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毛序] 麟之趾인지지는 關雎之應也관저지응야라 關雎之化行관저지화행이면 則天下無犯非禮즉천하무범비례하여 雖衰世之公子수쇠세지공자라도 皆信厚如麟趾之時也개신후여인지지시야라
인지지(麟之趾)는 관저(關雎)에 호응하는 시이다. 관저의 교화가 행해지면 천하에 예의가 아닌 것을 범하지 아니하여 비록 쇠미한 세상에 공의 자식이라도 모두 신의와 후덕함이 기린의 발과 같은 시절이 된다.
經
麟之趾인지지여
振振公子진진공자로소니
于嗟麟兮우차인혜로다
기린의 발이여
어질고 후덕한 제후의 아들이니
아, 이것이 기린이다.
∙趾(지): 발.
∙振振(진진): 어질고 후덕하다.
∙于嗟(우차): 감탄사이다.
傳
興也흥야라 麟린은 麕身균신, 牛尾우미, 馬蹄마제니 毛蟲之長也모충지장야라 趾지는 足也족야니 麟之足인지족은 不踐生草불천생초하고 不履生蟲불리생충이라 振振진진은 仁厚貌인후모라 于嗟우차는 歎辭탄사라
흥(興)이다. 린(麟)은 노루의 몸에 소의 꼬리, 말의 발굽이니 털 달린 짐승 중의 우두머리 이다. 지(趾)는 발이니, 살아있는 풀을 밟지 않고 살아있는 벌레를 밟지 않는다. 진진(振振)은 어질고 후덕한 모양이다. 우차(于嗟)는 감탄사이다.
∙중국 고대의 4대 영물(靈物)에는 용, 봉황, 기린, 거북이 있다. 거북은 큰 거북으로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나 나머지 용, 봉황, 기린은 상상의 동물이다.
∙麕(균): 고라니.
∙蹄(제): 발/발굽.
∙毛蟲(모충): 털 달린 짐승. 蟲(충): 동물의 총칭으로 짐승을 의미한다.
∙履(리·이): 밝다.
○ 文王后妃德修于身문왕후비덕수우신하여 而子孫宗族이자손종족이 皆化於善개화어선이라 故고로 詩人시인이 以麟之趾이인지지로 興公之子흥공지자하여 言麟性仁厚언인성인후라 故고로 其趾亦仁厚기지역인후하고 文王后妃仁厚문왕후비인후라 故고로 其子亦仁厚기자역인후라
문왕의 후비가 덕을 몸에 닦아서 자손과 종족들이 모두 선(善)에 교화되었다. 그러므로 시인이 기린의 발로써 왕의 아들을 흥기하여 말하기를, “기린의 성품이 어질고 후덕하므로 그 발이 또한 어질고 후덕하고 문왕의 후비가 어질고 후덕하므로 그 아들 또한 어질고 후덕한 것이다.
然연이나 言之不足언지부족이라 故고로 又嗟歎之우차탄지하여 言是乃麟也언시내인야니 何必麕身牛尾而馬蹄然後하필균신우미이마제연후에 爲王者之瑞哉위왕자지서재아하니라
그러나 말로는 부족하였다 그러므로 또 감탄하여 말하기를 “이것이 바로 기린이니 어찌 반드시 노루의 몸에 소의 꼬리에 말의 발굽인 된 뒤에야 왕자의 좋은 징조가 되느냐고”고 한 것이다.
∙서(瑞)는 상서(祥瑞)로 ‘좋은 징조’이다.
經
麟之定인지정이여
振振公姓진진공성이로소니
于嗟麟兮우차인혜로다
기린의 이마여
어질고 후덕한 제후의 집안이니
아, 이것이 기린이다.
∙定(정): 이마.
傳
興也흥야라 定정은 額也액야니 麟之額인지액은 未聞미문이라 或曰혹왈 有額而不以抵也유액이불이저야라 公姓공성은 公孫也공손야니 姓之爲言성지위언은 生也생야라
흥(興)이다. 정(定)은 이마이니 기린의 이마는 알려진 바가 없다. 혹자는 “이마로 떠받지 않는다.”고 하였다. 공성(公姓)은 공손(公孫)이니 성(姓)이란 말은 낳는다는 말이다.
∙額(액): 이마.
∙未聞(미문): 들은 바가 없다/알려지지 않았다/알려진 바가 없다.
∙抵(저): 들이받다/떠받다.
經
麟之角인지각이여
振振公族진진공족이로소니
于嗟麟兮우차인혜로다
기린의 뿔이여
어질고 후덕한 제후의 일가이니
아, 이것이 기린이다.
傳
興也흥야라 麟인은 一角일각이니 角端有肉각단유육이라 公族공족은 公同高祖공동고조니 祖廟未毁조묘미훼하여 有服之親유복지친이라
흥(興)이다. 기린은 뿔이 하나이니 뿔끝에 살이 있다. 공족(公族)은 공(公)의 고조할아버지를 함께하는 것이니[8촌간], 고조할아버지의 사당을 훼손하지 않아 복(服)이 있는 친척이다.
∙복(服)은 8촌까지 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