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일신고 (三一神誥): 366자
1. 허공(虛空): 36
帝曰 爾五加 衆 倉倉 非天 玄玄 非天 天 無形質
제왈 이오가 중 창창 비천 현현 비천 천 무형질
無端倪 無上下四方 虛虛空空 無不在 無不容
무단예 무상하사방 허허공공 무부재 무불용
2. 일신(一神): 51
神 在無上一位 有大德大慧大力 生天 主無數 世界
신 재무상일위 유대덕대혜대력 생천 주무수 세계
造甡甡物 纖塵無漏 昭昭靈靈 不敢名量 聲氣願禱
조신신물 섬진무루 소소영영 불감명량 성기원도
絶親見 自性求子 降在爾腦
절친견 자성구자 강재이뇌
3. 천궁(天宮): 40
天 神國 有天宮 階萬善 門萬德 一神攸居 群靈諸哲 護侍
천 신국 유천궁 계만선 문만덕 일신유거 군령제철 호시
大吉祥大光明處 惟性通功完者 朝 永得快樂
대길상대광명처 유성통공완자 조 영득쾌락
4. 세계(世界): 72
爾觀森列星辰 數無震 大小 明暗 苦樂不同 一神 造群世界
이관삼열성진 수무진 대소 명암 고락부동 일신 조군세계
神 勅日世界使者 轄七白世界 爾地自大 一丸世界
신 칙일세계사자 할칠백세계 이지자대 일환세계
中火震湯 海幻陸遷 乃成見傷 神 呵氣包底 煦一色熱
중화진탕 해환육천 내성현상 신 가기포저 후일색열
行翥化游裁 物 繁殖
행저화유재 물 번식
5. 인물(人物): 167
人物 同受三眞 惟衆 迷地 三妄 着根 眞妄 對 作三途
인물 동수삼진 유중 미지 삼망 착근 진망 대 작삼도
曰性命精 人 全之 物偏之 眞性 善 無惡 上哲通
왈성명정 인 전지 물편지 진성 선 무악 상철통
眞命 淸无濁 中哲知 眞精 厚無薄 下哲保 返眞一神
진명 청무탁 중철지 진정 후무박 하철보 반진일신
曰心氣身 心 依性 有善惡 善福惡禍
왈심기신 심 의성 유선악 선복악화
氣 依命 有淸濁 淸壽濁夭 身 依精 有厚薄 厚貴薄踐
기 의명 유청탁 청수탁요 신 의정 유후박 후귀박천
曰感息觸 轉成十八境
왈감식촉 전성십팔경
感 喜懼哀怒貪厭 息 芬瀾寒熱震濕 觸 聲色臭味淫低
감 희구애로탐염 식 분란한열진습 촉 성색취미음저
衆 善惡 淸濁 厚薄 相雜 從境途任走 墮生長宵病歿 苦
중 선악 청탁 후박 상잡 종경도임주 타생장소병몰 고
哲 止感 調息 禁觸 一意化行 改妄卽眞
철 지감 조식 금촉 일의화행 개망즉진
發大神機 性通功完 是
발대신기 성통공완 시
一. 삼일신고가 전해 내려온 내력
삼일신고(三一神誥)는 고구려의 멸망 시,
그 유신(遺臣) 대조영이 민족의 경전(經典)인 신사기(神事記) 등을 품고,
말갈의 땅으로 도피하여 발해국을 일으켜 세운 뒤,
지난 역사에 전란(戰亂)으로 민족의 경전이 없어진 경우를 생각하여,
항상 잘못될까 염려하던 중, 영원히 없어지지 않게 하려고,
신사기(神事記)와 임금이 지은 삼일신고 예찬(三一神誥 禮讚)을 첨부한
삼일신고(三一神誥) 해설집 등 민족의 경전을 보본단(保本壇) 돌집 속에
간직하여 두었던 것이다. (단기 3,031(서기 968)년 대흥 3년 3월 15일)
그 후 1천여년이 지난 조선말에 민족종교의 교맥을 이어 중광(重光) 단군교(檀君敎) 초대 대종사(一代 大宗師)가 되신 백봉신형(白峯神兄)이,
십년을 하늘님께 원도하여 대황조(大皇祖) 단군 성신(聖神)의
묵계를 받으시고 보본단 돌집을 찾아내어,
그 속에서 민족 경전과 단군실사(檀君實史)를 얻으셨다.
그리하여 백봉 대종사는 단기 4237(1904)년 갑진년 음력 10월 3일
백두산 대숭전(大崇殿) 동무고경각(東無古經閣) 단군교 본부에서 13인의 제자들과 작성하고 서명한 단군교 포명서(檀君敎布明書)를 공포하고,
그 후 13인의 제자을 13도에 배치하여 단군교 포명서를 선포케 하였고,
또 20인의 제자들을 동원하여 요동, 만주, 몽고 및 숙신, 여진, 말갈, 거란, 선비, 구강에 이르는 청나라와 일본 등 각지로 파송하여,
단군교 포명서를 선포하게 하였던바,
이듬해 단기 4238년 섣달 그믐날 밤(서기 1906년 1월 24일) 백봉대종사는 90고령의 두암 백전(頭巖 白佺) 선옹을 보내어 구국운동으로 일본을 다녀오는 홍암(弘岩) 나철(羅喆)에게 서대문역에서,
삼일신고 해설집과 신사기(神事記)를 전하여 주었다.
그러나 홍암나철은 당시 구국의 정치외교 행각에만 집중된 때라
별로 관심 없이 집에 가져다 놓았다고 한다.
그 후 단기 4241(1908)년 12월 5일 정훈모와 홍암 나철은 4번째로 일본에 건너가 구국외교의 정치행각을 위하여 동경 청광관에 머물 때,
백봉대종사가 두 번째로 보낸 미도 두일백(彌島杜一伯) 선옹이 찾아와,
단군교 포명서를 비롯하여 고본신가집(古本神歌集), 입교의절(入敎儀節), 봉교절차(奉敎節次), 봉교과규(奉敎課規) 등의 책을 전하면서,
「나공과 정공이 할 일은 단군교포명서 선포에 관한 일이니 명심하시오.」
하고 떠났다고 한다.
그러나 홍암 나철 일행은 일경(日警)의 탄압을 피하여 숙소를 개평관으로 옮겼는데, 미도선옹이 새벽같이 또 찾아와 엄숙한 표정으로,
「국운이 이미 다 하였는데 어찌 바쁜 시기에 쓸데없는 일로 다니시는가?
곧 귀국하여 단군 대황조의 교화(敎化)를 펴시오.
이 한마디가 마지막 부탁이니 빨리 떠나시오.」하고는 바람같이 떠났다.
이 때 비로소 홍암 나철은 대오대각(大吾大覺)하였으며,
그 길로 귀국하여 이듬해 단기 4242(서기1909)년 음력 1월 15일,
종로구 재동 한 초가집에서 “대황조 단군신위(大皇祖 檀君神位)”의
위패(位牌)를 북벽에 모시고 단군교 서울시교당을 차리고,
수십명의 동지들과 단군교(檀君敎) 포명서를 선포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단기 4243(1910)년, 한일합방을 지지하는 성명을 내도록 압박하고 탄압하자,
홍암 대종사는 단군교(檀君敎)를 대종교(大倧敎)로 개명하고,
탄압을 피하여 만주로 대종교 총본사를 옮기었다.
그러나 정훈모 선생을 비롯한 일부 교우들은 교단 개명을 반대하고,
단군교 교명을 지키며 안양 시교당을 중심으로 포교활동을 하게 되었다.
결국 단군교는 대종교와 단군교로 갈라지게 된 셈이다.
이렇게 하여 신사기와 삼일신고 해설집 등 민족 경전은 대종교와
단군교로 전하여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이다.
또 한편은, 계연수(桂延修) 선생에 의하여 한단고기(桓檀古記)가 전해져,
그 속에 천부경(天符經)과 더불어 삼일신고(三一神誥) 및
참전계경(參佺戒經)의 존재도 알게 되었다.
二. 삼일신고(三一神誥) 풀이
1. 공경하는 맘으로 깊이 살피어 생각하건대,
변함없는 윤리 도덕을 가르쳐서 사람을 사람 되게 하는 밝은 스승을
한웅(桓雄)이라 하나니, 밝음으로 큰 깨우침을 얻어, 큰 도를 세우고,
크게 가르침을 베풀어, 어리석은 백성들을 깨닫도록 교화시키시니라.
흠계 교화주하니 왈 한웅이시니 이신화인하사
欽稽 敎化主 曰 桓雄 以神化人
입대도하시며 설대교하사 감화준준민하시니라
立大道 設大敎 感化蠢蠢民
2. 밝은 진리의 말씀인 삼일신고를 널리 펴시사,
뭇 사람들을 크게 가르치어, 바르게 인도하시니라.
연신고하사 대훈우중하시다
演神誥 大訓于衆
3. 밝은 스승님(한웅)께서 이르시되,
"아- 너희 무리들아 !
저 푸른 것이 하늘 아니며, 저 까마득한 것도 하늘 아니니라.
하늘은 허울도 바탕도 없고, 처음도 끝도 없으며 위아래 사방도 없고,
겉도 속도 다 비고, 어디나 있지 않는 데가 없으며,
무엇이나 싸지 않은 것이 없느니라."
주약왈 자이중아 창창이 비천이며 현현이 비천이라
主若曰 咨爾衆 蒼蒼 非天 玄玄 非天
천은 무형질하며 무단예하며 무상하사방하고 허허공공하야
天 無形質 無端倪 無上下四方 虛虛空空
무부재하며 무불용이니라
無不在 無不容
4. 하늘님은 그 위에 더 없는 으뜸자리에 계시사,
큰 덕(德)과 큰 슬기(慧)와 큰 힘(力)을 가지시고, 한울을 만드시고,
수 없는 누리(세계)를 주관하시고, 많고 많은 만물을 만드셨나니,
티끌만한 것도 빠뜨리심이 없고, 밝고도 신령하시어,
감히 이름지어 헤아릴 길이 없느니라.
소리(聲)와 기운(氣)을 다해 원하여 빌면 반드시 가깝게 나타내 보이시나니, 스스로 저마다의 본성을 따라 하늘의 씨알을 구하여 보라.
너희 머리 속에 내려와 계심을 깨닫게 되느니라.
神 在無上一位 有大德 大慧 大力 生天
신은 재무상일위하사 유대덕 대혜 대력하사 생천하시며
主無數世界 造甡甡物 纖塵無漏
주무수세계하시고 조신신물하시니 섬진무루하며
昭昭靈靈 不敢名量 聲氣願禱 絶親見
소소령령하야 불감명량이라 성기원도면 절친견이니
自性求子 降在爾腦
자성구자하라 강재이노시니라
5. 하늘은 하늘님의 나라라.
하늘의 집은 온갖 착함으로써 섬돌을 하고,
온갖 덕으로써 문을 삼았느니라.
하늘의 집은 하늘님이 계신 곳으로서,
뭇 신령들과 모든 밝은이들이 모시고 있어,
지극히 복되고 가장 빛나는 곳이니,
오직 참된 본성을 통달하고, 모든 공적을 다 닦은이라야,
하늘집에 나아가 조회하며, 쾌락을 얻을 지니라.
天 神國 有天宮 階万善 門万德
천은 신국이라 유천궁하야 계만선하며 문만덕하니
一神攸居 群靈諸喆 護侍 大吉祥
일신유거요 군령저철이 호시하니 대길상하며
大光明處 惟性通功完者 朝 永得快樂
대광명처라 유성통공완자라야 조하야 영득쾌락이라
6. 너희들은 총총히 널린 저 별들을 바라 보라 !
그 수가 셀 수 없이 많으며, 크고 작고, 밝고 어둡고,
괴롭고 즐거워 보임이 같지 않으니라.
爾觀森列星辰 數無盡 大小 明暗 苦樂 不動
이관삼렬성신하라 수무진하고 대소 명암 고락 부동하니라
7. 하늘님께서 뭇 누리(세계)를 창조하시고,
그 중에서 해누리(태양계)의 사자(使者)들로 하여금
칠백 누리를 다스리게 하시니,
너희 지구가 스스로 큰 듯이 보이나, 작은 한 알의 누리(세계)니라.
一神 造群世界 神 勅日世界使者
일신이 조군세계하시고 신이 칙일세계시자하사
轄七百世界 爾地自大 一丸世界
할칠백세계하시니 이지자대나 일환세계니라
8. 화산이 터저서 바다와 육지로 변하고 바뀌어,
마침내 모든 지구의 현상(見象)을 이루었나니,
하늘님이 기운을 불어 모두를 싸시고, 햇빛과 열을 쬐시어,
기고, 날고, 탈바꿈하고, 헤엄질 치고, 심고, 자라는
온갖 동물과 식물들이 번성하게 되었느니라.
中火震湯 海幻陸遷 乃成見象
중화진탕하고 해환육천하야 내성현상하니라
神 呵氣包底 煦日色熱
신이 가기포저하시고 후일색열하시니
行翥化游栽 物 繁殖
행저화유재의 물이 번식하니라
9. 사람과 만물이 다 같이 세 가지 참됨을 받았나니,
이는 성품과 목숨과 정기라,
사람은 그것을 옹글게 받았으나 만물은 치우치게 받았느니라.
참 성품은 착함도 악함도 없으며,
으뜸 밝은이라야 두루 통하여 막힘이 없고,
참 목숨은 맑음도 탁함도 없으며, 으뜸 밝은이라야 다 알아 미혹함이 없고, 참 정기는 후함도 박함도 없으며,
으뜸 밝은이라야 잘 보전하여 이지러짐이 없되,
모두 참으로 돌이키면 하나의 신(神)이 되느니라.
人物 同受三眞 曰 性 命 精
인물이 동수삼진하니 왈 성과 명과 정이라
人 全之 物 偏之
인은 전지하고 물은 편지니라
眞性 無善惡 上喆 通
진성은 무선악하니 상철이 통하고
眞命 無淸濁 中喆 知 眞精 無厚薄
진명은 무청탁하니 중철이 지하고 진정은 무후박하니
下喆 保 返眞 一神
하철이 보하나니 반진하면 일신이니라
10. 뭇 사람들은 혼돈한 땅에 태어나면서부터,
세 가지 가달(妄)이 뿌리 박혔나니,
이는 마음(心)과 기운(氣)과 몸(身)이니라.
마음(心)은 성품(性)에 의지한 것으로서 착하고 악함이 있으니,
착하면 복(福)이 되고 악하면 화(禍)가 되며,
기운(氣)은 목숨(命)에 의지한 것으로서 맑고(淸) 탁함(濁) 이 있으니,
맑으면 오래 살고, 탁하면 일찍 죽으며,
몸(身)은 정기(精)에 의지한 것으로서, 후(厚)하고 박함(薄)이 있으니,
후(厚)하면 귀(貴)하고, 박(薄)하면 천(賤)하게 되느니라.
惟衆 迷地 三妄 着根 曰 心 氣 身
유중은 미지에 삼망이 착근하니 왈 심과 기와 신이라
心 依性 有善惡 善福惡禍
심은 의성하야 유선악하니 선복악화하고
氣 依命 有淸濁 淸壽濁妖
기는 의명하야 유청탁하니 청수탁요하고,
身 依精 有厚薄 厚貴薄賤
신은 의정하야 유후박하니 후귀박천하니라
11. 참(眞)과 가달(妄)이 서로 맞서 세 길(三途)을 지으니,
이는 감정(感)과 숨쉼(息)과 느낌(觸)이요,
이것이 다시 열여덟 경지를 이루나니라.
감정(感)에는 기쁨과 두려움과 슬픔과 성냄과 탐냄과 싫어함이 있고,
숨쉼(息)에는 맑고, 탁하고, 차고, 덥고, 마르고, 젖은 공기가 있으며,
느낌(觸)에는 소리와 빛깔과 냄새와 맛과 살섞음과 살닿음이 있느니라.
眞妄 對 作三途 曰 感 息 觸
진망이 대하야 작삼도하니 왈 감과 식과 촉이라
轉成十八境 感 喜懼哀 怒貪厭
전성십팔경하니 감엔 희구애노탐염이오
息 芬爛寒熱震濕 觸 聲色臭味淫抵
식엔 분란한열진습이오 촉엔 성색취미음저니라
12. 뭇 사람들은 착하고 악함과 맑고 탁함과 후하고 박함이 서로 섞이어, 가달된 길을 따라, 자기 뜻대로 행하다가, 나고, 자라고, 늙고, 병들고, 죽는 길에 빠져서 괴로워 하지만, 밝은이는 감정을 다스리고, 숨쉼을 고루게 하며, 느낌에 흔들리지 않으며, 한 뜻으로 수행하여, 가달을 돌이켜 참에로 나아가면, 큰 조화를 부리게 되나니, 참된 본성이 통달해지고, 모든 공적을 다 닦음이, 곧 이것이니라.
衆 善惡 淸濁 厚薄 相雜 從境途任走
중은 선악과 청탁과 후박을 상잡하여 종경도임주하여
墮生長肖病歿 苦 喆 止感 調息 禁觸
타생장소병몰에 고하고 철은 지감하며 조식하며 금촉하야
一意化行 返忘卽眞 發大神機
일의화행하여 반망즉진하면 발대신기하나니
性通功完 是.
성통공완이 시니라.
|
첫댓글 동지절 법회 잘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