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명님 강의 2014년 2월 14일 사주의 특징과 병약용신
학의 장점 : 학은 불변의 논리이며 상담용에 쓰인다.
학의 단점 : 언제 터지는지 시기를 알 수가 없습니다. (10~20년 후에 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학은 관을 너무많이 두들겨 패면 이혼하는 것은 알지만 언제 터지는지 알 수가 없음을 말합니다.
- 술은 언제 터질지는 아는데 터지는 것에 대한 것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학은 : 원국을 보는 것입니다.
술의 장점 : 언제 터지는지 그 시기를 잘 알 수 있습니다. (당장 또는 1년 정도를 내다 볼 수는 있습니다.)
술의 단점 : 논리적인 것이 아니기에 시류에 따라 변합니다.
현재 일어난 일은 잘 아는데 먼 훗날에 대한 일은 잘 알지 못합니다.
술은 : 대,세운을 보는 것입니다.
學은 논리이고 術은 요령이기에 우리는 학을 배우는 것이지 술을 배울 수 있는 게 아니므로 術을 잘하려면 현장에서 체득해야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學만 공부하다 보면 현재 터진 문제를 모르는 답답함이 있습니다.
즉 일생의 문제는 알지만 현재 닥친 문제가 무엇인지 모르는 맹점이 있습니다.
◉시작은 논리인 학에서 찾는데 바로 월지인 格에서 찾습니다.
- ①학교. ②진학. ③결혼. ④직업 등을 봅니다.
◉끝내는 것은 술에서 찾습니다.
- ①이혼. ②폐업. ③전업. ④이사 이동을 말합니다.
논리 공부를 많이 한다고 해서 점을 잘 보는 것도 아니고, 논리에 어둡다고 점을 못 보는 것도 아닙니다.
세속에서 유명한 점쟁이는 모두 논리보다는 술에 강한 사람이라 할 수 있으며 잘못되거나 엉뚱한 사람의 생년월일로 점을 보더라도 그것마저도 당사자가 가져가야 하는 것일 뿐입니다.
점을 잘 보는 유명한 사람을 찾아다니는 사람들은 대체로 시작보다는 끝날 때 찾아가는 것입니다.
學은 대체로 원국을 봅니다.
격국론은 원국에서 나오는 것이지 대,세운을 보고 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術이라는 것은 대다수가 대, 세 운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흔히 대운이 식신대운이다. 상관대운이다. 또는 화대운이다. 수대운이다 하여 이렇게 들어오는 것을 내 사주에 들고 들어 와서 점을 보려고 하는데 이렇게 점을 볼 수 가 없는 이유는 논리가 되기 때문입니다.
무당이나 점치는 사람이 쌀이나 동전을 던지는 것은 영감을 얻기 위한 쇼와 같은 것입니다.
많은 甲木일간에게 甲午년이 오면 모두 다른 얘기를 하는데 이것도 동전 던지는 것과 같습니다.
대세운에서 들어오는 오행에 대한 조합은 월과 일이란 두 가지 조합으로 점을 보는 것이고 나머지 6글자는 합충변화에 쓰이는 것입니다.
丙戊丙己 -> 甲이 들어와서 甲己合. 甲丙生 甲戊沖 甲丙生이 된다고 점 보지 말라는 것을 말합니다.
단지 戊土일간이 甲木세운이 들어오면 칠살 관계가 되어 1년 동안 시달리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점을 볼 때 8글자에 대,세운을 넣는 이유는 눈에 띄는 것을 찾기 위해서입니다.
팔자는 불변이며 대, 세운이 들어와서 合沖이 되는 것을 보는 것입니다.
팔자기억을 잘 하는 사람은 특징을 잡아내는데 애로가 있어서 점을 잘 못 볼 수 있습니다.
학에는 운명이 없고, 술속에 운명이 있는 것입니다.
대운과 세운을 학적으로 볼 때는 合沖變化를 보고 格과 用神이 왔는가를 보는 것입니다.
대운과 세운으로 점을 볼 때는 특징을 잡아내는데 사용하는 것입니다.
甲木일간이 甲午년에 비견과 상관에 대한 일이 벌어진다고 예전부터 주장하는데 이것은 단기적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장기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니 논리인 학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학자는 점을 볼 때 마라톤과 같이 길게 보고, 술사는 단거리처럼 보는 것입니다.
격용신은 원국에 존재하는 것이지 운에서 오는 것은 못 쓰는 것입니다.
식신은 편관이 칠살이 되지 않도록 하는데 사용하는 것뿐이지 현실을 사는 사람에게는 쓸모가 없습니다.
이처럼 격국용신이란 것은 논리에서 필요한 것이지 실생활에서 꼭 필요한 것도 아니고 세상을 살아가는데 없다 하여도 아무런 지장은 없다고 할 것입니다.
역학 공부할 해서 먹고살만하면 학을 해야 하고, 먹고 살려면 술을 해야 하는 것이니 각자가 알아서 처신해야 할 것입니다.
술사는 미래를 모르는 대신 코앞에 벌어진 일을 알기에 술사의 인생도 코앞만 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술사는 미래에 대한 대안이 없어서 언발에 오줌누는 식의 처방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학자는 코앞에 닥친일은 조금 어두워도 자기가 가야하는 방향과 목표는 알 수 있는 사람입니다.
사주에서 용신이 뚜렷하면 학을 잘 합니다.
사주에서 용신이 흐릿하면 술을 잘 합니다.
용신은 땅이 꺼졌을 때 잡을 수 있는 동아줄과 같은 것을 말합니다.
격이란 것은 단단한 땅과 같은 것입니다.
격이 무너지면 지탱을 해야 하는 땅이 없어져서 동아줄인 용신에 매달린 것과 같습니다.
격과 용신이 튼튼하다는 것은 땅도 튼튼하고 위험할 때 잡을 수 있는 줄도 있는 것과 같습니다.
용신이 없거나 용신이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은 위기에 빠졌을 때 잡을 수 있는 줄이 없음과 같습니다.
대,세운에서 오는 용신운을 볼 건지 말 것인지를 묻는다면 대,세운의 용신은 동아줄과 같은 것입니다.
8글자가 튼튼한 사람은 단단한 땅위에 있는 것과 같아서 대,세운에서 오는 동아줄 같은 용신을 잡을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8글자가 튼튼한 사람은 용신운이든 기신운이든 흔들리지 않고 버티고 이겨내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은 대,세운에서 데미지를 크게 받아 무너지고 또 어떤 사람은 데미지를 받고도 버티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때 어디까지 무너지는지 또는 힘들지만 잘 버텨 낼 수 있는 사람인지를 알지 못 하며 기신과 용신은 잘 구별을 하지만 흔히 실패와 시련을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게 역학인입니다.
이것은 격이 튼튼하면 시련이 와도 버티어 내는 사람이고, 격이 튼튼하지 못한데 용신이 무너지면 동아줄이 끊어진 것과 같아서 실패를 겪게 되는 것이라고 봅니다.
격이 파격이면 땅이 튼튼하지 않다는 것이고, 용신이 없다는 것은 위기 때 잡을 줄이 없음과 같습니다.
격은 무너져도 용신이 튼튼한 사람도 많습니다.
격은 단단한데 용신이 없는 사람도 많이 있습니다.
격과 용신이 모두 망가진 사람도 많이 있습니다.
8글자가 단단하면 대,세운은 별 의미가 없어서 보지 않고도 상담을 할 수 있습니다.
8글자가 무너지면 대,세운의 용신도 잘 쓸 수 없는 이유는 줄을 잡고 잠깐은 버티어도 1년 동안 버틸 수 있는 사람은 없기 때문입니다.
8글자가 깨진 사람에게 오는 용신 운은 땅이 꺼지는데 잠시 동안 잡을 수 있게 하는 동아줄과 같은 것이므로 결국은 놓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8글자가 무너진 사람에게 용신운이 왔다고 갑자기 10억 100억대 부자가 되는 것이 아니고 물에 빠졌을 때 죽지 않으려고 잡은 구명튜브나 줄 같은 것을 의미할 뿐입니다.
그러나 현재는 대운과 세운을 점의 용도와 학의 용도로 갈라 쓰지 못하고 중첩해서 쓰는 것이 현실입니다.
예문 1
癸辛戊戊 女 甲
巳酉午午 午年
이 사주에서 가장 잘 보이는 것이 점이다.
점을 보는데 칠살이 보이면 고독하고 외롭게 혼자 사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미래가 아닌 현재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논리는 틀려도 점은 안 틀리기에 의구심을 갖지 말고 자신 있게 말을 해도 되는 것입니다.
머리에 논리가 너무 많으면 자신감이 없어져서 말을 뱉어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역학에서 옥석을 구분해야 한다는 것은 점의 특징과 학의 논리를 가릴 줄 알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이 사주에서 인성혼잡이 보였다면 헷갈리고 있다는 한 가지만 통변하면 되지 인성혼잡의 수많은 통변을 말할 필요는 없습니다.
실제로 이 여자 분은 유부녀신분으로 밖에서 남자를 만나면서부터 이혼을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헷갈리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10년전에 이 여자 분이 상담을 왔었다면 인성혼잡을 보지 않았을 것입니다.
火濕이 보였다면 많은 통변용어 중에서 아는 것 한 가지만 말하면 되는 것으로 즉 성질이 나쁘다고 하였으면 그것으로 되는 것입니다.
甲午 세운 때문에 재극인을 보았다면 여러 통변 중에서 우울증에 빠졌다고 말하면 되는 것입니다.
팔자를 처음 대해서 점을 볼 때는 8글자를 다 보고 헤아리려 한다면 사주를 볼 수 없으므로 일간만 쳐다보고 말을 해주다보면 자연스럽게 전체를 아우르는 눈이 생기게 됩니다.
이때 8글자만 보고 답이 안 나온다고 대운을 쓰면 10자이고 또 답이 안 나와서 세운을 쓰게 되면 12자가 되므로 더욱 더 난감해 질 수 밖에 없습니다.
이처럼 8글자가지고 점을 볼 수 없다면 대,세운을 넣는다고 해서 달라지는 것은 없습니다.
예문 2
○庚癸甲 男
○辰酉寅
팔자를 볼 때 항상 특징을 보아야 합니다.
1. 격은 육친을 말합니다. >> 길신. 흉신. 살신
2. 억부는 오행을 말합니다. >> 편중이냐 아니냐를 봅니다. (대체로 60~70%의 사주는 모두 편중입니다.)
☞ 이 사람은 신왕재왕한 팔자로서 편중된 것이고 대립이 된 것 입니다.
- 통관용신을 사용할 때는 대립된 두 세력을 중재하는 역할에 쓰이는 것이기에 일간인 내가 좋으라고 쓰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기적 목적에 사용할 수 없음을 말합니다.
즉 통관용신운이 왔다는 것은 자기에게 좋은 일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병약용신은 귀인을 끌어다 일을 해결 시키는데 쓰는 것입니다.
- 나는 힘이 없지만 누군가 해결해주는 사람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病藥用神이란 기신의 세력이 있을 때 이것을 두들겨 패주는 것이 用神입니다.
억부용신법에서는 일간이 강하면 설하는 식상도 쓰고 약하면 비겁도 쓰고 있는데 이것은 자기 마음 대로하는 것이지 논리적으로는 없는 것입니다.
이처럼 혼용을 해서 통관용신을 쓰거나 병약용신을 쓰거나 하다 보면 비겁을 쓰는 경우도 나오는데 이것을 가리지 않고 쓰는 것 때문에 와전 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病藥用神을 쓸 때 일간을 부축해야 하는지 아니면 기신을 패야 하는지를 구분이 안 되는 경우는 많습니다.
- 일간이 약하여서 부축을 해주는 게 있으면 스스로 해결을 하라는 것입니다.
기신의 세력이 커서 病인데 이때 일간을 부축하는 것이 아니고 큰 기신을 패는 것은 藥용신 입니다.
가난한 여자가 일간이 신약한데 부축을 받았다면 독립하여서 자신을 업그레이드 하라는 것입니다.
가난한 여자가 기신의 세력이 커서 병인데 약을 쓰는 용신을 구했다면 자신을 업그레이드 하지 말고 부자집에 시집가라고 하는 것입니다.
☞ 일간용신 법에는 설하는 식상용신을 못 쓰고 비겁도 안 쓰는 것입니다.
- 오로지 일간이 강하면치고 약하면 부축해주는 것만을 쓰는 것입니다.
역학하는 사람은 실력이나 분위기로 신뢰를 주어야 상담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누구를 속이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상담자와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8글자 분석은 특징을 찾아야 하는 것입니다.
- 8글자를 분석할 때는 가장 약한 것을 찾는 게 아니고 강한 놈을 찾아야 합니다. (편중)
◉점은 눈에 띄는 것을 찾아야 하는 것입니다.
신왕재왕은 지배자임을 의미합니다.
병약에서의 약은 스스로가 아니라 타인의 힘을 의미합니다.
병약용신과 공통점이 많은 것은 조후용신이라 할 수 있는데 조후용신을 쓰게 되면 타인의 힘을 빌려 써야 하므로 불로소득 할 것을 만들어야 하는 사람입니다. (유산. 연금. 임대업 등)
신왕은 스스로를 말하는 것이니 자수성가하는 것입니다.
재왕은 지배자입니다.
재격이나 재다는 ->> 역마. 넓은 땅. 바다건너. 무간섭. 자연인등을 의미합니다.
재격이나 재성은 돈만을 말하거나 사업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갇혀있기 싫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왕재왕은 강력한 지배자이고 감시하고 다니는 것을 의미합니다.
☞미래에 대한 조언은 논리로 하는 것입니다.
☞점은 단언을 하는 것입니다. (논리는 없습니다.) 당연히 이현령 비현령 됩니다.
◉논리에 대한 궁합 기준은 무엇인가?
☞현재의 궁합법은 조후와 억부로 조언을 해줍니다.
☞과거의 궁합법은 무병장수와 자식과 다복하게 사는 것으로 조언을 해 주었습니다.
☞미래의 궁합은 일간체용신과 격으로 조언을 해주어야 하는 시대가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辛金일간과 甲木일간은 같은 체성인 식상을 사용하기에 성향이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격국론의 위대함은 세월이 아무리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 두 사람의 궁합을 볼 때 庚金일간은 火인 관을 원하고, 辛金일간은 水인 식상을 원하므로 각자 성향이 다르기에 나이 들어서는 같이 있기 힘든 것을 의미합니다.
남 : 신왕재왕이지만 억부는 火인 관이고,(신왕재왕을 유지하는 것은 피해보는 한 사람을 계속 두둘겨 패는 것이라 안 됩니다)
녀 : 신왕관왕이지만 억부는 火인 관입니다. (관왕하다고 해서 관을 깨뜨리면 안 됩니다.)
일간용신법에서는 관을 깨는 것도 안 되고 비겁도 용신이 안 됩니다. (일간은 치거나 부축해야 합니다.)
올해 억부용신인 火는 두 사람 모두에게 필요한 것이고 나갈 수 있는 문이고 기회가 온 것입니다.
火용신운이라는 것은 다른 여자나 다른 남자를 만날 수 있는 문이 열렸으므로 둘 다 등을 돌리고 다른 곳을 쳐다보는 것이기에 떠나야 하는 것이라고 해야 합니다.
만약 壬子년이었으면 현상유지 하는 것으로 둘이 계속 만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용신운이라는 것은 올바로 사는 것을 의미하거나 공명정대하게 사는 것을 말하지 않습니다.
명리는 삼강오륜이 아니라서 올바른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어떻게든지 살길을 찾는 것을 의미합니다.
☞명리적 이론은 항상 두 가지 길이 있기 때문에 조언을 하는데 사용합니다.
- 이것은 선택을 시킬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 명리의 단점은 역학인이 결정하는 것이 아니고 상담자가 스스로 결정을 해야 합니다.
명리는 철저하게 남의 인생을 봐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점을 보아 줄때는 확실하게 단언을 해서 말해주어야 합니다.
- 점은 타협이 아니라 결정을 내려주어야 하는 것이기에 자신 있게 말해야 합니다.
점은 내가 본 것이고 내 것이기에 단언을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예문 3
乙辛辛己 男
未卯未酉
인왕신왕한 사주이며 이때도 관을 써야지 재성을 쓰면 안 됩니다.
인왕신왕에 관을 쓰게 되면 인왕한 것이 해결되지는 않지만 건드리지도 않은 것입니다.
원래 인성은 아무리 커도 건드리지 말아야 하며 재를 써서 두둘겨 패면 안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논리적으로 인성이 크니까 재성으로 패라는 것은 다리 부러진 사람을 치료하지 않고 오히려 열심히 운동해서 부러진 다리를 복원시키려고 하는 경우가 되므로 그렇게 하면 안 됩니다.
그러나 살신인 효신과 칠살은 아무리 작아도 패야 하는 것입니다.
甲午년은 관용신인 火가 온 것이기에 떠날 수 있음을 말하고 그러한 운이 왔음을 말하는데 이러할 때 역학인이 단언을 해야 하나요 조언을 해야 하나요 묻는다면 당신은 헤어지겠다가 아니라 헤어질 수 있는 기회가 왔다고 조언을 해야 합니다. 즉 선택을 하라는 것과 같습니다.
남자나 여자나 용신운에 바람을 피우거나 살려고 뛰쳐나갑니다.
팔자를 볼 때는 첫 인상인 점부터 보아야 하는 것이지 학부터 먼저 보면 안 답이 안 나옵니다.
完
첫댓글 올해는 막아도 자꾸 새는 일이 많이 생기고 집중도 잘 안되어서 정리 후기가 늦었습니다.
네..운명이 여러형태로 우리에게 숙제를 주고 시달리게도 하는거 같습니다. 후기 감사드리구요. 올해도 잘 부탁드립니다.
술래님 잘 읽었습니다. 수고 많으셨어요^^
바쁘신데 술래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