다.

CTRL+F2 로 찾을 문자열에 NNNN을 바꿀 문자열에는 ^n (소문자)를 입력하고 확인 합니다.

이제는 조금 가까워진 형태로 바뀌었죠. 다시 한번 CTRL+F2 로
찾을 문자열에 ^n^n 하시고, 바꿀 문자열에 ^n 하십시오. 엔터가 두 번 들어가서 생긴 빈줄을 없애는 겁니다.
이제는 제대로된 모양을 볼 수 있을 겁니다.

문서 제일 위에 필드갯수를 적어놓으면 됩니다 이 경우 필드 개수는 3 이므로, 3을 집어넣으면,,
저장하시고, 메일머지용으로 다른 문서를 작성하셔서, 메일머지 표시달기를 하셔서 이용하시면 됩니다.
메일머지 만들기에서 한글문서로 설정하시고, 방금전에 조작한 문서를 설정하시면 되겠네요.
그냥 블럭 잡고, 컴마를 설정할 수 있으면, 편할텐데, 억지로 할려니, 여러단계를 거쳤지만, 기본적인 기능도 익힐겸 해보시는 것도 좋을것 같네요.
솔직히 저도 안됩니다. ^n^n 말입니다.
예전에는 됐었는데, 해보니 안되더군요. 그런데, 2005에서는 되는군요.
현재 컴에 97, 2002, 2005 등이 설치되어 있어서, 엉망이 되었습니다. 몇일 전에 엉켜서 골피아팠습니다. 그런 다음부터 뭔가 이상합니다만..
예전에는 됐었던 사항이었습니다. 확인해 보니 97에서도 잘 안되는군요. 2005에서만 됩니다. 허지만, 예전에는 모든 버전에서 되었던 사항이라서 그냥 올렸습니다. 제 컴만 문제인줄 알고..
한줄 만 없애는 매크로는 더 간단할 수 있지만, 조심해서 사용해 보세요. 일단 한번 실행해 보시고, 확인하시길..
일단 파일의 처음으로(CTRL+PAGEUP) 가신 다음. 화살표의 아래로입니다. (↓ - DOWN)
위의 문서에서는 DOWN 을 세번하면, 공백줄입니다. 여기서 DELETE 를 누르면 되겠죠.
규칙적이므로..
ALT+B 매크로 설정입니다. 2번 정도로 합니다. 편의상..
DOWN DOWN DOWN DELETE HOME
ALT+B
입니다. 매크로랄 것도 없지만, 반복작업이므로, 일단은 매크로로 하시는 것이...
다른 방법으로 예전에 쓰던 이지패드 같은 뷰어 프로그램에서 빈줄없앰을 이용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또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같은 기능을 이용..
다 귀찮으면, 필드갯수에 1 을 더해주시면 되겠네요.
즉 현재의 필드갯수는 3 개이지만, 4개로 해 주시면, 빈줄까지 필드갯수로 취급하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