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동역사 제35권 / 교빙지(交聘志) 3
조공(朝貢) 3 고려(高麗)
[DCI]ITKC_BT_1433A_0370_010_0010_2007_004_XML DCI복사 URL복사
○ 진(晉)나라 고조(高祖) 천복(天福) 4년(939, 태조22) -기해- 9월 병술에 고려가 광평 시랑(廣評侍郞)
형순(邢順)을 사신으로 보내왔다. 《오대사(五代史)》
○ 소제(少帝) 천복 8년(943, 태조26) -계묘- 9월에 고려가 왕자인 태상(太相) 왕신일(王申一) 등을 사신으로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책부원귀(冊府元龜)》
○ 11월 신축에 고려가 광평 시랑 김인봉(金仁逢)을 사신으로 보내왔다. 갑인에 또 태상(太相)을 사신으로
보내왔다. 《오대사》
○ 출제(出帝) 개운(開運) 2년(945, 혜종2) -을사- 겨울 10월 정축에 고려가 광평 시랑 한현규(韓玄珪), 예빈
경(禮賓卿) 김렴(金廉) 등을 사신으로 보내왔다. 무자에 병부 경(兵部卿) 유숭관(劉崇觀), 내군 경(內軍卿)
박예언(朴藝言)을 사신으로 보내왔다. 《상동(上仝)》
○ 주(周)나라 태조(太祖) 광순(廣順) 2년(952, 광종3) -임자- 정월에 권지국사(權知國事) 왕소(王昭)가 광평
시랑 서봉(徐逢) 등 97인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7월에 고려의 승려 사태(思泰)가 방물을 바쳤다.
10월에 회남(淮南)에서 고려의 사신 진삼(陳參) 등을 보내어 대궐에 도착하여 알현하자, 칙서를 내려
주식(酒食)과 의복을 하사하였다. 《책부원귀》
○ 세종(世宗) 현덕(顯德) 원년(954, 광종5) -갑인- 10월에 -살펴보건대 《오대사》에는 2년 10월 무인으로
되어 있다.- 고려가 왕자인 태상(太相) 왕융(王融)을 파견하여 와서 방물을 조공하였다. 《상동》
○ 2년(955, 광종6) -을묘- 11월에 다시 고려가 광평 시랑 순질(荀質)을 파견하여 와서 방물을 조공하고,
등극한 것을 축하하였다. 《상동》
○ 6년(959, 광종10) -기미- 정월 임자에 고려국의 왕 왕소(王昭)가 그의 신하인 왕자 좌승(佐丞)
왕긍(王兢)과 좌윤(佐尹) 황보위광(皇甫魏光) 등을 보내와서 명마(名馬) 및 짜서 만든 옷과 바지, 활, 칼,
그릇, 갑옷 등을 바치니, 왕긍 등에게 용의(龍衣), 은대(銀帶), 기폐(器幣) 등을 차등 있게 하사하였다.
-살펴보건대 《오대사》에, “이해 정월에 사신을 보내어 황동(黃銅)을 조공하였다.” 하였다.- 8월에
-살펴보건대 공제(恭帝)가 즉위한 뒤이다. 《오대사》에는 8월 임인으로 되어 있다.- 사신을 파견하여
조회하였다. 11월에 다시 사신을 파견하여 황동 5만 근, 백수정(白水精) 2000알을 조공하였다. 《상동》
○ 《오대사》에, “이해 10월에 또 사신을 보내었다.” 하였다.
○ 송(宋)나라 태조(太祖) 건륭(建隆) 3년(962, 광종13) -임술- 11월 병자에 고려국의 왕 왕소(王昭)가
정사(正使)인 광평 시랑 이흥우(李興佑), 부사(副使)인 이여희(李勵希), 판관(判官) 이빈(李彬) 등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송사(宋史)》
○ 4년(963, 광종14) -계해- 9월에 고려가 사신 시찬(時贊) 등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바다를 건너다가 태풍을 만나 물에 빠져 죽은 자가 70여 인이었는데, 시찬은 겨우 살아났다.
조서를 내려서 위로해 주었다. 《상동》
○ 건덕(乾德) 3년(965, 광종16) -을축- 봄 정월 을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회하고 공물을
바쳤다. 《상동》
○ 개보(開寶) 5년(972, 광종23) -임신- 가을 7월 경인에 고려가 정사인 내의 시랑(內議侍郞) 서희(徐煕),
부사인 내봉 경(內奉卿) 최업(崔鄴), 판관 광평 시랑 강례(康禮), 녹사(錄事) 광평 원외랑(廣評員外郞)
유은(劉隱)을 사신으로 파견하여 와서 공물을 바쳤다. 《상동》
○ 9년(976, 경종1) -병자- 9월 경오에 권지국사(權知國事) 왕주(王伷)가 사신 조준례(趙遵禮)를 파견하여
토산물을 조공으로 바쳤다. 《상동》
○ 태종(太宗) 태평흥국(太平興國) 2년(977, 경종2) -정축- 12월 신사에 고려의 왕이 그의 아들
왕원보(王元輔)를 사신으로 파견하여 즉위한 것을 축하하고, 양마(良馬), 방물(方物), 병기(兵器)를 가지고 와
조공하였다. 《상동》
○ 3년(978, 경종3) -무인- 10월 계축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방물과 병기를 조공하였다.
《상동》
○ 5년(980, 경종5) -경진- 6월 임오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6년(981, 경종6) -신사- 여름 4월 병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7년(982, 성종1) -임오- 에 왕주(王伷)가 졸하였다. 그의 동생 왕치(王治)가 지국사(知國事)가 되어 사신
김전(金全)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면서 금실과 은실로 장식한 계금포(罽錦袍), 계금욕(罽錦褥), 금과 은으로
장식한 칼, 활과 화살, 명마(名馬), 향(香), 약(藥) 등을 조공하였다. 《상동》
○ 옹희(雍煕) 원년(984, 성종3) -갑신- 11월 임자에 고려가 사신 한수령(韓遂齡)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3년(986, 성종5) -병술- 겨울 10월 임자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단공(端拱) 원년(988, 성종7) -무자- 11월 갑신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2년(989, 성종8) -기축- 에 고려가 정사인 선관시랑(選官侍郞) 한인경(韓藺卿), 부사인 병관낭중(兵官郞中)
위덕유(魏德柔), 판관(判官) 소부승(少府丞) 이광(李光)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순화(淳化) 원년(990, 성종9) -경인- 10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신귀수존(神龜壽尊)을 바쳤다.
《옥해(玉海)》
○ 12월 을묘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송사》
○ 2년(991, 성종10) -신묘- 에 고려가 사신 한언공(韓彦恭)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4년(993, 성종12) -계사- 봄 정월 을미에 고려가 사신 백사유(白思柔)를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고, 아울러
경전(經典) 및 어제(御製)를 하사해 준 데 대하여 사례하였다. 《상동》
○ 요(遼)나라 성종(聖宗) 통화(統和) 11년(993, 성종12) -계사- 3월에 고려국의 왕 왕치(王治)가
박양유(朴良柔)를 파견하여 표문(表文)을 받들고 죄주기를 청하였다. 《요사(遼史)》
○ 12년(994, 성종13) -갑오- 2월 기축에 고려가 와서 조공하였다. 3월 정사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포로로 잡아간 사람과 가축을 돌려주기를 요청하니, 조서를 내려 속환(贖還)하게 하였다. 12월 무자에
고려가 기악(妓樂)을 올렸다. 《상동》
○ 송(宋)나라 순화(淳化) 5년(994, 성종13) -갑오- 6월에 고려가 사신 원욱(元郁)을 파견하여 군사를 보내
주기를 요청하면서 거란(契丹)이 경내를 침구(侵寇)하였다고 하소연하였는데, 조정에서 허락하지 않고 단지
조서를 내려 위무하기만 하였다. 이로부터 고려가 거란의 압박을 받아 조공이 중간에 끊어졌다.
왕치(王治)가 졸하고 그의 동생 왕송(王誦)이 즉위하였다. 왕송이 일찍이 병교(兵校) 서원(徐遠)을 파견하여
조정의 덕음(德音)을 살피도록 하였는데, 서원이 오래도록 도착하지 않았다. 《송사》
○ 요나라 통화(統和) 13년(995, 성종14) -을미- 2월 갑진에 고려가 사신 주정(周楨)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5월 임자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매를 진상하였다. 10월 갑신에 고려가 이지백(李知白)을
보내와서 조공하였다. 《요사》
○ 14년(996, 성종15) -병신- 3월 임인에 왕치(王治)가 표문을 올려 혼인하기를 청하였다. 6월 기축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안부를 물었다. 그 뒤로는 수시로 사신이 왔다. 《상동》
○ 15년(997, 성종16) -정유- 에 고려가 사신 한언경(韓彦敬)을 파견하여 와서 빙폐(聘幣)를 바쳤다. 《상동》
○ 송나라 진종(眞宗) 함평(咸平) 3년(1000, 목종3) -경자- 에 고려가, 신하 이부 시랑 조지린(趙之遴)이
아장(牙將) 주인소(朱仁紹)에게 명하여 등주(登州)에 와서 정탐하게 하였는데, 상이 특별히 불러서 보았다.
《송사》 ○ 세기(世紀)에 상세히 나온다.
○ 요나라 통화(統和) 20년(1002, 목종5) -임인- 2월 정축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송나라를 쳐서
이긴 것을 축하하였다. 가을 7월 신축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고려의 지리도(地里圖)를 조공하였다.
《요사》
○ 송나라 함평(咸平) 6년(1003, 목종6) -계묘- 에 고려가 호부 낭중(戶部郞中) 이선고(李宣告)를 사신으로
파견하여 와서 조회하고 사은하였다. 《송사》
○ 요나라 통화 23년(1005, 목종8) -을사- 5월 병인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송나라와 화친(和親)한
것을 축하하였다. 《요사》
○ 26년(1008, 목종11) -무신- 5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문화전(文化殿)과 무공전(武功殿)에
용수초지석(龍鬚草地席)을 바쳤다. 《상동》
○ 28년(1010, 현종1) -경술- 11월에 왕순(王詢)이 사신을 파견하여 표문을 올리고 조회하기를 청하니,
허락하였다. 《상동》
○ 개태(開泰) 원년(1012, 현종3) -임자- 8월에 고려가 전공지(田拱之)를 파견하여 표문을 올리니, 병을
칭탁하고 조회하지 못하겠다고 하였다. 《상동》
○ 송나라 대중상부(大中祥符) 7년(1014, 현종5) -갑인- 에 고려가 고주사(告奏使)로 어사공부
시랑(御事工部侍郞) 윤증고(尹證古)를 파견하여, 금실로 짜서 만든 용봉안(龍鳳鞍), 수를 놓아 만든 용봉안과
용봉복(龍鳳幞) 각 2폭, 세마(細馬) 2필, 산마(散馬) 20필을 가지고 와서 조공하였다.
○ 8년(1019, 현종10) -기미- 11월 계해에 고려가 어사민관 시랑(御事民官侍郞) 곽원(郭元)을 파견하여
동여진(東女眞)과 함께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연익이모록(燕翼貽謀錄)》에, “대중상부 8년에 장복(張復)이 상언(上言)하여 조공하는 여러 나라의
의관(衣冠) 모습을 그림으로 그리고 풍속(風俗)을 기록하여 사관(史官)이 기록하는 데 대비하기를 청하니,
황제가 따랐다. 이때 조회하러 온 나라는 고려(高麗), 서하(西夏), 주련(注輦), 점성(占城), 삼불제(三佛齊),
몽국(蒙國)뿐이었다.” 하였다.
○ 천희(天禧) 원년(1017, 현종8) -정사- 11월 임술에 고려가 어사형관 시랑(御事刑官侍郞) 서눌(徐訥)을
파견하여 여진(女眞)의 추령(酋領)을 거느리고 와서 표문을 올리고 방물을 바쳤다. 또 수춘왕(壽春王)을
봉건(封建)한 것에 대해서 축하하였다. 《상동》
○ 3년(1019, 현종10) -기미- 9월에 등주(登州)에서 상언하기를, “고려의 진봉사(進奉使)인 예빈 경(禮賓卿)
최원신(崔元信)이 진왕수(秦王水)의 어귀에 이르러서 풍랑을 만나 배가 뒤집히는 바람에 공물(貢物)을
잃어버렸습니다.” 하니, 조서를 내려 내신(內臣)을 파견하여 위로하였다. 11월에 최원신 등이 들어와
알현하고서 계금의(罽錦衣), 계금욕(罽錦褥), 오칠갑(烏漆甲), 금으로 장식한 장도(長刀)와 비수(匕首),
계금안마(罽錦鞍馬), 저포(紵布), 약물(藥物) 등을 조공하고, 또 중포(中布) 2000단(端)을 올렸다. 《상동》 ○
살펴보건대 《책부원귀》를 보면, 이해에 인삼과 약물을 진공하였다.
○ 요나라 개태(開泰) 8년(1019, 현종10) -기미- 12월 신해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방물을 조공하기를
청하니, 조서를 내려 들이게 하였다. 《요사》
○ 송나라 천희(天禧) 5년(1021, 현종12) -신유- 에 고려가 고주사(告奏使)로 어사예부 시랑 한조(韓祚) 등
179인을 파견하여 와서 사은하였다. 또 거란(契丹)과 수호(修好)하였다고 말하였다. 《송사》
○ 요나라 태평(太平) 원년(1021, 현종12) -신유- 11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요사》
○ 송나라 인종(仁宗) 천성(天聖) 8년(1030, 현종21) -경오- 에 고려가 다시 어사민관 시랑 원영(元穎) 등
293인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들어와 조회하고, 금기(金器), 은계도검(銀罽刀劍), 안륵마(鞍勒馬),
향유(香油), 인삼(人蔘), 세포(細布), 동기(銅器), 유황(硫黃), 청서피(靑鼠皮) 등의 물품을 조공하였다. 다음 해
2월에 하직하고 돌아갔는데, 사신을 파견하여 등주(登州)까지 호송하였다. 그 뒤로는 사신이 끊어져 중국과
통하지 않은 것이 43년이다. 《송사》
○ 요나라 흥종(興宗) 중희(重煕) 7년(1038, 정종4) -무인- 2월 정축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요사》
○ 12년(1043, 정종9) -계미- 3월 임진에 존호(尊號)를 더해 올린 일로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13년(1044, 정종10) -갑신- 3월 정해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6월 병오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12월 기해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14년(1045, 정종11) -을유- 4월 신해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15년(1046, 정종12) -병술- 3월 정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16년(1047, 문종1) -정해- 12월 임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17년(1048, 문종2) -무자- 4월 병자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19년(1050, 문종4) -경인- 4월 갑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6월 갑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서하(西夏)를 정벌하여 이긴 것을 축하하였다. 《상동》
○ 22년(1053, 문종7) -계사- 6월 계미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23년(1054, 문종8) -갑오- 4월 계묘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도종(道宗) 청녕(淸寧) 2년(1056, 문종10) -병신- 6월 계묘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3년(1057, 문종11) -정유- 11월 경자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송나라 신종(神宗) 희령(煕寧) 2년(1069, 문종23) -기유- 에 고려국의 예빈성(禮賓省)에서
복건전운사(福建轉運使) 나증(羅拯)에게 공첩(公牒)을 보내어 말하기를, “상인(商人) 황진(黃進)과 홍만(洪萬)
등에게 공장(公狀)을 부치니, 답장을 받아 보고서 즉시 예를 갖추어 조공하겠습니다.” 하였다. 나증이 이를
아뢰니, 신종이 허락하고 나증에게 명하여 뜻을 효유하게 하였다. 《송사》
○ 요나라 함옹(咸雍) 7년(1071, 문종25) -신해- 11월 병오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요사》
○ 8년(1072, 문종26) -임자- 6월 정축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송나라 희령(煕寧) 5년(1072, 문종26) -임자- 에 고려의 왕휘(王徽)가 민관 시랑 김제(金悌) 등 100인을
파견하여 오니, 조서를 내려 하국(夏國)의 사신을 대우하는 예로 대우하게 하였다. 《송사》
살펴보건대 《고려사(高麗史)》를 보면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문종 26년 -바로 희령 5년이다.- 6월 갑술에 김제(金悌)가 송나라로부터 돌아왔는데, 송나라 황제가 칙서
5통을 보내왔다. 그 가운데 네 번째 칙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귀국의 사신 김제가 성(省)에 와서 진봉(進奉)한 바를 살펴보았다.
어의(御衣) 2벌과 누런 모직으로 만든 난삼(襴衫) 1벌은 금박을 입힌 붉은 비단으로 만든 겹보로 싸고, 붉은
모직으로 만든 편복(便服) 1벌은 금박을 입힌 붉은 비단으로 만든 겹보로 싼 다음, 이들을 모두 은으로
조각하여 장식하고 검은 칠을 한 상자에 넣어 금은으로 도금한 자물쇠로 채우고, 이들을 다시 한데 싸서
홍매화(紅梅花)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수건으로 덮었다.
무게가 40냥쭝인 금요대(金腰帶) 1개는 수놓은 붉은 비단으로 만든 겹전대에 넣고, 은으로 조각하여 장식한
무게가 80냥쭝인 갑(匣)에 담은 다음 수놓은 붉은 비단으로 만든 겹보로 싸고, 다시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수건으로 덮었다. 무게가 30냥쭝인 금속대(金束帶) 1개는 수놓은 붉은 비단으로 만든
전대에 넣고, 은으로 조각하여 장식한 무게가 60냥쭝인 갑에 담은 다음 수놓은 붉은 비단으로 만든 겹보로
싸고,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수건으로 덮었다.
총 무게 60냥쭝인 금합(金合) 2벌에는 각각 모직으로 만든 늑파(勒帕) 2개와 모직으로 만든 겹대자(裌袋子)
2개씩을 담아서 금박을 입히고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보에 싼 다음 이들을 모두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수건으로 덮었다. 총 무게 40냥쭝인 금반잔(金盤盞) 2벌은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
겹보로 싼 다음 이들을 모두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수건으로 덮었다. 무게가 65냥쭝인
금주자(金注子) 1벌은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보로 싸고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수건으로 덮었다. 무게가 150냥쭝인 금사라(金鐁鑼) 1개는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보로 싼
다음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수건으로 덮었다.
붉은 모직으로 만든 안석[倚背] 6개는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보로 싸고, 누런 모직으로 만든
안석 4개는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보로 싸고, 붉은 모직으로 만든 요[褥] 4개는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보로 싸고, 누런 모직으로 만든 요 4개는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보로
싼 다음 이들을 모두 은으로 조각하여 장식하고 검은 칠을 한 상자 2개에 담아 은으로 만든 자물쇠로
잠그고서,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수건으로 덮었다.
세궁(細弓) 4개는 모두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전대에 담고, 효자전(哮子箭) 24개, 세족전(細鏃箭)
80개, 금으로 도금하고 은으로 장식한 병장기(兵仗器) 2벌은 붉은 비단으로 만든 겹전대에 넣고, 백은을
입혀 검은 가죽으로 장식한 병장기 1벌은 붉은 비단으로 만든 겹전대에 넣고, 금은으로 도금하고 흰
가죽으로 장식한 병장기 1벌은 붉은 비단으로 만든 겹전대에 넣은 다음 이들을 모두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수건으로 덮었다. 은으로 장식한 장도(長刀) 20자루는 은으로 조각하여 장식하고 검은
칠을 한 칼집에 넣어 채색 비단으로 묶고, 흰 비단으로 만든 외대(外袋) 10개와 푸른 비단으로 만든 외대
10개에 싼 다음 이들을 모두 홍매화를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겹수건으로 덮었다.
세마(細馬)는 모두 4필인데, 안장 2벌은 금으로 도금하고 은으로 장식한 안장의 부속품과 모직으로 만든
크고 작은 다래와 언치, 붉은 비단으로 만든 안장 깔개를 전부 수놓은 붉은 비단으로 만든 겹수건으로
덮었고, 안장 2벌은 은으로 조각한 안장의 부속품과 검은 가죽으로 만든 큰 다래와 붉은 비단으로 만든
작은 언치, 붉은 비단으로 만든 안장 깔개 등을 모두 수놓은 붉은 비단으로 만든 겹수건으로 덮었다.
그 이외에도 향유(香油) 20단지, 잣[松子] 2200근, 인삼(人蔘) 1000근, 생중포(生中布) 2000필,
생평포(生平布) 2000필이 들어 있었다.”
○ 요나라 함옹(咸雍) 9년(1073, 문종27) -계축- 12월 임진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요사》
○ 10년(1074, 문종28) -갑인- 11월 무오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송나라 희령(煕寧) 7년(1074, 문종28) -갑인- 에 고려가 신하 김양감(金良鑑)을 파견하여 왔다. 《송사》
희령 7년 봄에 거란(契丹)이 사신 소희(蕭禧)를 파견하여 오자, 한 위공(韓魏公)이 상소하였다. 그 대략에,
“고려가 거란에 신하로 복종하여 우리 조정에 오랫동안 조공하지 않고 있어서 상선(商船)을 보내어
유시하고 왔습니다. 고려에서 사신이 오고 안 오고는 국가에 본디 아무런 손익될 것이 없습니다. 그러나
거란에서 이 사실을 알 경우에는 우리 조정이 장차 거란을 칠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니, 이는 거란의
의심을 사는 것입니다.” 하였다. 《문견전록(聞見前錄)》
○ 9년(1076, 문종30) -병진- 에 다시 고려가 최사훈(崔思訓)을 파견하여 왔는데, 황제가 총애하는
근시(近侍)에게 명하여 관소(館所)를 수리하고 아주 후하게 대우하도록 하니, 사신으로 오는 사람의 숫자가
더욱 많아졌다. 《송사》
○ 원풍(元豐) 2년(1079, 문종33) -기미- 에 고려가 유홍(柳洪)을 사신으로 보내와서 의원(醫員)을 보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3년(1080, 문종34) -경신- 봄 3월 기축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원풍 연간에 고려에서 정조(正朝)를 하례하면서 바친 예물 가운데 자하배(紫霞杯)가 있다.
《요산당외기(堯山堂外紀)》
○ 요나라 태강(太康) 7년(1081, 문종35) -신유- 11월 기해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요사》
○ 송나라 원풍 8년(1085, 선종2) -을축- 에 고려의 국왕 왕운(王運)이 그의 동생인 승통(僧統)을 파견하여
와서 조회하고, 불법(佛法)을 배우기를 요청하였다.
○ 철종(哲宗)이 즉위하자 고려가 김상기(金上琦)를 봉위사(奉慰使)로, 임기(林曁)를 치하사(致賀使)로
파견하였으며, 그 뒤로 몇 년 동안 사신이 오지 않았다. 《이상 모두 송사》
○ 요나라 태안(太安) 2년(1086, 선종3) -병인- 11월 무인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책봉(冊封)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요사》
○ 3년(1087, 선종4) -정묘- 3월 을묘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4년(1088, 선종5) -무진- 3월 을축에 고려의 세공(歲貢)을 면제하였다. 《상동》
○ 5년(1089, 선종6) -기사- 봄 정월 갑오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6년(1090, 선종7) -경오- 11월 임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송나라 철종 원우(元祐) 5년(1090, 선종7) -경오- 에 다시 고려의 사신이 들어와 조공하였다. 《송사》
○ 6년(1091, 선종8) -신미- 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들어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7년(1092, 선종9) -임신- 에 고려가 황종각(黃宗慤)을 파견하여 와서 《황제침경(黃帝鍼經)》을 바쳤다.
《상동》
○ 요나라 수륭(壽隆) 원년(1095, 헌종1) -을해- 2월 계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요사》
○ 2년(1096, 숙종1) -병자- 겨울 10월 경진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송나라 원부(元符) 원년(1098, 숙종3) -무인- 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들어와서 조공하였다. 《송사》
○ 휘종(徽宗)이 즉위하니, 고려가 임각(任慤)과 왕하(王嘏)를 파견하여 와서 조문하고 축하하였다. 《상동》 ○ 살펴보건대 바로 원부 3년(1100, 숙종5)이다.
○ 요나라 수륭(壽隆) 7년(1101, 숙종6) -신사- 12월 정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즉위한 것을
축하하였다. 《요사》
○ 송나라 숭녕(崇寧) 연간에 고려의 조공하는 사신이 줄을 이었다. 《송사》
○ 금(金)나라 목종(穆宗) 10년(1103, 숙종8) -계미- 2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소해리(蕭海里)를
격파한 것을 축하하고, 비로소 통교(通交)하였다. 《금사(金史)》
○ 강종(康宗) 4년(1106, 예종1) -병술- 에 고려가 흑환방석(黑歡方石)을 사신으로 파견하여 와서
습위(襲位)한 것을 축하하였다. 《상동》
○ 요나라 천조제(天祚帝) 건통(乾統) 8년(1108, 예종3) -무자- 12월 기묘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사은하였다. 《요사》
○ 9년(1109, 예종4) -기축- 12월 갑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송나라 정화(政和) 2년(1112, 예종7) -임진- 에 고려의 사신이 들어와서 조공하였다. 《송사》
○ 3년(1113, 예종8) -계사- 에 고려가 사신 안직숭(安稷崇)을 파견하여 새 약(藥)을 하사해 주기를
요청하였다. 《영화기문(寧和記聞)》
○ 요나라 천경(天慶) 3년(1113, 예종8) -계사- 12월 경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치제(致祭)한 데
대해 사은하였다. 계해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기복(起復)시켜 준 데 대해 사례하였다. 《요사》
○ 송나라 정화(政和) 5년(1115, 예종10) -을미- 에 고려의 사신 왕자지(王字之)가 환국하자,
대성아악(大晟雅樂)을 하사하였다. 《영화기문》
○ 금나라 태조(太祖) 수국(收國) 2년(1116, 예종11) -병신- 정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요나라를
쳐서 이긴 것을 축하하고, 또 보주(保州)를 돌려주기를 요청하였다. 또다시 포마(蒲馬)를 파견하여 보주를
돌려주기를 요청하였다. 《금사(金史)》
○ 송나라 정화 6년(1116, 예종11) -병신- 에 고려의 사신이 들어와서 조공하였다. 《송사》
○ 중화(重和) 원년(1118, 예종13) -무술- 에 고려의 사신이 들어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금나라 천보(天輔) 4년(1120, 예종15) -경자- 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표문을 바치고 축하하였으며,
아울러 방물을 조공하였다. 《금사》
○ 송나라 선화(宣和) 6년(1124, 인종2) -갑진- 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들어와서 조공하였다. 《송사》
세남(世南)의 집에 일찍이 고려국의 사신이 보낸 서장(書狀) 몇 폭을 소장하고 있었는데, 바로 선화 6년
9월에 고려의 정사(正使)인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검교사공 지추밀원사
상주국(檢校司空知樞密院事上柱國) 이자덕(李資德), 부사(副使)인 태중대부(太中大夫) 상서예부시랑 주국
사자금어대(尙書禮部侍郞柱國賜紫金魚袋) 김부철(金富轍)이 송나라에 이르러 사은하면서 진봉(進奉)한
것으로, 각각 중국의 문체인 사륙문(四六文)으로 지었다. 사사로이 바친 예물은 복두사(幞頭紗) 3매(枚),
백성삽화은반(白成鈒花銀盤) 1면(面) -무게는 12냥쭝이다.-, 자대문라(紫大紋羅) 2필, 백축대릉(白蹴大綾) 1필,
생화릉(生花綾) 2필, 백세저포(白細苧布) 3필, 대지(大紙) 80폭(幅), 황모필(黃毛筆) 20자루, 송연묵(松煙墨)
20정(挺), 송선(松扇) 3개, 접첩선(摺疊扇) 2개, 나전연갑(螺鈿硯匣) 1벌, 나전필갑(螺鈿筆匣) 1벌,
극사약대(剋絲藥袋) 1매, 수계요(繡繫腰) 1조(條), 복령(茯苓) 2근, 백출(白朮) 2근, 백동기(白銅器) 5벌이었다.
《유환기문(游宦記聞)》
○ 7년(1125, 인종3) -을사- 에 고려의 사신이 들어와 조공하였다. 《송사》
○ 금나라 태종(太宗) 천회(天會) 4년(1126, 인종4) -병오- 6월 병신 초하루에 왕해(王楷)가 사신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번방(藩邦)을 칭하였다. 10월 정미 천청절(天淸節)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금사》
○ 5년(1127, 인종5) -정미- 정월 신묘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10월 신미
천청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6년(1128, 인종6) -무신- 정월 병술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축하하였다. 10월 병인 천청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송나라 고종(高宗) 건염(建炎) 2년(1128, 인종6) -무신- 12월에 왕해가 그의 신하 윤언순(尹彦順)을
파견하여 들어와서 조근(朝覲)하였다. 《상동》
○ 3년(1129, 인종7) -기유- 9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들어와서 조공하겠다고 하니, 조서를 내려
정지하게 하였다. 《속송편년자치통감(續宋編年資治通鑑)》
○ 금나라 천회(天會) 7년(1129, 인종7) -기유- 정월 경진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10월 경인 천청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11월 을묘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금사》
○ 8년(1130, 인종8) -경술- 정월 갑진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10월 갑신
천청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9년(1131, 인종9) -신해- 정월 기해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2월 을해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표문을 바치면서 보주(保州)로 도망쳐 들어온 요나라 변방 사람들을 색출하는 것을
면제해 주기를 청하였다. 10월 무인 천청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10년(1132, 인종10) -임자- 정월 계사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10월 임인
천청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송나라 소흥(紹興) 2년(1132, 인종10) -임자- 윤4월에 고려가 예부 원외랑(禮部員外郞) 최유청(崔惟淸)과
합문 지후(閤門祗候) 심기(沈起)를 파견하여 들어와 금 100냥, 은 1000냥, 능라(綾羅) 100필, 인삼(人蔘)
500근을 조공하였다. 《송사》
○ 금나라 천회 11년(1133, 인종11) -계축- 정월 정사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10월 병신 천청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금사》
○ 12년(1134, 인종12) -갑인- 정월 신해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10월 경인
천청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13년(1135, 인종13) -을묘- 정월에 태종(太宗)이 붕어(崩御)하고 희종(煕宗)이 즉위하였다. 4월 무오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즉위한 것을 축하하였다. 《상동》
○ 14년(1136, 인종14) -병진- 정월 기사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을유
만수절(萬壽節)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15년(1137, 인종15) -정사- 정월 계해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기묘
만수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희종(煕宗) 천권(天眷) 원년(1138, 인종16) -무오- 정월 무자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갑진 만수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12월 무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2년(1139, 인종17) -기미- 정월 임오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무술 만수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3년(1140, 인종18) -경신- 정월 정축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계사 만수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황통(皇統) 원년(1141, 인종19) -신유- 정월 신축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임인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존호(尊號)를 올리게 해 주기를 청하였다. 정사 만수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11월 기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존호를 받은 것을 축하하였다. 《상동》
○ 2년(1142, 인종20) -임술- 정월 을미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신해 만수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12월 기축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책봉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3년(1143, 인종21) -계해- 정월 기축 초하루에 황태자의 상(喪)으로 인해 정전(正殿)에 임어하지 않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황극전(皇極殿)에 나아가 멀리서 축하하였다. 을사 만수절에 정조(正朝)의 의식과
같이 예를 행하였다. 《상동》
○ 4년(1144, 인종22) -갑자- 정월 계축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기사 만수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5년(1145, 인종23) -을축- 정월 정미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계해 만수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6년(1146, 인종24) -병인- 정월 신미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정해 만수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7년(1147, 의종1) -정묘- 정월 을축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신사 만수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3월 임인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제(弔祭)하고
기복(起復)시켜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8년(1148, 의종2) -무진- 정월 경진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병자 만수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6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책봉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9년(1149, 의종3) -기사- 정월 갑신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경자 만수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해릉(海陵) 천덕(天德) 2년(1150, 의종4) -경오- 3월 병술에 고려가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문공유(文公裕)와 전중감(殿中監) 박순중(朴純中)을 파견하여 보위에 오른 것을 축하하였다. 《상동》
○ 살펴보건대, 《금사(金史)》 본기(本紀) 2년 6월 병오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보내어 즉위한 것을
축하하였다고 되어 있는데, 표(表)에는 3월 병술에 문공유 등을 파견하여 보위에 오른 것을 축하하였다고
되어 있다. 반드시 1년에 두 차례 축하하였을 리는 없는바, 이것은 역사를 기록하는 자가 잘못 기록한
것이다. 지금은 표를 따른다.
○ 3년(1151, 의종5) -신미- 정월 계유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무자 생신 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4년(1152, 의종6) -임신- 정월 정유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임자 생신 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정원(貞元) 원년(1153, 의종7) -계유- 정월 신묘 초하루에 황제가 시조(視朝)하지 않고, 조서를 내려
유사(有司)로 하여금 고려의 공헌(貢獻)을 받게 하였다. 병오 생신 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살펴보건대 《금사》 열전(列傳)을 보면, 태종의 아들 연(兗)이 천덕(天德) 4년 12월 그믐날 훙하자, 다음
날인 정원(貞元) 원년 원조(元朝)에 연을 위하여 철조(輟朝)하고, 송(宋), 서하(西夏), 고려(高麗)의
하정조사(賀正朝使)가 올리는 조하(朝賀)를 받지 않았으며, 유사에게 명하여 공헌물을 받게 하였다.
○ 2년(1154, 의종8) -갑술- 정월 갑인 초하루에 상이 편찮아 시조(視朝)하지 않고, 고려의 사신이 묵고
있는 관소에 잔치를 하사하였다. 기사 생신 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6월 기해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뜻밖에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11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내려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12월 정미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방물을 조공하였다. 《상동》
○ 3년(1155, 의종9) -을해- 정월 기유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갑자 생신 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정륭(正隆) 원년(1156, 의종10) -병자- 계묘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무자
생신 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2년(1157, 의종11) -정축- 정월 무진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계미 생신
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3월 병인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존호(尊號)를
받은 것을 축하하였다. 《상동》
○ 3년(1158, 의종12) -무인- 정월 임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정축 생신 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4년(1159, 의종13) -기묘- 정월 병진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신미 생신
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5년(1160, 의종14) -경진- 정월 경진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을미 생신
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6년(1161, 의종15) -신사- 정월 갑술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기축 생신
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세종(世宗) 대정(大定) 2년(1162, 의종16) -임오- 12월에 고려가 위위 소경(衛尉少卿) 정응기(丁應起)를
파견하여 정조를 하례하였다. 《상동》
○ 3년(1163, 의종17) -계미- 정월 임진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2월 경인에
고려가 수사공(守司空) 김영윤(金永胤)과 상서예부 시랑(尙書禮部侍郞) 김순부(金淳夫)를 진봉사(進奉使)로
파견하고, 예빈 소경(禮賓少卿) 허세수(許勢修)를 파견하여 보위에 등극한 것을 축하하고, 비서
소감(祕書少監) 김거실(金居實)을 파견하여 선위(宣慰)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3월 임진 초하루에 고려가
위위 소경(衛尉少卿) 이공로(李公老)를 파견하여 만춘절(萬春節)을 축하하였다. 12월 을유에 고려가 전중
소감(殿中少監) 김존부(金存夫)를 파견하여 뜻밖에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4년(1164, 의종18) -갑신- 정월 정해 초하루에 고려가 예빈 소경 고처약(高處約)을 파견하여
정조(正朝)를 축하하였다. 3월 병술 초하루에 고려가 비서 소감 최효온(崔孝溫)을 진봉사로 파견하고,
조산대부(朝散大夫) 위위 소경(衛尉少卿) 정효칭(鄭孝偁)를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12월에 고려가
예빈 소경 김장(金莊)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5년(1165, 의종19) -을유- 정월 신해 초하루에 고려가 위위 소경 고진진(高珍縉)을 파견하여
정삭(正朔)을 축하하였다. 3월 경술 초하루에 고려가 전중 소감 진역승(陳力升)을 진봉사로 파견하고, 비서
소감 원이충(元頤沖)을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12월에 이부 상서(吏部尙書) 이지심(李知深)과 중서
사인(中書舍人) 윤돈신(尹敦信)을 파견하여 존호를 받은 것을 하례하였으며, 위위 소경 왕보(王輔)를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6년(1166, 의종20) -병술- 정월 병오 초하루에 고려가 태부 소경(太府少卿) 이세의(李世儀)를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3월 갑진 초하루에 고려가 국자사업(國子司業) 조인귀(趙仁貴)를 진봉사로 파견하고,
비서 소감(祕書少監) 이복기(李復基) 등을 파견하여 만수절을 하례하였다. 12월 무술에 고려가 예부 소경
최춘(崔椿)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으며, 위위 소경 김자용(金資用)을 파견하여
뜻밖에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7년(1167, 의종21) -정해- 정월 경자 초하루에 고려가 사재 소경(司宰少卿) 반함유(潘咸有)를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3월 기해에 고려가 상서호부 시랑 유덕용(柳德容)을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12월 임술에 고려가 예빈 소경 최현(崔儇)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8년(1168, 의종22) -무자- 정월 갑자 초하루에 고려가 사재 소경 김기(金起)를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3월 계해 초하루에 고려가 상서호부 시랑 김광리(金光利)를 진봉사로 파견하고,
조산대부(朝散大夫) 비서 소감 조식(趙湜)을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상동》
○ 9년(1169, 의종23) -기축- 정월 무오 초하루에 고려가 사재 소경 진현광(陳玄光)과 예빈 소경 서추(徐諏)
등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3월 정사 초하루에 고려가 비서 소감 김이성(金利誠)을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고, 조산대부 위위 소경 최서(崔偦)를 진봉사로 파견하였다. 12월 경술에 고려가 태부
소경(太府少卿) 배연(裵衍)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고, 사재 소경 이세미(李世美)를
파견하여 뜻밖에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10년(1170, 의종24) -경인- 정월 병자 초하루에 고려가 예빈 소경 진승(陳升)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3월 임자에 고려가 위위 소경 최신(崔侁)을 진봉사로 파견하고, 상서예부 시랑 최광섭(崔光涉)
등을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상동》
○ 11년(1171, 명종1) -신묘- 4월 정묘에 고려의 권군국사(權軍國事) 왕호(王晧)가 표문을 올리면서 아울러
그의 형인 왕현(王晛)의 표문도 함께 올려 책봉해 주기를 요청하였다. 12월에 권군국사 왕호가
고주사(告奏使) 상서예부시랑 장익명(張翼明)을 파견하여 표문을 올려 책봉해 주기를 요청하였다. 《상동》
○ 12년(1172, 명종2) -임진- 정월 경오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3월 기사
초하루에 고려가 상서호부 시랑 김황유(金黃裕) 등을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고, 위위 소경
채상정(蔡祥正)을 파견하여 존호를 추가로 더 올린 것을 축하하였다. 4월 정묘에 고려가 호부 상서
이저(李著)와 국자 좨주(國子祭酒) 최포(崔誧)를 파견하여 존호를 올린 것을 축하하였다. 10월에 고려가
검교태위(檢校太尉) 김우번(金于蕃)과 태부 소경 김선(金瑄)을 파견하여 책봉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13년(1173, 명종3) -계사- 정월 을축 초하루에 고려가 사재 소경 사정유(史正儒)를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3월 계사 초하루에 고려가 태부 소경 이응구(李應求)를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상동》
○ 14년(1174, 명종4) -갑오- 정월 기축 초하루에 고려가 상서이부 시랑 최균(崔均) 등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2월 병술에 고려가 상서형부 시랑 차인규(車仁揆)를 진봉사(進奉使)로 파견하였다. 3월 무자
초하루에 고려가 상서호부 시랑 김연광(金鍊光)을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상동》
○ 15년(1175, 명종5) -을미- 9월 신유에 조위총(趙位寵)의 난(亂)을 평정하고 비서 소감 박소(朴紹)를
파견하여 표문을 올려 고주(告奏)하였다. 12월 병오에 조산대부 예빈 소경 조영인(趙永仁)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16년(1176, 명종6) -병신- 정월 무신 초하루에 고려가 상서이부 시랑 이장(李章)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3월 병오 초하루에 고려가 상서호부 시랑 채순희(蔡順禧)를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12월 경자에 고려가 예부 소경 왕규(王珪)를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고, 호부 상서
오광척(吳光陟)과 공부 시랑 윤숭회(尹崇誨) 등을 파견하여 조위총의 내부(內附)를 허락하지 않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17년(1177, 명종7) -정유- 정월 임인 초하루에 고려가 상서호부 시랑 오숙부(吳淑夫)를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2월 기해에 고려가 조산대부 호부 시랑 정수필(丁守弼)을 파견하여 진봉(進奉)하였다. 3월 신축
초하루에 고려가 상서공부 시랑 최광원(崔光遠)을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12월 갑오에 고려가 예빈
소경 최미(崔美)를 파견하여 뜻밖에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18년(1178, 명종8) -무술- 정월 병신 초하루에 고려가 상서호부 시랑 손응시(孫應時)를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2월 계사에 고려가 이부 시랑 최효구(崔孝求)를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3월 을미 초하루에
고려가 상서형부 시랑 이인성(李仁成) 등을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12월 무오에 고려가 예빈 소경
기세(奇世)를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19년(1179, 명종9) -기해- 정월 경신 초하루에 고려가 형부 시랑 김절(金節)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2월 정사에 고려가 상서이부 시랑 유득인(柳得仁)을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3월 기미 초하루에
고려가 상서호부 시랑 노탁유(盧卓儒)를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12월 임자에 고려가 조산대부 예빈
소경 유득의(柳得義)를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20년(1180, 명종10) -경자- 정월 갑인 초하루에 고려가 상서호부 시랑 윤동보(尹東輔)를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2월 신해에 고려가 상서이부 시랑 김현공(金鉉公)을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3월 계축
초하루에 고려가 상서호부 시랑 손석(孫碩)을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12월 병오에 고려가 예빈
소경 심진승(沈晉升)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고, 예빈 소경 왕탁(王度)을 파견하여
뜻밖에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21년(1181, 명종11) -신축- 정월 무진 초하루에 고려가 상서예부 시랑 -살펴보건대 이름은 잃어버렸다.-
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2월 갑진에 고려가 상서이부 시랑 이덕기(李德基)를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3월 정미 초하루에 고려가 상서호부 시랑 신보지(申寶至)를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상동》
○ 22년(1182, 명종12) -임인- 3월 신미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상동》
○ 23년(1183, 명종13) -계묘- 정월 정묘 초하루에 고려가 상서예부 시랑 최영유(崔永濡)를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2월 갑자에 고려가 호부 시랑 문장위(文章煒)를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3월 병인
초하루에 고려가 호부 시랑 노효돈(盧孝敦)을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상동》
○ 24년(1184, 명종14) -갑진- 정월 신묘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2월 갑술에
고려의 왕이 모상(母喪)의 졸곡(卒哭)이 끝나지 않았다는 이유로 금년의 만춘절 및 진공사를 파견하는 것을
면제해 달라고 청하자, 조서를 내려 방물진공사(方物進貢使)는 내년의 하정조사(賀正朝使)와 함께 오라고
하였다.
○ 12월 정해에 고려의 최효저(崔孝著)가 조정에 하직 인사를 하자, 조서를 내려 왕호(王晧)에게 답하였다.
《이상 모두 상동》
○ 25년(1185, 명종15) -을사- 12월 무인에 고려가 호부 상서 양기(梁冀)와 경부소감경(京府少監卿)
최소(崔素)를 파견하여 칙서를 내리고 제사를 지내준 데 대해 사은하고, 사재 소경 강용유(康勇儒)를
파견하여 위문해 준 데 대해 사은하고, 예빈 소경 계인(桂仁)을 파견하여 기복(起復)시켜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26년(1186, 명종16) -병오- 정월 경진 초하루에 고려가 상서공부 시랑 최인청(崔仁請)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2월 정축에 고려가 호부 시랑 문의혁(門義赫)을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3월 기묘
초하루에 고려가 예부 시랑 유공권(柳公權)을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12월 경자에 고려가 예부
시랑 임유(任濡)를 파견하여 뜻밖에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고, 예빈 소경 노원(盧元)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27년(1187, 명종17) -정미- 정월 계묘 초하루에 고려가 사재 소경 최광보(崔匡輔)를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2월 신축에 고려가 예빈 소경 차약송(車若松)을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3월 계묘 초하루에
고려가 호부 시랑 이공균(李公鈞)을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12월 갑오에 고려가 예빈 소경
최존(崔存)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28년(1188, 명종18) -무신- 정월 정유 초하루에 고려가 사재 소경 최적원(崔迪元)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2월 을미에 고려가 예빈 소경 길인(吉仁)을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3월 정유 초하루에 고려가
호부 시랑 이희(李禧)를 파견하여 만춘절을 축하하였다. 12월 경인에 고려가 호부 시랑 주광미(周匡美)를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29년(1189, 명종19) -기유- 정월 임진 초하루에 고려가 예빈 소경 이상유(李尙儒)를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러 왔다가 세종(世宗)의 병이 위독해 고려의 사신이 되돌아갔다. 계사에 세종이 붕어하자 6월에
칙서를 내려 유사(有司)로 하여금 고려에 이보(移報)하여 천수절(天壽節)을 9월 1일에 와서 축하하게
하였다. 7월 신미에 고려가 검교태위(檢校太尉) 정존실(鄭存實)과 전중감(殿中監) 임충(任沖)을 파견하여
와서 등극한 것을 축하하였다. 8월에 고려가 호부 상서 최응용(崔膺庸)을 파견하여 천수절을 축하하였다.
12월에 고려가 예부시랑 민시(閔是)를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고, 호부 시랑
손연(孫衍)을 파견하여 뜻밖에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갑인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정조를
축하하였다. 《상동》 ○ 살펴보건대 이는 다음 해의 정조사(正朝使)인데, 본기(本紀)에는 이달에 실려 있다.
○ 장종(章宗) 명창(明昌) 원년(1190, 명종20) -경술- 8월 기유에 고려가 호부 시랑 진극수(陳克修) 및
진봉사(進奉使) 호부 시랑 정세권(鄭世鬈)을 파견하여 와서 천수절을 축하하였다. 12월 정미에 고려가 호부
시랑 노식(盧湜)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2년(1191, 명종21) -신해- 정월 경술 초하루에 고려가 예빈 소경 정극온(鄭克溫)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8월 을사에 고려가 호부 시랑 유광수(柳光壽)를 파견하여 와서 천수절을 축하하고, 호부 시랑
송홍적(宋弘迪)을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12월 계묘에 고려가 호부 시랑 이지순(李至純)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3년(1192, 명종22) -임자- 정월 을사 초하루에 고려가 예부 소경 홍효충(洪孝忠)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8월 신축 초하루에 고려가 위위 소경 박초(朴初)를 파견하여 천수절을 축하하고, 비서 소감
사위(師威)를 파견하여 뜻밖에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고, 예빈 소경 석성계(石成桂)를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12월 정묘에 고려가 호부 시랑 정광서(丁光敍)를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4년(1193, 명종23) -계축- 정월 기사 초하루에 고려가 사재 소경 양서절(楊漵節)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8월 신유에 고려가 예빈 소경 소양미(蘇良美)를 파견하여 천수절을 축하하고, 이부 시랑
문후식(門侯軾)을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9월 갑자 초하루 천수절에 황제가 대안전(大安殿)에 임어하여 고려
사신의 조하(朝賀)를 받았다. 12월 경신에 고려가 호부 시랑 진광경(陳光卿) 등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5년(1194, 명종24) -갑인- 정월 계해 초하루에 고려가 위위 소경 이거정(李居正)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8월 기축 초하루에 고려가 예빈 소경 권신(權信)을 파견하여 천수절을 축하하고, 태부 소감
유택(柳澤)을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살펴보건대 《금사》의 본기(本紀)에서 9월 무오 초하루에 와서
축하하였다고 한 것은 축하한 날을 가지고 말한 것이고, 표(表)에서 8월 기축 초하루라고 한 것은 도착한
날을 가지고 말한 것이다.- 12월 정사 초하루에 고려가 호부 시랑 유방저(劉邦氐)를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6년(1195, 명종25) -을묘- 정월 정해 초하루에 고려가 호부 시랑 백존유(白存儒)를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8월 기묘에 고려가 위위 소경 주원적(周元迪)을 파견하여 뜻밖에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9월 임오 초하루에 고려가 예부 시랑 서해(徐諧)를 파견하여 천수절을 축하하였다. 12월
정축에 고려가 상서호부 시랑 손홍(孫弘)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승안(承安) 원년(1196, 명종26) -병진- 정월 신사 초하루에 고려가 예빈 소경 송위(宋韙)를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8월 갑술에 고려가 상서예부 시랑 조충(趙沖)을 파견하여 천수절을 축하하고, 태부감
경(太府監卿) 유응거(劉應擧)를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12월 병오 초하루에 고려가 호부 시랑
김광당(金光當)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2년(1197, 명종27) -정사- 정월 을해 초하루에 고려가 예빈 소경 아응경(牙應卿)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8월 무술에 고려가 예부 시랑 조겸(趙謙)을 파견하여 천수절을 축하하고, 호부 시랑
양원(梁元)을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상동》
○ 3년(1198, 신종1) -무오- 3월 병인에 왕호(王晧)가 나라를 그의 동생 왕탁(王晫)에게 양위하였다는
내용으로 예빈 소경 조통(趙通)을 파견하여 와서 아뢰고, 책봉해 주기를 요청하였다. 이해에 왕호가 훙하고
왕탁이 뒤를 이어 즉위하고는 예빈 소경 백여주(白汝舟)를 파견하여 와서 고하였다. 《상동》
○ 4년(1199, 신종2) -기미- 8월 기유에 고려가 호부 시랑 유원순(劉元順)을 파견하여 와서 천수절을
축하하고, 호부 시랑 정방보(鄭邦輔)를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12월 을유에 고려가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김척후(金陟候)와 태부 경(太府卿) 왕의(王儀)를 파견하여 책봉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5년(1200, 신종3) -경신- 정월 무자 초하루에 고려가 예빈 소경 백원식(白元軾)을 파견하여 와서 정조를
축하하였다. 8월 임자에 고려가 호부 시랑 지자심(池資深)을 파견하여 천수절을 축하하고, 호부 시랑
신주석(申周錫)을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상동》
○ 태화(泰和) 원년(1201, 신종4) -신유- 정월 임자 초하루에 고려가 예빈 소경 이유경(李惟卿)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8월에 고려가 호부 시랑 정공순(鄭公順)을 파견하여 천수절을 축하하고, 예빈 소경
조숙(趙淑)을 파견하여 진봉하였으며, 위위 경(衛尉卿) 진언광(秦彦匡)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12월 을사에 고려가 예빈 소경 최남부(崔南敷)를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상동》
○ 2년(1202, 신종5) -임술- 정월 정미 초하루에 고려가 사재 소경 문효식(門孝軾)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8월 경자에 고려가 호부 시랑 사홍우(史洪祐)를 파견하여 천수절을 축하하고, 예빈 소경
한저(韓氐)를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윤12월 기사에 고려가 예빈 소경
송홍렬(宋弘烈)을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상동》
○ 3년(1203, 신종6) -계해- 정월 신미 초하루에 고려가 호부 시랑 곽공의(郭公儀)를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8월에 고려가 예빈 소경 사공직(師公直)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9월 병인 초하루 천수절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12월 계해에 고려가 예빈 소경
임덕원(林德元)을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상동》
○ 4년(1204, 신종7) -갑자- 정월 을축 초하루에 고려가 사재 소경 이연수(李延壽)를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8월 을축에 고려가 호부 시랑 조광수(曺光壽)를 파견하여 천수절을 축하하고, 호부 시랑
이경(李儆)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12월 정사에 고려가 예빈 소경
강식재(姜植材)를 파견하여 진봉하고, 사재 소경 차부민(車富民)을 파견하여 뜻밖에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고, 호부 상서 김경부(金慶夫)와 예부 시랑 최극우(崔克遇)를 파견하여 칙서를 내려 제사를 지내 준
데 대해 사은하고, 위위 소경 문존(門存)을 파견하여 위문해 준 데 대해 사은하고, 예빈 소경
황효경(黃孝卿)을 파견하여 기복(起復)시켜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5년(1205, 희종1) -을축- 정월 기미 초하루에 고려가 사재 소경 임인석(林仁碩)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윤8월 신사에 고려가 사재 소경 최의(崔義)를 파견하여 천수절을 축하하였다. 11월 신사에
고려가 위위 경 오응천(吳應天)을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상동》
○ 6년(1206, 희종2) -병인- 정월 계미 초하루에 고려가 예빈 소경 최보순(崔甫淳)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8월 병자에 고려가 위위 소경 이통유(李通儒)를 파견하여 천수절을 축하하고, 위위 경
김승(金升)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고, 예빈 경 이일(李佾)을 파견하여 기복시켜
준 데 대해 사은하고, 지추밀원사 한기(韓奇), 태부 경 이승백(李承白) 등을 파견하여 와서 책봉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12월 을해에 고려가 위위 소경 경유승(慶裕升)을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상동》
○ 7년(1207, 희종3) -정묘- 정월 정축 초하루에 고려가 호부 시랑 사응첨(師應瞻)을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8월 임신에 고려가 위위 소경 서광(徐光)을 파견하여 천수절을 축하하고, 위위 소경
김의원(金義元)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12월 임인 초하루에 고려가 호부
시랑 정광습(鄭光習)을 파견하여 진봉하였다. 《상동》
○ 8년(1208, 희종4) -무진- 정월 신미 초하루에 고려가 호부 시랑 임주재(林柱材)를 파견하여 정조를
축하하였다. 8월 을유에 고려가 예부 시랑 임영조(林永祖)를 파견하여 천수절을 축하하고, 예빈 경
지이중(池利中)을 파견하여 생일잔치를 하사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겨울 10월 신사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위소왕(衛紹王) 대안(大安) 원년(1209, 희종5) -기사- 5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즉위한 것을 축하하였다. 《상동》
○ 3년(1211, 희종7) -신미- 정월 을유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선종(宣宗) 흥정(興定) 3년(1219, 고종6) -기묘- 에 요동행성(遼東行省)에서 고려가 다시 표문을 받들고
조공하려는 뜻이 있다고 하자, 고려의 표장(表章)은 행성에서 받도록 하고, 조공하는 예는 뒷날에 서서히
의논하라고 하였다. 이 뒤로는 다시 통문(通問)하지 않았다. 《상동》
○ 원(元)나라 태조(太祖) 14년(1219, 고종6) -기묘- 정월에 고려가 권지합문지후(權知閤門祗候)
윤공취(尹公就)와 중서주서(中書注書) 최일(崔逸)을 파견하여 화친을 맺고 첩문(牒文)을 보내왔다. 9월에
고려가 방물을 올렸다. 《원사(元史)》
○ 15년(1220, 고종7) -경진- 9월에 고려가 방물을 올렸다. 《상동》
○ 16년(1221, 고종8) -신사- 7월에 고려가 비로소 표문을 받들고 진하(陳賀)하였다. 《상동》
○ 태종(太宗) 4년(1232, 고종19) -임진- 3월에 고려국의 왕 왕철(王㬚)이 중랑장(中郞將) 지의원(池義源),
녹사(錄事) 홍거원(洪巨源), 김겸(金謙) 등을 파견하여 국신(國贐)과 첩문(牒文)을 싸 가지고 살례탑(撒禮搭)의
둔소(屯所)에 보냈다. 4월에 고려가 장군(將軍) 조숙장(趙叔章)과 어사(御史) 설신(薛愼) 등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들어와서 조회하였다. 10월에 장군 김보정(金寶鼎)과 낭중(郞中) 조서장(趙瑞章)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실정을 진달하였다. 《상동》
○ 10년(1238, 고종25) -무술- 12월에 고려가 장군 김보정과 어사 송언기(宋彦琦) 등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들어와서 조회하였다. 《상동》
○ 11년(1239, 고종26) -기해- 6월에 고려가 예빈 경 노연(盧演)과 예빈 소경 김겸(金謙)을 진봉사(進奉使)의
정사와 부사에 충원해서 표문을 받들고 들어와 조회하였다. 12월에 고려가 신안공(新安公) 왕전(王佺),
김보정, 송언기 등 148인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들어와 조공하였다. 《상동》
○ 12년(1240, 고종27) -경자- 3월에 고려가 또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조수(趙修)와 합문 지후(閤門祗候)
김성보(金成寶) 등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들어와 조공하였다. 12월에 고려가 예빈 소경 송언기와
시어사(侍御史) 권위(權韙)를 행리사(行李使)에 충원해서 들어와 조공하였다. 《상동》
○ 13년(1241, 고종28) -신축- 가을에 고려의 왕이 조카인 왕준(王綧)을 자신의 아들로 삼아 볼모로
들여보냈다. 정종(定宗)과 헌종(憲宗) 때를 당하여 세공(歲貢)이 들어오지 않다가 헌종 말엽에 세자
왕전(王倎)을 파견하여 들어와 조회하였다. 《상동》
○ 헌종(憲宗) 6년(1256, 고종43) -병진- 에 고려국의 왕이 와서 조근(朝覲)하였다. 《상동》
○ 세조(世祖) 중통(中統) 원년(1260, 원종1) -경신- 6월에 고려국의 왕 왕전(王倎)이 그의 아들
영안공(永安公) 왕희(王僖)와 판사재사(判司宰事) 한즉(韓卽)을 파견하여 와서 즉위한 것을 축하하였다.
《상동》
○ 2년(1261, 원종2) -신유- 3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들어와서 조공하였다. 4월에 고려의 왕이
들어와서 조회하였다. 6월에 고려가 세자 왕심(王愖)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들어와서 조회하였다.
9월에 고려가 시어사 장일(張鎰)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들어와서 사은하였다. 《상동》
○ 3년(1262, 원종3) -임술- 봄 정월 병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와서 사은하니, 은혜가
두터운 조서를 내려 답하였다. 4월에 고려가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 박륜(朴倫)과 낭장 신홍성(辛洪成) 등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들어와서 조회하였다. 6월 병신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8월에
박륜 등이 돌아갔다. 10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들어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4년(1263, 원종4) -계해- 3월 기유에 고려가 신하 주영량(朱英亮)을 파견하여 들어와서 조공하면서
표문을 올려 사은하였다. 11월에 역(驛)을 설치하고 백성들의 호적을 정리하는 등의 일을 면제해 준 데
대해 고려가 한림학사(翰林學士) 한취(韓就)를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와서 사은하였다. 《상동》
○ 지원(至元) 원년(1264, 원종5) -갑자- 정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들어와서 축하하였다. 돌아가는
고려의 사신에게 하유하여 왕으로 하여금 친히 경사(京師)에 들어와 조회하게 하였다. 여름 4월 기묘에
고려가 신하 김녹(金祿)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5월에 고려가 차국자 좨주(借國子祭酒) 장일(張鎰)을
파견하여 고을독(古乙獨) -살펴보건대 4월에 우리나라에 사신으로 온 자이다.- 을 따라 들어와
조현(朝見)하였다. 6월 무신에 고려의 왕이 와서 조회하였다. 겨울 10월 임인에 고려의 왕이 와서
조회하였다. 12월에 고려의 왕을 보내어 본국으로 돌아가게 하였다. 《상동》
○ 2년(1265, 원종6) -을축- 정월에 고려가 왕의 동생인 공(公) 왕순(王珣)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와서
조공하였다. 6월에 고려가 신하 영윤숙(榮胤宿)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와서 성탄절(聖誕節)을
축하하였다. 8월 무인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방물을 조공하였다. 《상동》
○ 3년(1266, 원종7) -병인- 정월 을미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8월 무자에 고려가
대장군 박기(朴琪)를 파견하여 와서 성탄절을 축하하였다. 《상동》
○ 4년(1267, 원종8) -정묘- 정월에 고려가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 송군비(宋君斐)와 차 예부
시랑(借禮部侍郞) 김찬(金贊) 등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흑적(黑的) 등을 따라 들어와서 조회하였다. -○
살펴보건대 송군비 등은 3년 12월에 조사(詔使) 흑적 등을 인도하여 일본(日本)에 갔다가 도달하지 못하고
돌아왔다.- 8월에 고려가 비서 소감(祕書少監) 곽내필(郭來弼)을 파견하여 와서 성탄절을 축하하였다.
《상동》 ○ 《원사(元史)》에 또 이르기를, “정월 을사에 백제(百濟)가 신하 양호(梁浩)를 파견하여 와서
조회하니, 금수(錦繡)를 차등 있게 하사하였다.” 하였다. ○ 삼가 살펴보건대 원나라 때에는 백제라고
칭하는 나라가 없었으니, 여기에서 와서 조공하였다고 한 것은 상고할 수가 없다.
○ 5년(1268, 원종9) -무진- 정월에 고려의 왕이 그의 동생 왕창(王淐)을 파견하여 와서 조회하였다. 4월에
고려가 문하시랑 이장용(李藏用)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우야손탈(于也孫脫) 등을 따라 들어와서
조회하였다. 가을 7월에 고려의 왕이 신하 최동수(崔東秀)를 파견하여 와서 군사를 갖추고 병선을
만들었다고 말하였다. 12월에 고려가 차 예부 시랑(借禮部侍郞) 장일(張鎰)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탈타아(脫朶兒)를 따라 들어와 조회하였다. 《상동》 ○ 살펴보건대 탈타아는 같은 해 7월에 군대와 병선을
점검하는 일로 사신으로 나왔다.
○ 6년(1269, 원종10) -기사- 정월에 고려가 대장군 강윤소(康允紹)를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들어와
권신(權臣) 김준(金俊) 등을 목 베었다고 아뢰었다. 3월에 고려가 신사전(申思佺)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흑적(黑的)을 따라 들어와 조회하였다. -살펴보건대 신사전은 5년 12월에 흑적과 함께 일본에 갔었다.- 6월
병신에 고려가 세자 왕심(王愖)을 파견하여 들어와서 조회하니, 왕에게는 옥대(玉帶) 1개를, 왕심에게는 금
50냥을, 따라온 관원들에게는 은폐(銀幣)를 차등 있게 하사하였다. 9월에 고려가 형부 상서
김방경(金方慶)을 파견하여 권국왕(權國王) 왕창(王淐)의 표문을 받들고 와서 국왕이 병에 걸려 동생인
왕창으로 하여금 임시로 국사를 다스리게 하였다고 호소하였다. 10월에 고려의 왕이 조서를 받고
복위(復位)한 다음 차 예부 시랑 박걸(朴杰)을 파견하여 흑적을 따라 들어와 조회하였다. 12월에 고려의
왕이 친히 경사(京師)에 조회하였다. 《상동》
○ 7년(1270, 원종11) -경오- 정월 신축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2월에 고려의
왕이 와서 조회하였다. 8월 경진에 고려의 세자 왕심(王愖)이 와서 성탄절을 축하하였다. 《상동》
○ 8년(1271, 원종12) -신미- 정월 을축 초하루에 고려가 비서감 박항(朴恒)과 낭장 최유엄(崔有渰)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고, 겸하여 세공(歲貢)을 바쳤다. 또 추밀사(樞密使) 김련(金鍊)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들어와 조현(朝見)하면서 결혼(結婚)하기를 요청하였다. 5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방물을
조공하였다. 7월에 고려가 상장군(上將軍) 정자여(鄭子璵)를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들어와 진도(珍島)를
평정한 것을 사은하였다. 고려의 세자 왕심이 상서 우승(尙書右丞) 송분(宋玢), 군기감(軍器監)
설공검(薛公儉) 등 벼슬아치들의 맏아들 28인을 거느리고 들어와서 입시하였다. 11월에 고려가
동지추밀원사 이창경(李昌慶)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결혼을 허락해 준 데 대해 사은하였다. 《상동》
○ 9년(1272, 원종13) -임신- 정월 경진 초하루에 고려가 예빈 경 선문열(宣文烈)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고, 겸하여 세공(歲貢)을 바쳤다. 또 별장(別將) 백거(白琚)를 파견하여 장탁(張鐸) 등 12인과 더불어
표문을 받들고 들어와 조현하였다. 2월 임진에 고려가 제안후(齊安侯) 왕숙(王淑)을 파견하여 와서
국호(國號)를 고친 것을 축하하였다. 《상동》
○ 10년(1273, 원종14) -계유- 봄 정월 을묘 초하루에 고려가 세자 왕심을 파견하여 와서 조하(朝賀)하였다.
6월에 고려가 대장군 김흔(金忻)을 파견하여 표문을 올려 제주(濟州)를 공격해 격파하였다고 아뢰었다. 가을
7월 무신에 고려가 안순공(安順公) 왕종(王悰)과 동지추밀원사 송종례(宋宗禮)를 파견하여 황후(皇后)와
황태자의 책봉례가 이루어진 것을 축하하였다. 8월 정축 성탄절에 고려가 상장군 김선(金詵)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11년(1274, 원종15) -갑술- 봄 정월 기묘 초하루에 고려가 소경(少卿) 이의손(李義孫) 등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고, 겸하여 세공(歲貢)을 바쳤다. 8월에 고려국의 왕 왕심(王愖)이 추밀사(樞密使) 박구(朴璆)를
파견하여 와서 성탄절을 축하하였다. 9월에 고려가 제안후 왕숙(王淑)을 파견하여 표문을 올려 사은하였다.
11월에 황녀(皇女)가 고려의 서울에 들어가자 고려가 다시 판합문사(判閤門事) 이신손(李信孫) 등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고 들어와 사은하였다. 《상동》
○ 12년(1275, 충렬왕1) -을해- 봄 정월 계유 초하루에 고려가 판합문사 이신손(李信孫)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고, 세폐(歲幣)를 바쳤다. 8월 병인에 고려가 추밀 부사(樞密副使) 허공(許㤨), 장군 조규(趙珪)를
파견하여 와서 성탄절을 축하하였다. 11월에 고려가 대방후(帶方侯) 왕징(王澂)을 파견하여 벼슬아치들의
자제 20인을 거느리고 들어와 입시하였다. 《상동》
○ 13년(1276, 충렬왕2) -병자- 7월에 고려가 첨의중찬(僉議中贊) 김방경(金方慶)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어서 송(宋)나라를 평정한 것을 축하하였다. 11월에 고려가 판비서시(判祕書寺) 주열(朱悅)을 파견하여
와서 왕의 이름을 왕춘(王暙)으로 고쳤다고 고하였다. 《상동》
○ 16년(1279, 충렬왕5) -기묘- 정월 기유 초하루에 고려가 첨의중찬 김방경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고,
겸하여 세폐를 바쳤다. 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방물을 바쳤다. 《상동》
○ 17년(1280, 충렬왕6) -경진- 정월 계묘 초하루에 고려가 첨의중찬 김방경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고,
겸하여 세폐를 바쳤다. 6월 무술에 고려가 장군 박의(朴義)를 파견하여 와서 방물을 조공하였다. 8월
무술에 고려의 왕이 와서 조회하였다. 《상동》
○ 18년(1281, 충렬왕7) -신사- 정월 무술 초하루에 고려가 첨의중찬 김방경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고,
겸하여 세폐를 바쳤다. 임자에 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일본이 고려의 변경을 침범하였기에
천병(天兵)이 추격하였다고 말하였다. 8월에 고려가 밀직사사(密直司使) 한강(韓康)을 파견하여 와서
성탄절을 축하하였다. 5월 임자에 탐라국(耽羅國)이 금년에 조공으로 바쳐야 할 백저(白紵)를 면제해
주었다. 《이상 모두 상동》 ○ 삼가 살펴보건대 원나라 때 탐라가 이미 고려의 군현(郡縣)이 되었으니, 이는
특별히 옛 호칭을 인해서 기록한 것이다. 다음에 나오는 것들도 모두 마찬가지이다.
○ 19년(1282, 충렬왕8) -임오- 정월 임술 초하루에 고려가 대장군 김자정(金子廷)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고, 세포(細布) 400필을 조공하였다. 《상동》
○ 20년(1283, 충렬왕9) -계미- 정월 병진 초하루에 고려가 대장군 유홍신(兪洪愼)을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을축에 고려가 또 올랄대(兀剌帶)를 파견하여 들어와 조공하면서 첩포(氎布)와 면주(綿紬)
400단(段)을 진공(進貢)하였다. 《상동》
○ 21년(1284, 충렬왕10) -갑신- 3월에 황제에게 존호(尊號)를 올리는 예가 이루어진 데 대해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축하하였다. 4월 무신에 고려의 왕과 공주(公主)가 세자 왕원(王謜)을 보내어 와서 조회하였다. 《상동》
○ 22년(1285, 충렬왕11) -을유- 6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방물을 조공하였다. 《상동》
○ 23년(1286, 충렬왕12) -병술- 6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9월 임진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일본인 포로를 바쳤다. 《상동》
○ 25년(1288, 충렬왕14) -무자- 정월 임인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방물을 조공하였다. 5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방물을 조공하였다. 10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방물을 조공하였다.
12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방물을 조공하였다. 《상동》
○ 26년(1289, 충렬왕15) -기축- 정월 계묘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방물을 조공하였다. 《상동》
○ 27년(1290, 충렬왕16) -경인- 정월 을묘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방물을 조공하였다. 《상동》
○ 28년(1291, 충렬왕17) -신묘- 정월 계축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방물을 조공하였다. 11월에
탐라국(耽羅國)이 사신을 파견하여 동저(東紵) 100필을 조공하였다. 《상동》
○ 30년(1293, 충렬왕19) -계사- 2월에 고려의 왕이 사신을 파견하여 들어와서 다시 이름을 왕거(王昛)로
바꾸었다고 아뢰고, 공신(功臣)의 호를 내려 주기를 요청하였다. 11월에 고려의 왕이 들어와서 조회하였다.
《상동》
○ 성종(成宗) 대덕(大德) 2년(1298, 충렬왕24) -무술- 5월에 탐라가 와서 방물을 조공하였다. 《상동》
○ 3년(1299, 충렬왕25) -기해- 정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9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들어와서 조공하고 정동행성(征東行省)을 늘려 둔 것에 대해 표문을 올려 진정(陳情)하였다.
《상동》
○ 10년(1306, 충렬왕32) -병오- 정월 임인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방물을 바쳤다. 《상동》
○ 태정제(泰定帝) 3년(1326, 충숙왕13) -병인- 정월 병오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방물을 바치고,
정조를 축하하였다. 《상동》
○ 치화(致和) 원년(1328, 충숙왕15) -무진- 정월 을축 초하루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방물을
바쳤다. 《상동》
○ 문종(文宗) 천력(天曆) 2년(1329, 충숙왕16) -기사- 정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조하(朝賀)하였다. 《상동》
○ 지순(至順) 3년(1332, 충혜왕2) -임신- 정월 신미 초하루에 고려국의 왕 왕정(王禎)이 그의 신하
원충(元忠)을 파견하여 표문을 받들어 축하하고, 방물을 조공하였다. 《상동》
○ 순제(順帝) 지원(至元) 3년(1337, 충숙왕 복위 6) -정축- 4월 임오에 고려의 왕이 들어와서
조하(朝賀)하였다. 《상동》
○ 명(明)나라 태조(太祖) 홍무(洪武) 2년(1369, 공민왕18) -기유- 에 고려국의 왕이 표문을 받들어 축하하고
방물을 조공하였으며, 또 책봉해 주기를 요청하였다. 가을에 고려가 총부 상서(摠部尙書) 성유득(成惟得),
천우위대장군(千牛衛大將軍) 김갑량(金甲兩)을 파견하여 감사해하는 표문을 올리고, 아울러 천수절(天壽節)을
축하하였다. 이로부터 공물을 바치는 사신이 자주 와서 원조(元朝) 및 성절(聖節)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조회하고 축하하는 것이 해마다의 관례로 되었다. 《명사(明史)》
○ 3년(1370, 공민왕19) -경술- 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감사해하는 표문을 올리고 방물을 조공하였다.
《상동》
○ 4년(1371, 공민왕20) -신해- 에 고려의 사신이 들어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5년(1372, 공민왕21) -임자- 에 고려의 공사(貢使) 홍사범(洪師範), 정몽주(鄭夢周) 등 150여 인이
경사(京師)로 오다가 풍랑을 만나 바다에 빠져 죽은 자가 39인이었는데, 그 가운데에 홍사범도 끼어
있었다. 황제가 조서를 내려서 자주 들어와서 조공하지 말라고 유시하였다. 그런데 고려가 다시 문하
찬성사(門下贊成事) 강인유(姜仁裕)를 파견하여 말을 조공하였으며, 하정조사(賀正朝使) 김서(金湑) 등은
이미 먼저 도착해 있었다. 이에 황제가 이들을 모두 돌려보내고는 3년에 한 차례씩 조공하라고 유시하였다.
《상동》
○ 이해에 고려가 예부 상서 오계남(吳季南)과 민부 상서(民部尙書) 장자온(張子溫)을 파견하여 방물을
조공하였다. 《오학편(吾學編)》
○ 9월 성탄절(?)에 고려가 배신(陪臣)을 파견하여 표문을 올려서 축하하고, 아울러 황태자의 천추절
(千秋節)을 축하하니, 황제가 중서성(中書省)에 조서를 내려서 모두 면제하라고 유시하였다.
《속문헌통고(續文獻通考)》
○ 6년(1373, 공민왕22) -계축- 에 갑량(甲兩) -살펴보건대 바로 김갑량(金甲兩)으로, 《명사》에서 성을
기록하지 않은 것이다.- 등이 들어와서 조공하고 말 5000필을 바쳤다. 《명사》
○ 7년(1374, 공민왕23) -갑인- 에 고려가 감문호군(監門護軍) 주의(周誼)와 정비(鄭庇)를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9년(1376, 우왕2) -병진- 에 고려의 사신이 들어와서 조공하였다. 《상동》
○ 10년(1377, 우왕3) -정사- 여름에 고려가 다시 주의(周誼)를 파견하여 말과 방물을 조공하니, 물리치고
받지 않았다. 겨울에 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다음 해의 정조(正朝)를 축하하였다. 이해에 사신이 다섯
차례 나왔는데, 사왕(嗣王)이 즉위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모두 받아들이지 않고 물리쳤다. 《상동》
○ 11년(1378, 우왕4) -무오- 4월에 고려가 다시 주의(周誼)를 파견하여 와서 축하하였다. 《상동》
○ 12년(1379, 우왕5) -기미- 겨울에 고려가 이무방(李茂芳) 등을 파견하여 와서 황금 100근, 백금 1만 냥을
조공하니, 전에 약속한 것과 같지 않다는 이유로 물리치고 받지 않았다. 《상동》
○ 13년(1380, 우왕6) -경신- 에 고려가 다시 주의(周誼)를 파견하여 들어와서 조공하자, 붙잡아 두고
돌려보내지 않았다. 《상동》
○ 16년(1383, 우왕9) -계해- 에 고려가 장백(張伯)과 최계(崔洎)를 사신으로 파견하여 와서 조공하자,
기일에 늦게 왔다는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고 물리쳤다. 《오학편(吾學編)》
○ 이해에 고려가 정몽주(鄭夢周)를 파견하여 성절(聖節)을 축하하고, 시호(諡號)를 내려 줄 것과
승습(承襲)을 허락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열조시집(列朝詩集)》
○ 17년(1384, 우왕10) -갑자- 6월에 고려가 사복 정(司僕正) 최연(崔涓)과 예의 판서(禮儀判書)
김진의(金進宜)를 파견하여 말 3000필을 조공하였다. 《명사》
○ 18년(1385, 우왕11) -을축- 정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들어와서 조공하니, 3년에 한 차례씩
조회하게 하였다. 《상동》
○ 이해에 말 5000필, 금 500근, 은 5만 냥, 포 5만 필을 조공하니, 21년(1388)의 정조(正朝) 때에 와서
조공하게 하였다. 《엄주별집(弇州別集)》
○ 19년(1386, 우왕12) -병인- 9월에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표문을 올려 축하하고, 방물을 조공하였다.
《명사》
○ 이해에 흑포(黑布)와 백포(白布) 1만 필, 말 1000필을 조공하였다. 《엄주별집》
○ 20년(1387, 우왕13) -정묘- 에 고려의 사신이 들어와서 조공하였다. 《명사》
○ 이해에 말 3040필을 진공하였다.
○ 탐라(耽羅)가 말을 진공하니, 값을 치러 주게 하였다. 《엄주별집》
○ 21년(1388, 우왕14) -무진- 에 고려가 시중(侍中) 이색(李穡)과 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
이숭인(李崇仁)을 파견하여 경사(京師)에 와서 정조를 축하하고, 중국 관원이 감국(監國)하기를 요청하였다.
《열조시집》
○ 22년(1389, 창왕1) -기사- 에 상이 봉천전(奉天殿)에 임어하여 조하(朝賀)를 받았으며, 문화전(文華殿)에서
군신들에게 크게 잔치하고, 황태자가 동궁(東宮)의 관속들에게 문화전에서 잔치하였는데, 고려가 사신을
파견하여 방물을 조공하고 진하(進賀)하였다. 《속문헌통고》
○ 23년(1390, 공양왕2) -경오- 에 고려의 사신이 들어와서 조공하였다. 《명사》
○ 24년(1391, 공양왕3) -신미- 에 고려국의 왕 왕요(王瑤)가 그의 아들 왕석(王奭)을 파견하여
조하(朝賀)하였다. 《상동》
○ 8월에 고려가 판선공시(判繕工寺) 양천식(楊天植) 등을 파견하여 시장에서 산 말 1500필을 진공하고자
요동(遼東)에 이르렀다. 11월에 김지탁(金之鐸) 등을 파견하여 호시(互市)의 말 2500필을 보내고자 요동에
이르렀다. 《엄주별집》
[주-D001] 원욱(元郁) :
원문에는 ‘元都’로 되어 있는데, 중화서국(中華書局)의 신교본(新校本) 《송사》에 의거하여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D002] 왕송(王誦) :
고려 제7대 왕인 목종(穆宗)의 휘(諱)이다.
[주-D003] 왕순(王詢) :
고려 제8대 왕인 현종(顯宗)의 휘이다.
[주-D004] 어사(御事) :
원문에는 ‘御史’로 되어 있는데, 중화서국(中華書局) 신교본(新校本) 《송사》에 의거하여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D005] 세마(細馬) :
길들인 말을 이른다.
[주-D006] 산마(散馬) :
길들이지 않은 말을 이른다.
[주-D007] 서하(西夏) :
원문에는 ‘四夏’로 되어 있는데,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D008] 주련(注輦) :
인도의 코로만델해안에 있던 옛 나라인데, 주련은 Coromandel의 음역이다.
[주-D009] 점성(占城) :
원문에는 ‘古城’으로 되어 있는데,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점성은 안남(安南)의 남쪽에 있던 참(Cham)족의
나라인 참파(Champa)를 말한다. 2세기 말엽에 건국하여 17세기 중엽에 멸망하여 청나라에 예속되었다.
[주-D010] 삼불제(三佛齊) :
자바(Java)의 서쪽에 있는 나라로, 남조 때에는 간타리(干陀利)라 칭하였고, 당나라 때에는
실리불서(室利佛逝)라 칭하였고, 송나라 때에 비로소 삼불제라 칭하였다.
[주-D011] 외대(外袋) :
원문에는 ‘外裝’으로 되어 있는데, 《고려사》권9 세가(世家) 문종(文宗) 3에 의거하여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D012] 다래와 언치 :
다래는 안장의 좌우에 드리우는 안장의 진흙받이를 말하고, 언치는 안장을 지울 때 말 등에 덮는 천을
말한다.
[주-D013] 한 위공(韓魏公) :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진 송나라의 명신 한기(韓琦)를 가리킨다.
[주-D014] 의원(醫員)을 …… 사은하였다 :
이때 문종이 병이 들어서 중국에 의원을 보내 주기를 요청하자, 중국에서 왕순봉(王舜封)을 파견하여
의원을 데리고 가서 치료하게 한 데 대해 사은한 것이다.
[주-D015] 을축 :
원문에는 ‘己丑’으로 되어 있는데,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D016] 왕운(王運) :
고려 제13대 왕인 선종(宣宗)의 휘이다.
[주-D017] 승통(僧統) :
대각 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을 가리킨다. 의천은 선종의 동생이 아니라 선종의 넷째 아들이다.
[주-D018] 수륭(壽隆) :
요나라 도종(道宗)의 연호는 수창(壽昌)인데, 《요사》에는 수륭(壽隆)으로 잘못 표기되어 있다.
[주-D019] 사신을 …… 사례하였다 :
이때 예종(睿宗)의 어머니인 명의태후(明懿太后)가 훙(薨)하자, 요나라에서 사신을 파견하여 치제하고,
예종을 기복시켜 주었다.
[주-D020] 대성아악(大晟雅樂) :
송나라의 대성부(大晟府)에서 만든 아악(雅樂)으로, 궁중의 제례의식(祭禮儀式) 때 연주하는 아악을 말한다.
등가악기(登歌樂器) 17종, 헌가악기(軒架樂器) 20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의식의 종류에 따라서 일정한
규칙에 의하여 악기를 배치하는 악현(樂懸)은 국왕이 참석하는 경우와 국왕을 대신해 대신이 참여하는
경우에 따라 각각 다르다.《韓國學基礎資料選集 中世篇 599~602쪽》
[주-D021] 보주(保州) :
요나라에서 설치한 주로, 치소(治所)가 평양(平壤)의 서북쪽에 있었다.
[주-D022] 고려가 …… 축하하였으며 :
이때 금나라가 요나라의 주군(州郡)을 손에 넣은 것을 축하한 것이다.
[주-D023] 세남(世南) :
송(宋)나라 때의 장세남(張世南)으로, 바로 《유환기문(遊宦記聞)》을 편찬한 사람이다.
[주-D024] 을사 :
원문에는 ‘己巳’로 되어 있는데,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D025] 왕해(王楷) :
고려 제17대 왕인 인종(仁宗)의 휘이다.
[주-D026] 만수절(萬壽節) :
금(金)나라 황제의 생일이다.
[주-D027] 6월 :
원문에는 ‘六年’으로 되어 있는데,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D028] 해릉(海陵) :
금나라의 폐제(廢帝)인 해릉서인(海陵庶人) 완안량(完顔亮)을 가리킨다. 요왕(遼王) 종간(宗幹)의 둘째 아들로,
본명은 적고내(迪古乃)이다.
[주-D029] 만춘절(萬春節) :
금나라 황제의 생일이다.
[주-D030] 왕호(王晧) :
원문에는 ‘王皓’로 되어 있는데,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이하도 같다. 왕호는 고려 제19대 왕인 명종(明宗)의
휘로, 정중부(鄭仲夫)에 의하여 왕위에 올랐다.
[주-D031] 왕현(王晛) :
고려 제18대 왕인 의종(毅宗)의 휘이다. 이때 정중부(鄭仲夫)의 무신난(武臣亂)으로 인해 폐위되었다.
[주-D032] 조위총(趙位寵)의 난(亂) :
고려 명종 4년(1174)에 조위총이 정중부(鄭仲夫), 이의방(李義方) 등의 무신정권(武臣政權)에 반기를 들어
일으킨 난으로, 처음에는 여러 차례 관군(官軍)을 격퇴시켰으나, 형세가 불리해지자 자비령(慈悲嶺) 이북의
40여 성(城)을 들어 내부(來附)하는 조건으로 금나라에 원군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금나라에서 거부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였으며, 명종 6년에 서경이 함락되어 반란이 실패로 돌아갔다.
[주-D033] 사은하였다 :
원문에 ‘諫謝’로 되어 있는데, 뜻이 통하지 않기에 ‘陳謝’로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D034] 12월 …… 답하였다 :
《금사》 권61 교빙표 중(交聘表中)에는 이 기사가 23년의 기사에 실려 있다.
[주-D035] 계인(桂仁) :
《금사》 권61 교빙표(交聘表)에는 최인(崔仁)으로 되어 있으며, 《동사강목(東史綱目)》과 《고려사》에도
최인으로 되어 있다.
[주-D036] 왕탁(王晫) :
고려 제20대 왕인 신종(神宗)의 휘로,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옹립되었다.
[주-D037] 양위하였다 :
원문에는 ‘謙’으로 되어 있는데, 뜻이 통하지 않기에 ‘讓’으로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D038] 요동행성(遼東行省) :
금나라 때 요동 지역의 행정(行政), 군사(軍事), 일반 사무를 담당하던 특별행정군사기구이다.
[주-D039] 중서주서(中書注書) :
원문에는 ‘中書住書’로 되어 있는데,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D040] 왕철(王㬚) :
고려 제23대 왕인 고종(高宗)의 휘이다.
[주-D041] 표문을 받들고 :
원문에는 ‘奉使’로 되어 있는데, 《원사(元史)》 권208 외이열전(外夷列傳)에 의거하여 ‘奉表’로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D042] 합문 지후(閤門祗候) :
원문에는 ‘閤門祗修’로 되어 있는데, 《원사》 권208 외이열전에 의거하여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D043] 왕전(王倎) :
고려 제24대 왕인 원종(元宗)의 휘이다.
[주-D044] 세조(世祖) :
원문에는 ‘世宗’으로 되어 있는데,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D045] 왕심(王愖) :
왕심(王諶)의 잘못된 표기이다. 왕심은 충렬왕(忠烈王)의 본래 이름으로, 그 뒤에 왕춘(王暙)으로 바꾸었다가
충렬왕 19년(1293)에 다시 왕거(王昛)로 바꾸었다.
[주-D046] 우야손탈(于也孫脫) :
원문에는 ‘子也孫脫’로 되어 있는데,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D047] 강윤소(康允紹) :
원문에는 ‘康胤玿’로 되어 있는데, 《원사》 권208 외이열전(外夷列傳)에 의거하여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D048] 신사전(申思佺) :
원문에는 ‘申思全’으로 되어 있는데, 《원사》 권208 외이열전에 의거하여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D049] 경오 :
원문에는 ‘庚子’로 되어 있는데, ‘庚午’로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이하 계사년까지 원문에 신미(辛未)가
신유(辛酉)로, 임신(壬申)이 임술(壬戌)로, 계유(癸酉)가 계해(癸亥)로, 갑술(甲戌)이 갑자(甲子)로, 을해(乙亥)가
을축(乙丑)으로, 병자(丙子)가 병인(丙寅)으로, 기묘(己卯)가 기사(己巳)로, 경진(庚辰)이 경오(庚午)로,
신사(辛巳)가 신미(辛未)로, 임오(壬午)가 임신(壬申)으로, 계미(癸未)가 계유(癸酉)로, 갑신(甲申)이
갑술(甲戌)로, 을유(乙酉)가 을해(乙亥)로, 병술(丙戌)이 병자(丙子)로, 무자(戊子)가 무인(戊寅)으로,
기축(己丑)이 기묘(己卯)로, 경인(庚寅)이 경진(庚辰)으로, 신묘(辛卯)가 신사(辛巳)로, 계사(癸巳)가
계미(癸未)로 각각 잘못되어 있는 것을 바로잡아 번역하였으며, 주석은 달지 않았다.
[주-D050] 진도(珍島)를 평정한 것 :
원나라의 간섭에 항거하여 삼별초(三別抄)가 진도로 들어가 대항하자, 원나라에서 흔도(忻都), 사추(史樞),
홍다구(洪茶邱)를 파견하여 대패시키고 삼별초군이 왕으로 추대하였던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을 목
베었다.《元史 卷208 外夷列傳》
[주-D051] 허공(許㤨) :
허공(許珙)을 잘못 표기한 것이다.
[주-D052] 공주(公主) :
원나라의 공주인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를 말한다. 제국대장공주의 이름은
홀도로게리미실(忽都魯揭里米失)이며, 충렬왕(忠烈王)과 혼인하였다.
[주-D053] 왕원(王謜) :
원문에는 ‘王’로 되어 있는데,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D054] 성유득(成惟得) :
《고려사》에는 성준득(成准得)으로 되어 있다.
[주-D055] 김갑량(金甲兩) :
《동사강목》과 《명실록(明實錄)》에는 김갑우(金甲雨)로 되어 있다.
[주-D056] 전에 …… 않았다 :
홍무(洪武) 10년에 금 100근, 은 1만 냥, 말 100필, 세포(細布) 1만필을 조공하기로 약속한 것을 말한다.
[주-D057] 시호(諡號)를 …… 요청하였다 :
공민왕(恭愍王)의 시호를 요청하고 우왕(禑王)의 승습을 허락해 주기를 요청한 것이다.
ⓒ 한국고전번역원 | 정선용 (역) | 2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