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정고시 수험생을 위해 검정고시학원 학습정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검정고시시험에서 자주 언급되는 내용입니다. 검정고시 시험 준비하시는데 도움되셨으면 좋겠네요.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
검정고시학원 대입 영어 접속사 so~ that
접속사 so~ that
◎ 접속사 so~ that
‘너무~하여 …하다’의 뜻으로 so 다음에는 형용사나 부사가 오며 that절은 결과를 나
타낸다.
[예문]
- He spoke English so fast that I could not follow him.
[그는 영어를 너무 빨리 말해서 알아들을 수가 없었다.]
- He was so excited (that) he could not speak.
[그는 몹시 흥분되어 있어서 말을 할 수 없었다.]


대입 국사 모의고사 가장 낮은 신분
가장 낮은 신분
다음 중 조선 시대에 있어서 가장 낮은 신분은?
① 향리
② 상인
③ 광대
④ 농민
해설 및 정답 : ③
향리는 중인, 상인 농민은 상민(양인), 광대는 천민에 속한다.
대입 국사 모의고사 고구려 시대
고구려 시대
고구려 시대의 사회 모습이 아닌 것은?
① 평민은 서옥제를 통한 혼인 풍습이 있었다.
② 통치 질서와 사회 기강을 유지하기 위한 형법은 매우 엄격하였다.
③ 정치를 주도하며 높은 지위를 누린 것은 왕족과 5부 출신의 귀족이었다.
④ 백성은 국가에 조세를 바치고 병역 의무를 지며 토목 공사에도 동원되었다.
해설 및 정답 : ①
지배층의 혼인 풍습으로 서옥제와 형사취수제가 있었고, 평민은 남녀 간의 자유로운 교제를 통하여 혼인하였다.

대입 국사 모의고사 고려시대 여성의 지위
고려시대 여성의 지위
고려시대 여성의 지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여성의 재혼은 비교적 자유로웠다.
② 여성은 족보(호적)에 기록하지 않았다.
③ 철저한 남성 중심의 사회로 남녀 차별이 심했다.
④ 출가한 딸은 부모의 유산을 상속받을 수 없었다.
해설 및 정답 : ①
고려시대 여성은 18세 전후, 남성은 20세 전후에 혼인을 하였다. 부모의 유산은 자녀에게 골고루 분배되었으며, 태어난 차례대로 호적에 기재하여 남녀 차별을 하지 않았다. 아들이 없을 경우 양자를 들이지 않고 딸이 제사를 지냈으며, 여성의 재가도 비교적 자유롭게 이루어졌고, 그 소생 자식의 사회적 진출에도 차별을 두지 않았다.

대입 국사 모의고사 공통된 목적
공통된 목적
다음 제도의 공통된 목적은?
보기
고구려 - 진대법 고려 - 의창 조선 - 환곡
① 왕권 강화
② 빈민 구제
③ 귀족세력 강화
④ 경제 활성화
해설 및 정답 : ②
진대법:먹을거리가 모자란 봄에 곡식을 빌려주었다가 가을에 추수한 것으로 갚게하는 제도를 말한다. 고구려 고국천왕 때 실시하였으며 가난한 농민을 구제하여 국가 재정과 국방력을 유지하고, 귀족 세력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한 정책이다.
의창:평시에 곡물을 비치하였다가 흉년에 빈민을 구제하는 제도
환곡:농민 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곤궁한 농민에게 곡물을 빌려 주고 10분의 1정도의 이자를 거두는 제도


앞으로도 계속되는 검정고시 학습정보 잘 활용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자료출처 - 에듀윌 http://www.eduwil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