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전주리씨덕양군봉산군가산종친회 원문보기 글쓴이: 한해별
축문쓰는법
축문은 세로쓰기를 합니다.아래의 축문은 편의상 가로쓰기 를한 것임
| |
1. 遷柩祝 (천구축) |
관을 사당에 모시고 옮길 때 관에 고하는 고사식 |
請 遷柩于廳事 (청 천구우청사) |
관을 밖으로 옮기기를 청하나이다. |
2. 遷柩就輿祝 (천구취여축) |
염습한 뒤 관을 모시는 축 |
今遷柩 就輿 敢告 (금천구 취여 감고) |
염습한 뒤 관에 모시는 글 |
3. 祖奠祝 (조전축) |
발인전날 저녁에 제사지낼 때 고하는 고사식 |
永遷之禮 靈辰不留 今奉柩車 式遵朝道 (영천지례 영진불유 금봉구거 식준조도) |
영원히 가시는 예이오며 좋은때가 머무르지 아니하여 상여를 받들겠사오니 아침길을 인도하여 주소서 |
4. 遣奠祝(發靷告辭) 견전축(발인고사) |
상여를 메게 되었사오니 다음 곧 무덤일 것입니다. |
靈이旣駕 往卽幽宅 載陳遣禮 永訣終天 (영이기가 왕즉유택 재진견례 영결종천) |
보내오는 예를 베푸오니 영원토록 이별하옵심을 고하나이다. |
5. 路祭祝 (노제축) |
상여를 운구할 때 묘지까지 이르는 도중 노제를 지낼 때 읽는 축 |
維 歲次干支某月干支朔某日干支幼學某敢昭告于 某官之柩尙嚮 (유 세차간지모월간지삭모일간지유학모감소고우모관지구상향) |
세차간지(그해가언제인지) 모월간지(그달) 삭(은 그달 초하루일진) 모일간지(는 그날의 일진)을 쓰고 유학은 벼슬없는사람 모(는상주)를 쓴다. |
6. 山神祝 (산신축) |
일명 토지신축 또는 사토진축이라고도 하여 초종에 평토후 후토즉 땅을 맡은 신에게 고하는 축 |
維 歲次干支某月干支朔某日干支幼學某敢昭告于土地之神今爲學生某貫某公某폄玆幽宅神某保佑備無後艱謹以淸酌脯醯祗薦于神尙饗 (유 세차간지모월간지삭모일간지유학모감소고우토지지신금위학생모관모공모폄자유택신모보우비무후간근이청작포혜지천우신상향) |
연월일 누구는 토지지신에게 감히 고하나이다 이제 모의 묘를 마련하니 신께서 도우셔서 뒤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여 주시기 바라옵고 맑은술과 포과로서 올리오니 흠향하옵소서 |
7. 改土祝 (개토축) |
개광할 때 산신에게 고하는 축 |
維 歲次干支某月干支朔某日干支幼學某敢昭告于土地之神今爲學生某貫某公營建宅兆神其保佑비無後艱謹以淸酌脯醯祗薦于神尙饗 |
유 세차간지모월간지삭모일간지유학모감소고우토지지신금위학생모관모공영건택조신기보우비무후간근이청작포혜지천우신상향 |
8. 題主祝 (제주축) |
성분축이라고도 하여 반우전에 묘에 고하는 축 |
維 歲次干支某月干支朔某日干支孤子(누구)敢昭告于顯考學生府君形歸둔석神返室堂神主旣成伏惟尊靈舍舊從新是憑是依 ※ 神主를 만들지 않을때는 신주기성을 신주未成으로 사구종신시빙시의를 魂箱猶存乃舊是依로한다) |
유 세차간지모월간지삭모일간지고자(누구)감소고우현고학생부군형귀둔석신반실당신주기성복유존영사구종신시빙시의 |
9. 虞祭祝 (우제축) 반우후 처음으로 지내는 제사때 고하는 축 | |
維 歲次干支某月干支朔某日干支孤子(母喪엔哀子)某敢昭告于顯考學生府君日月不居奄及初虞夙興夜處哀慕不寧謹以(妻에는玆以)淸酌庶羞哀薦(妻에게는陳此)협事尙饗(재우는 우사,삼우에는 성사) |
유세차간지모월간지삭모일간지고자(누구) 모감소고우 현고학생부군일월불거엄급초우숙흥야처애모불녕근이 청작서수애천협사상향 |
10. 高祖父母님祝 (고조부모님축) | |
維 歲次干支某月干支朔某日干支高孫(누구)敢昭告于顯高祖考學生府君(고조모님의 경우 : 顯高祖비孺人 누구)歲序遷易顯高祖考諱日復臨追遠感時不勝永慕謹以淸酌庶羞供伸奠獻尙饗 |
유세차간지모월간지삭모일간지고손(누구) 감소고우 현고조학생부군(현고조비유비 누구)세서천역현고조고휘일부림추원감시불승영모군이청작서수공신전헌상향 |
11. 曾祖父母님祝 (증조부모님축) | |
維 歲次干支某月干支朔某日干支曾孫(누구)敢昭告于顯曾祖考學生府君(증조모님의 경우 : 顯曾祖비孺人 누구)歲序遷易顯曾祖考諱日復臨追遠感時不勝永慕謹以淸酌庶羞供伸奠獻尙饗 |
유세차간지모월간지삭모일간지증손(누구) 감소고우 현증조고학생부군(현증조비유비 누구)세서천역현증조고휘일부림추원감시불승영모군이청작서수공신전헌상향 |
12. 祖負母님祝 (조부모님축) | |
維 歲次干支某月干支朔某日干支孝孫(누구)敢昭告于顯祖考學生府君(조모님의 경우 : 顯祖비孺人 누구)歲序遷易顯祖考諱日復臨追遠感時不勝永慕謹以淸酌庶羞供伸奠獻尙饗 |
유세차간지모월간지삭모일간지효손(누구) 감소고우 현조고학생부군(현조비유비 누구)세서천역현조고휘일부림추원감시불승영모군이청작서수공신전헌상향 |
13. 父母님祝 (부모님축) | |
維 歲次干支某月干支朔某日干支孝子(누구)敢昭告于顯考學生府君(어머님의 경우 : 顯비孺人 누구)歲序遷易顯考諱日復臨追遠感時昊天罔極謹以淸酌庶羞恭伸奠獻 尙饗 |
유세차간지모월간지삭모일간지효자(누구) 감소고우 현고학생부군(현비유비 누구)세서천역현고휘일부림추원감시호천망극근이청작서수공신전헌상향 |
14. 男便祝 (남편축) |
-이하는 추후보완할예정- |
15. 妻의祝 (처의축) |
|
16. 兄의祝 (형의축) |
|
17. 子의祝(자식의축) |
|
18. 父先亡母喪畢合祭祝文式 |
부선망모필합제축문식 |
19. 山神祝 (破墓時) |
파묘시 산신축 (파묘하기전에 고축) |
20. 啓墓祝 (개묘축) |
파묘시 묘전에 고할 것 |
21. 平土告詞 (평토고사) |
성분후 설전을 하고 고축하는것 |
22. 改葬虞祭祝 (개장 우제축) |
개장당일만 초우를 재우 삼우는 없다. |
23. 改莎草告墓祝 (개사초 고묘축) |
사초할시에 먼저 주과포를 설전하고재배고축할 것 |
24. 改莎草後 慰安祝 (개사초후 위안축) |
개사초를 마치고 묘전에 설전하고 고축할것 |
25. 改莎草時 山神祝 (개사초시 산신축) |
사초를 하기 전에 고축할 것 |
26. 莎草後 山神祝 (사초후 산신축) |
|
27. 具石物時 告墓祝 (구석물시 고묘축) |
|
28. 石物 山神祝 (석물 산신축) |
|
기본적인 축문 양식
祝 文
維 歲次 1.干支 2.二月 3.干支朔 4.二十八日 5.干支 孝孫 ○○ 敢昭告于 顯祖考學生府君 顯祖비 孺人 安東金氏 歲序遷易 顯祖비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永慕 謹以淸酌 庶羞恭伸 奠獻 尙 饗 ※ 설명 1.제사가 있는 그해의 干支 2.제사가 있는달 3.제사가 있는달의 초하루 干支 4.제삿날 5.제삿날의 干支 ☆ 父母시에는 昊天罔極(호천망극)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