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명사(代名詞 : Pronoun)"란 명사를 대신하는 명사라는 의미이다. 대명사는 크게 5가지로 구분하는데 여기에는 "인칭대명사(人稱代名詞 : Personal Pronoun)", "지시대명사(指示代名詞 : Demonstrative Pronoun)[this(복수 : these), that(복수 : those)]", "부정대명사(不定代名詞 : Indefinite Pronoun)(one, some, any, each, other, none, something, anything 등)", "의문대명사(疑問代名詞 : Interrogative Pronoun)(who, whom, whose, which, what)", "관계대명사(關係代名詞 : Relative Pronoun)(who, whom, which, what, whose, that)" 등이 있다.
첫째
"인칭대명사"란 원래 사람을 가리키는 명사를 대신하는 명사라는 의미로 "인대명사(人代名詞)" 또는 "사람 대명사"라고도 하지만 3인칭에서 보면 사물을 가리키는 인칭대명사(it, they)가 있다. 말하는 사람인 「나」를 기준으로 하여 세 가지 인칭으로 나누어 놓은 것을 말한다. 즉 말하는 사람인 "나"가 「1인칭」, 그리고 1인칭과 대화를 하는 상대방, 즉 "당신"이 「2인칭」, 마지막으로 나와 대화하지 않는 "너"와 "나"를 제외한 "제 3자"를 모두 「3인칭」이여 이를 구별하여 나타내는 대명사를 "인칭대명사"라 한다. 참고적으로 "명사"들은 "3인칭"에 속한다. 이런 인칭대명사는 문장 속에서 어디에 오느냐에 따라 그 모양이 바뀌므로 잘 알아두어야 하는데 주어자리에는 인칭대명사의 "주격(I, we, you, he, she, it, they)"을 사용해야하고 타동사와 전치사 뒤에는 인칭대명사의 "목적격(me, us, you, him, her, them)"을 사용해야한다. 인칭대명사의 "소유격(my, our, your, his, her, its, their)"은 그 뒤에 반드시 "명사"나 "대명사"가 나와야한다. 인칭대명사의 "소유격"은 형용사의 역할 중 명사의 앞에 서 뒤에 온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과 같은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반드시 인칭대명사의 소유격은 그 뒤에 명사나 대명사가 나와야 한다. 그리고 인칭대명사에는 또한 "소유대명사(所有代名詞 : Possessive Pronoun)"와 "재귀대명사(再歸代名詞 : Reflexive Pronoun)"가 있다. "소유대명사(mine, ours, yours, his, hers, theirs)"는 "소유격 + 단수명사" 또는 "소유격 + 복수명사"의 의미로 사용된다. 그리고 "재귀대명사(myself, ourselves, yourself, yourselves, himself, herself, itself, themselves)"는 행위가 자신에게 되돌아올 경우 "재귀대명사"를 사용하는 "재귀용법"과 문장에서 주어 또는 목적어를 강조하는 "강조용법"이 있다. "재귀대명사"에서 중요한 것은 재귀대명사는 반드시 주어나 목적어와 일치하여 "재귀대명사"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둘째
"지시대명사"란 이것, 저것, 이것들, 저것들처럼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키거나 앞 또는 뒤의 단어나 구, 절을 가리키는 명사이다. 지시대명사가 혼자 쓰이지 않고 명사 대명사 앞에 쓰이면 지시형용사가 된다. 여기에는 대표적인 지시대명사는 "this(복수 : these)", "that(복수 : those)"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so", "such", "the same" 등도 지시대명사에 넣은 경우도 있다. 이런 "지시대명사" 뒤에 명사나 대명사가 왔을 경우에는 "지시형용사"가 된다.
셋째
"부정대명사"란 "부정대명사"에서 "부정(不定)"이란 일정하게 정해지지 않음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부정대명사"는 사람이나 사물을 확실하게 정하여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막연히 가리키는 대명사라는 것이다. 여기에는 "some", "any", "one", "other", "another", "each", "either", "neither" 등이 있다. 이런 "부정대명사" 뒤에 명사가 오면 "부정형용사"가 된다.
넷째
"의문대명사"란 물음의 대상을 나타내는 대명사로 의문문의 맨 앞에 위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의문사로 시작하는 의문문은 "Yes/No"로 답할 수 없다. 의문대명사에는 "what", "who", "whose", "whom", "which"이 있다. 이런 의문대명사 "what", "whose", "which" 뒤에 "명사"나 "대명사"가 올 경우에는 "what", "whose", "which"는 "의문형용사"가 된다.
다섯째
"관계대명사"란 두 개의 문장을 하나로 연결하는 고리역할을 하는 것이 "관계대명사"이다. 이런 "관계대명사"는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접속사 역할을 하는 동시에 관계대명사 앞에 온 명사나 대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적 역할을 동시에 한다. 이 관계대명사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나 "대명사"를 "선행사"라고 한다. 이처럼 관계대명사가 앞의 명사나 대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할 때는 해석을 형용사절인 "관계대명사절"부터 해석을 해서 문장의 앞으로 올라오면서 해석을 해야하는데 이 때를 관계대명사의 "한정적 용법"이라고 하고 관계대명사와 선행사 사이에 comma, 즉 ","가 있는 경우에는 해석을 문장의 앞에서 뒤로 내려가면서 해야하는데 이 때를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이라고 한다. 관계대명사에는 "what", "who", "whom", "whose", "which", "that"이 있다. 관계대명사 "what", "which", "whose" 다음에 명사나 대명사가 있는 경우에는 "what", "which", "whose"는 "관계형용사"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