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전 잡기란 쉽지 않읍니다
즉 매립된곳의 (접속)상태를 알수 없기에 계기측정으로 측 값을 보고 판단 하기 때문입니다
1. 트립된 차단기의 누전 확인
- 메가테스테기로 전열 상태 확인시 트립된 전열 라인에 연결된 부하(전자제품)는 모두 제거한다
(메가테스터기의 전열저항 측정시 순간 직류 고압이 흘러 부하 기기에 이상을 줄수 있으므로)
- 차단기를 off시키고 차단기 부하쪽 절연상태 확인
아나로그 형 태광 절연저항계 TKM-910 기준
- 메거테스터기 리드선 COM 어스선(흑색, 리드선 끝이 집게)을 접지에 물리고 다른 리드선 LINE(빨간색)선을
차단기 부하에 A에 대고 메거테스터기 POWER ON/OFF 버튼을 누르면 순간 절연값이 측정 된다

- A와 B를 별도 측정하여 어느 한선의 절연저항 값이 1오음 미만이면 누전으로 본다 즉 한선이 어딘가 단락

- 각 각 2개선을 측정하니 두선다 1오음 미만 측정 두선을 토통 실험한다 부저가 울리면 두선 단락
2. 계통의 라인 분리
차단기가 트립 되있으므로 콘선트에 전원이 안들어오는 라인을 확인하고 그 라인의 중간부분 콘선트 분리한다
- 콘선트에서 전원을 분리하고 입력쪽 2선 출력 쪽 2선을 절연 측정 하여 누전이 발생된곳의 범위를 좁혀 고장난곳을 찾아 낸다
위 내용은 누전용차단기가 트립된 경우 입니다
회원님의 질문은 배선용차단기 트립입니다
배선용은 과전류 차단용이기 때문에 작은 누전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읍니다
- 콘센트에서 부하를 완전 제거하고 배선용 차단기를 올려본다
1) 차단기 트립 된다면 차단기 고장 의심
2) 차단기를 새것으로 교체하였는데 차단기 트립 - 합선 추정
위 누전 찾는 방식으로 찾거나 토통실험으로 구간을 분리 해가며 찾는다
- 차단기가 트립되지 않는다면 부하를 연결합니다 부하를 하나씩 순서별로 가동 시킵니다 어느순간
차단기가 트립 된다면 용량 초과입니다
분전반 구성을 사진으로 올려 주셨으면 원인 판단에 작으나마 도움을 드릴수 있겠는데 글로는 어려움이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