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및 시장전망 ○ 호주 시장규모 - IBIS World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컨베이어(Conveyor)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24억1250만 호주 달러로 전년대비 1.0% 증가함. - 컨베이어는 공항, 물류 창고, 건설 현장, 제조공장 등에서 화물 운반 시 사용하는 운송용 장치를 포함 최근 3년간 호주 컨베이어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AU$ 백만, %) 구분 | 2011 | 2012 | 2013 |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및 성장률 | 2,359.6 | -3.9 | 2,387.9 | 1.2 | 2,412.5 | 1.0 |
자료원: IBIS World Australia ○ 시장전망 - IBIS World 보고서에 따르면 이 산업은 향후 5년간 1.8%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국내 수요의 약 60%를 수입으로 충족함. - Goodyear, Sandvik 등 글로벌 기업이 인건비가 저렴한 중국과 같은 아시아 국가에 대량생산 할 수 있는 현지 공장을 설립하며 호주가 수입하는 규모도 함께 커짐. - 반면 호주 업체의 경우 경쟁력 향상을 위해 원자재를 수입해 조립하는 맞춤형 생산에 더욱 집중하는 추세임.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소비 산업분야 - 제조(35.9%), 중공업 및 비건축(19.4%), 물류(15.7%). 건설(14.1%) 업체 순으로 컨베이어 수요가 높음. - 제조 업체: 운영 효율성 향상을 위해 컨베이어 벨트가 많이 사용되며 호주의 주력 수출품인 식품과 음료 생산 공장에서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중공업 및 비건축업: 광산업에서 분류, 공정, 운반작업에 대형 컨베이어가 사용돼 지난 10년 간 동 시장이 발전하는 데 크게 기여함. - 건설업: 승강기 내부 및 대형 자재 운반에 사용되며 공항에서 수화물을 옮기는데에도 컨베이어 벨트가 필요함. - 물류: 물류 운송 및 택배 업체에서 물건을 보관하고 운반하는데 폭넓게 활용되며 향후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함. 호주 컨베이어 시장규모 
자료원: IBIS World Australia □ 수입동향 ○ 개관 - HS Code 4010(컨베이어, 전동벨트) 호주 컨베이어 총 수입량은 2013년 기준 2억 호주 달러에 이름. - 수입량은 일본, 중국, 미국, 독일 순으로 높으며 한국제품 수입은 2012년까지 증가했으나 2013년부터는 다소 주춤함.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호주 컨베이어 벨트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4010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 국가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1 | 2012 | 2013 | 2011 | 2012 | 2013 | 12/13 | 0 | 총계 | 189.0 | 244.6 | 199.8 | 100 | 100 | 100 | -18.3 | 1 | 일본 | 68.8 | 107.1 | 88.2 | 36.4 | 43.8 | 44.2 | -17.6 | 2 | 중국 | 27.7 | 34.0 | 31.6 | 14.7 | 13.9 | 15.8 | -7.1 | 3 | 미국 | 23.4 | 22.9 | 19.0 | 12.4 | 9.3 | 9.5 | -16.7 | 4 | 독일 | 15.3 | 16.3 | 11.9 | 8.1 | 6.7 | 6.0 | -26.6 | 5 | 프랑스 | 5.6 | 6.1 | 9.0 | 2.9 | 2.5 | 4.5 | 47.6 | 6 | 그리스 | 10.2 | 16.9 | 7.1 | 5.4 | 6.9 | 3.6 | -57.9 | 7 | 대만 | 7.5 | 7.5 | 5.5 | 4.0 | 3.1 | 2.7 | -27.2 | 8 | 인도 | 7.0 | 8.7 | 4.7 | 3.7 | 3.6 | 2.4 | -45.7 | 9 | 태국 | 4.1 | 3.7 | 3.6 | 2.2 | 1.5 | 1.8 | -3.7 | 14 | 한국 | 3.0 | 4.6 | 1.5 | 1.6 | 1.9 | 0.8 | -67.2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 규제 제도 및 관세율 ○ 제품 인증 - 산업별 안전 규정에 따라 컨베이어는 AS 1755(컨베이어 안전성 요건) 인증을 취득해야 하며 승강기와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는 AS 1735(승강기,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관련) 인증이 필요함. ○ 관세율 - HS Code 4010 - 컨베이어 벨트는 품목에 따라 무관세부터 최대 5%로 진입장벽이 높지 않음. - 호주 정부는 수입되는 모든 물품에 대해 10%의 부가가치세를 부과해, 수입자는 추후 국세청으로부터 납부한 부가가치세 전액을 환급받을 수 있음. □ 주요 유통구조 ○ 제조사가 직접 유통 - 현지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의 경우 수요처와 직접 계약을 맺어 제품을 제조해 공급하며 A/S를 제공함. ○ 딜러쉽을 통한 에이전시 - 호주 중장비 전문 유통사와 딜러쉽을 맺어 현지시장에 맞는 품목을 집중 공급하고 고객 서비스를 지원함. 3. 경쟁동향 □ 경쟁제품 주요 경쟁제품 현황 제조업체명 | 브랜드명 | 시장점유율(%) | 원산지(수출국) | Goodyear Australia Pty Ltd | Goodyear | 25.4 | 미국 | Sandvik Australia Holdings Pty Ltd | Sandvik | 12.4 | 스웨덴 | Fenner Dunlop Australia Pty Ltd | Fenner Dunlop | 10.5 | 호주 |
자료원: IBIS World Australia □ 주요 경쟁사 동향 ○ Goodyear Australia Pty Ltd: 미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기업 Goodyear Tire & Rubber Co.의 계열사로 1926년에 호주에 Goodyear Australia가 설립됨. 2013년 10월에 발표된 자료에 의하면, 450만 호주 달러를 컨베이어 벨트 수리시설 및 서비스 분야에 투자해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고자 노력함. ○ Sandvik Australia Holdings Pty Ltd: 스웨덴에 본사를 둔 Sandvik AB의 자회사로 컨베이어 시스템을 대량 생산해 해외로 수출하는 주요 광산업 장비 공급업체 ○ Fenner Dunlop Australia Pty Ltd: 호주 컨베어벨트 제조기업으로 현지에서 광산 붐이 일어났던 2005년부터 2012년까지 큰 성장을 이룸. 현재 지속적으로 컨베어벨트 생산라인에 투자를 함.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 품질을 앞세운 미국, 일본, 독일 제품과 가격경쟁력을 내세운 중국 제품이 우위를 선점하고 있으며 한국 제품의 인지도는 아직 낮은 수준임.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전문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 Queensland Mining & Engineering Exhibition | 전시회명(한국어) | 호주 광산 & 엔지니어링 전시회 | 전시품목 | 광산업 중장비 | 개최국가/도시 | 호주, 맥카이 | 개최주기 | 격년 | 개최기간(2016년) | 2016.7.26. ~ 28. | 웹사이트 | www.queenslandminingexpo.com.au |
□ 현지 바이어 특성 ○ 바이어 특성 - 해당 건설업, 광산업, 제조산업 바이어의 경우 보수적인 성향이 강하며 기존 거래처에 대한 충성도가 높음. - 컨베이어 전문 유통업체 N사 담당자에 따르면, 제품 비용이 고가에 속하기 때문에 품질 및 사후관리를 매우 중시한다고 함. □ 마케팅 방안 ○ 한국 기업의 참고사항 - 현지 진출 제조사와 경쟁하기 위해 기술력을 내세워 마케팅하며 체계적인 A/S 관리가 필요함. - 관련 인증 취득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미리 확인하고 현지 산업에 대해 파악하는 등 정보를 수집해 장기적인 시각으로 접근이 필요함. - 호주에서 열리는 대규모 전시회에 참가해 관련 산업 바이어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수출의 판로를 모색하는 방안도 바람직함. 제목 | 호주 철근제품 시장동향 |
---|
작성일 | 2014-10-02 | 국가 | 호주 | 작성자 | 강지선(멜버른무역관) | 품목 | 철근 |
---|
품목코드 | 7214201000 | --> -->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및 전망 ○ 시장규모 및 수요 특징 - 호주 철근제품 시장 규모는 2013년 기준 약 74억 호주 달러로 추산되며 2012년부터 성장세를 보임. - 이 시장은 콘크리트 보강철근, 보강철근메쉬 및 압연강제 등을 포함함.(아래 표는 모든 철근 제품에 해당) 호주 철근제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AU$ 백만, %) 구분 | 2011 | 2012 | 2013 |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및 성장률 | 7,114.2 | -5.2 | 7,381.6 | 3.8 | 7,455.7 | 1.0 |
자료원: IBIS World ○ 시장전망 - 호주 Leighton Contractors사의 아시아사업 담당자에 의하면 호주 건설시장 규모는 2013년 말 기준 약 200조 원 규모이며, 매년 12.7% 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자원가격 하락 및 중국시장 둔화로 광산붐이 감소하고 있으나 대규모 중공업 건설이 호주의 건설경기를 주도하고 있음. - 호주 정부는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해 인프라 건설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어 2016년 이후로 연평균 약 2%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특징 - 철근은 주로 주택 및 아파트(20%), 상업용 빌딩건물(40%), 도로 및 항만 등의 인프라 건설산업(40%)에서 사용되며 그 밖의 에너지 자원개발 프로젝트와 관련된 플랜트 건설에도 사용됨. - 주요 철근제품 중 호주시장에서의 사용분포는 압연강제(36.5%), 콘크리트 보강철근(20.8%), 콘크리트 보강메쉬(14.6%) 순으로 사용됨. ○ 구매 패턴 - 호주의 철근제품 수요는 약 730만 톤이며, 이 중 230만 톤 정도를 수입에 의존함. - 호주의 철근제품 수입은 200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증가했으며 대부분 아시아 국가에서 수입하며 이는 아시아산 제품 생산비용이 호주 내 생산비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것에 기인함. - 철근제품과 관련해 호주 내 주요 기업은 뉴사우스웨일즈에 29.6%, 빅토리아에 22.7%, 퀸즐랜드에 23.4% 밀집 분포돼 있음. □ 수입동향 ○ 철근제품(HS Code 7214) 기준 호주의 철근제품 수입은 2013년 기준 약 1억7400만 미국 달러로 전년대비 18.7% 감소를 보였으며, 이는 자원가격 하락 및 중국시장 둔화로 광산 및 건설경기 악화가 수입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됨. ○ ACIF(Australian Construction Industry Forum)에 따르면 호주 중앙정부의 저금리 정책과 대도시 인구집중 가속화로 인해 주거 및 상업용 빌딩 분야는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돼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함.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 주요 수입국 1순위는 뉴질랜드로 약 18.2%가 수입되고 있으며 그 외 싱가포르, 중국, 룩셈부르크, 인도 순임. 한국은 전체 수입국 중 8위로 2013년에 전년도에 비해 약 7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호주 철근제품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7214 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 국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1 | 2012 | 2013 | 2011 | 2012 | 2013 | 13/12 | | 전체 | 210.9 | 214.8 | 174.7 | 100.0 | 100.0 | 100.0 | -18.7 | 1 | 미확인 국가 | 111.9 | 118.8 | 100.8 | 53.1 | 55.3 | 57.7 | -15.2 | 2 | 뉴질랜드 | 20.9 | 36.8 | 31.9 | 9.9 | 17.2 | 18.2 | -13.5 | 3 | 싱가포르 | 54.8 | 38.1 | 30.9 | 25.9 | 17.7 | 17.7 | -18.5 | 4 | 중국 | 2.8 | 3.4 | 1.7 | 1.3 | 1.6 | 1 | -48.4 | 5 | 룩셈브르크 | 1.4 | 2.4 | 1.7 | 0.64 | 1.1 | 0.98 | -29 | 6 | 인도 | 0.2 | 0.5 | 1.6 | 0.1 | 0.3 | 0.94 | 212.5 | 7 | 인도네시아 | 3.3 | 1.6 | 1.5 | 1.6 | 0.7 | 0.9 | -1.83 | 8 | 대한민국 | 3.9 | 4.8 | 1.4 | 1.9 | 2.2 | 0.8 | -71.8 | 9 | 벨기에 | 2.9 | 2.1 | 0.8 | 1.4 | 0.9 | 0.5 | -60.2 | 10 | 몰도바 | 0 | 0.8 | 0.5 | 0 | 0.4 | 0.3 | -30.5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 ○ 관세율 - 철근제품 HS Code 7214(기본세율 5%) - 호주 정부는 수입되는 모든 물품에 대해 10%의 부가가치세를 부과하지만 수입자는 추후 국세청으로부터 납부한 부가가치세 전액을 환급받을 수 있음. ○ 수입규제제도 - 호주 건축 법규(BCA, Building Code of Australia)에 따라 관련 인증(Australian Standards의 AS/NZS4671)을 반드시 취득해야 함. - 호주 내 철근제품 수입 및 유통 전문 글로벌 업체인 A사에 따르면 호주의 대표적인 인증 대행업체로 ACRS(Australian Certification Authority for Reinforcing and Structural Steels)가 있으며 다양한 철근제품의 인증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함. □ 주요 유통채널 ○ 몇몇 글로벌 업체는 자체 생산 공장을 보유해 철근제품을 제조 및 유통하고 있지만 호주 대부분의 기업이 해외에서 수입한 철근제품을 입찰방식(Tender System)으로 건설사로 공급함. ○ 글로벌 수입 및 유통업체 A사 구매담당자에 따르면 철근제품의 경우 직접수입을 통한 철근제품 유통이 약 70%를 차지하므로 국내 중소기업의 진출도 용이하다고 함. 3. 경쟁동향 □ 경쟁제품 현황 주요 경쟁제품 현황 업체명 | 브랜드명 | 분야 | 점유율(%) | Arrium Limited | OneSteel, Arrium Steel, ARC(Australian Reinforcing Company) | 철강제 및 철근 보강철근 및 매쉬 | 21.1 | BlueScope Steel Limited | Lysaght, Colorbond, Deckform, Galvaspan, Truecore | 철강제, 철근 및 철강구조물 | 19.4 | Reinforcement Services Pty Ltd | Vicmesh | 보강철근 및 매쉬 | 3.5 | Mesh & Bar | Meshbar | 보강철근 및 매쉬 | 0.8 |
자료원: IBIS World □ 주요 제품 종류 주요 제품종류 
| 
| Deformed Reinforcing Bar | Round Reinforcing Bar | 
| 
| Trench Reinforcing Mesh | Welded Mesh |
□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 호주시장에서 해당 산업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 수가 점진적으로 늘고 있어 인지도가 높은 상태임. - 대한제강(Daehan Steel) 제품은 호주 주요 유통사 및 제조사로부터 품질을 인정받고 있어 다량의 철근이 수입되고 있음.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현지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 CIVENEX (Australia’s Premier Infrastructure Expo) | 전시품목 | 공공건설 및 인프라 프로젝트 관련 건설업 품목 | 개최국가/도시 | 호주/시드니 | 개최주기 | 매년 | 개최기간(2015년) | 2015.5.20.~21. | 웹사이트 | http://civenex.com |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마케팅 방안 ○ 바이어 특성 - 호주 수입업체 담당자에 따르면 바이어는 가격을 매우 중시하며 즉각적인 비용절감 효과가 없는 이상 기존 거래 제품을 좀처럼 바꾸지 않는다고 함. - 정부 정책 및 규제가 변동되거나 고객사의 요구 등 강제적으로 신제품이나 기술을 적용해야 하는 경우가 아니면 변화의 속도가 느린 편임. ○ 마케팅 방안 - 현지 진출을 위해서는 호주에서 요구하는 AS/NZS4671 인증을 취득하고 거래 시 문제가 없도록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함. - 해외제품 수입에 대한 의존도가 큰 제품이지만 현지 경험이 풍부하지 않으면 거래 성사가 어려우므로 전문 수입, 유통업체와의 거래를 우선적인 목표로 세울 필요가 있음. - 철근 수입업체가 신제품을 수입해 현지시장에 소개하는 데 시간·비용·기술·인력 등 여러 조건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바이어와 상담 시 관련자료를 준비해 대처해야 함. - 보수적인 건설시장의 특성상 가격경쟁력 뿐 아니라 철저한 사후 품질관리를 통한 신뢰 확보가 필수적임. 제목 | 호주 유아용 의류 시장동향 |
---|
작성일 | 2014-09-12 | 국가 | 호주 | 작성자 | 강지선(멜버른무역관) | 품목 | 면으로 만든 것 |
---|
품목코드 | 611120 | --> -->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호주 시장규모 - IBIS World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유아의류(Infants’ and children’s clothing)’ 전체 시장규모는 2013년 약 27억 호주 달러로 전년대비 2.9% 증가함. - 높은 호주 인건비와 생산 비용으로 인해 중국, 방글라데시와 인도에서 90% 이상 수입하고 있음. 최근 3년간 호주 유아용 의류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 A$ 백만, %) 구분 | 2011 | 2012 | 2013 |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및 성장률 | 2,544.3 | -2.6 | 2,620.3 | 3.0 | 2,697.0 | 2.9 |
자료원: IBIS World □ 시장 전망 ○ 수요 증대 예상 요인 - 이 시장은 만 14세 이하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며 해당 인구는 호주 전체 인구인 2,300만 명의 19%로 약 430만 명에 해당함. - 현재 호주 인구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관측됨에 따라 해당 제품의 수요도 동반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며 가계 소득이 점차 높아지면서 필수 구매품 중 하나인 유아의류에 대한 지출도 늘어날 것으로 보임. ○ 무역관 전망 - 유아의류 시장에서 낮은 가격이 소비자를 움직이는 첫 번째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호주 기업들은 생산비가 저렴한 중국에 공장을 설립해 현지 생산하거나 값싼 제품을 수입하는 경우가 대다수임. - 해당 산업에서 호주의 수입품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수입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 이 시장에서 가장 큰 소비자 그룹은 35~54세 연령대의 첫 자녀를 가진 부모로 전체 소비의 52.3%를 차지하며 출산 연령대가 35세 이후까지로 올라가는 추세임. - 15~34세는 38%를 차지하며 대부분의 첫 자녀를 출산한 연령대로 영아용 의류 수요가 많으며 55세 이상은 9.7%로 조부모가 되어 손자, 손녀의 옷을 구입하는 그룹임. ○ 구매 패턴 - Kmart, Target, Big W 등의 할인매장을 방문하거나 Pumpkin Patch, Cotton On Kids와 같은 유아용 의류 전문점에서 구입함. - 제품을 비교해 보고 전자결제로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는 유아용 의류 온라인 쇼핑몰도 낮은 가격을 강점으로 지속 성장하고 있음. □ 수입동향 ○ 개관 - 호주의 유아의류(HS 6111.20) 수입 총액은 2013년 기준 1억 830만 달러로 2012년 대비 2.4% 감소 - 2013년 기준 중국산 수입율이 전체의 72.4%로 월등히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방글라데시가 12.3%, 인도가 7.9%이었으며 한국은 2만1000달러로 매우 저조했음.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호주 유아의류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6111.20 기준) (단위 : US$ 백만, %) 순위 | 국가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1 | 2012 | 2013 | 2011 | 2012 | 2013 | 12/13 | 0 | 총계 | 111.0 | 111.0 | 108.3 | 100 | 100 | 100 | -2.4 | 1 | 중국 | 89.9 | 88.1 | 78.4 | 81.0 | 79.4 | 72.4 | -11.0 | 2 | 방글라데시 | 9.9 | 11.0 | 13.3 | 8.9 | 9.9 | 12.3 | 21.6 | 3 | 인도 | 6.3 | 6.0 | 8.6 | 5.6 | 5.4 | 7.9 | 42.3 | 4 | 캄보디아 | 0.0 | 0.0 | 3.1 | 0.0 | 0.0 | 2.9 | 0.0 | 5 | 홍콩 | 2.5 | 3.6 | 2.5 | 2.3 | 3.2 | 2.3 | -31.2 | 6 | 스리랑카 | 0.0 | 0.0 | 0.4 | 0.0 | 0.0 | 0.3 | 2042.7 | 7 | 페루 | 0.0 | 0.0 | 0.3 | 0.0 | 0.0 | 0.3 | 4023.0 | 8 | 태국 | 0.2 | 0.3 | 0.2 | 0.2 | 0.2 | 0.2 | -26.6 | 9 | 프랑스 | 0.2 | 0.1 | 0.2 | 0.1 | 0.1 | 0.2 | 136.8 | 10 | 필리핀 | 0.1 | 0.1 | 0.1 | 0.1 | 0.1 | 0.1 | 6.7 | 27 | 대한민국 | 0.0 | 0.0 | 0.0 | 0.0 | 0.0 | 0.0 | 33.3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2. 수입제도·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규제제도 및 관세율 ○ 수입규제 - 파자마, 목욕 가운, 유아용 침낭 등에 해당하는 유아용 잠옷은 화재 위험성 관련 인증인 AS1249에 따라 적합한 테스트 후 해당되는 라벨을 부착해야 함. ○ 관세율 - HS코드: 6111.20 - 유아의류의 경우 관세가 없거나 품목에 따라 관세율이 최대 5%, 10% 정도이며 한-호 FTA가 발효될 경우 일부 품목의 5%이던 관세는 즉시 철폐됨. - 호주 정부는 수입되는 모든 물품에 대해 10%의 부가가치세를 부과해 수입자는 추후 국세청으로부터 납부한 부가가치세 전액을 환급받을 수 있음. □ 주요 유통채널 ○ 대형 할인매장, 온라인 매장, 현지 딜러로 분류 - Kmart, Target, Big W와 같은 할인매장 체인의 경우 가격을 낮추기 위해 직접 제조업체로부터 대량으로 직수입해 유통함. - 최근 호주 온라인 쇼핑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제품을 비교해 보고 전자결제로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는 유아용 의류 온라인 쇼핑몰도 낮은 가격을 강점으로 지속 성장하고 있음. - 현지 판매법인, 딜러, 수입 및 도매업체 등과 같은 중간 유통업체를 통해 납품이 가능함. 3. 경쟁동향 □ 경쟁제품 주요 경쟁제품 현황 제조업체명 | 브랜드명 | 시장점유율(%) | 원산지(수출국) | Pumpkin Patch Limited | Pumpkin Patch | 6 | 호주 | Cotton On Clothing Pty Ltd | Cotton On Kids | 4.8 | 호주 | OshKosh Australia | OshKosh B’Gosh | 1 | 미국 |
자료원 : IBIS World □ 가격 ○ 중저가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이 높으며 대부분 10~50 오스트레일리아 달러의 가격대임.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경쟁력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 낮음: 호주 바이어 접촉 결과 한국 브랜드 및 제조사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았으며 소비자들도 한국산 브랜드에 대한 정보를 접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임.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전문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 Pregnancy, Babies & Children’s Expo | 전시회명(한국어) | 임신, 아기 & 어린이 엑스포 | 전시품목 | 임신 및 육아 용품, 의류 | 개최국가/도시 | 호주/애들레이드, 시드니, 브리즈번, 퍼스, 멜버른 순으로 개최됨 | 개최주기 | 매년 | 개최기간(2015년) | 2015.4.10~12, 5.22~24, 6.19~21, 7.31~8.2, 10.16~18 | 웹사이트 | www.pbcexpo.com.au |

자료원: www.pbcexpo.com.au 웹사이트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마케팅 방안 ○ 바이어 특성 - 이 시장에서 가격경쟁력이 거래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호주 바이어의 특성상 오랫동안 지켜본 후 신뢰가 가는 업체와 거래하는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 유아 의류를 수입해 유통하는 A사 담당자의 경우 현지 또는 해외에서 개최되는 전시회에 참가해 거래업체를 발굴하는 경우도 있다고 함. □ 마케팅 방안 ○ 한국 기업의 참고사항 - 중국산과 제품과 차별화를 두기 위해 품질과 디자인에 중점을 두어 마케팅하거나 중간 유통단계를 줄일 수 있는 온라인 매장으로 현지 시장을 공략해야 함. - 영문 카탈로그를 만들어 바이어에게 발송하는 등 적극적으로 제품을 홍보하여 거래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함. - 호주 또는 한국에서 열리는 국제적인 규모의 전시회에 참가해 현지 시장을 파악하고 브랜드를 홍보하는 효과를 볼 수 있음. |
|
|
첫댓글
멈추어 버린 봄
봄은 왔는데
아직도 일 년 전과 똑같은 봄이니
세상 모든 시계들의 움직임마저 다 허사다.
꽃은 피는데
아직도 일 년 전의 꽃들의 눈물이 그대로니
세상 모든 꽃들의 아름다움마저 차디찬 서러움이다.
싹은 돋는데
아직도 일 년 전의 여린 싹들에게 미안할 뿐이니
세상 모든 초목들의 생명탐색마저 애도하는 조화이다.
봄은 왔는데
아직도 일 년 전과 똑같은 봄이니
아들 딸을 잃은 사람들의 가슴마다 슬픈 무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