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간담회 갔다왔습니다. 환경운동연합, 대구여성회, 참여연대, 진보신당, 녹색당, YWCA, 영남생태보존회,
녹소연, 가톨릭 정평위, 허미옥, 그리고 저. 저는 인의협 자격으로 또 반핵의사회(준) 자격으로 갔다왔습니다. YWCA가
탈핵에 투신하기로 했다는 기특한... 그리고 저는 핵을 기점으로 (이걸 하느님의 특별호출이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지만...)가톨릭으로 복귀하고 대구교구 가톨릭 정평위(정의 평화 위원회) 탈핵 분과 특별위원회의 장을 맡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일이 이렇게 저 의지와 상관없이 만들어 지는 군요. 어쨓든 가톨릭이 탈핵에 주요한 동력이 될것 같습니다......)
지난 1월 5일 있었던 ‘핵 없는 세상을 위한 대구시민행동’ 신년 간담회, 잘 마쳤습니다.
총 11단체 17분이 참여하셔서 많은 이야기들을 나누었습니다.
후쿠시마 핵 참사 이후 핵에 대한 인식이 달라졌고, 우리사회가 빨리 탈핵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데 인식을 함께했습니다. 그래서 올 한해 탈핵을 중심의제의 하나로 삼아 그를 위한 구체적 행동들을 해나가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한 시간이었습니다.
다양한 의견들을 많이 주셨습니다. 나온 의견들을 간략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의견과 제안
후쿠시마 1주기를 기점으로 한 전국적 탈핵투쟁 일정에 함께하자
신규 핵발전 부지로 선정된 영덕의 반대투쟁대책위의 활동을 적극 지원하자
구체적 일 중심으로 활동들을 만들어가자
홍보 유인물을 만들자 - 탈핵교수모임에서 만화책이 곧 나올 예정이다.
대시민 여론조사를 벌이자
총선 후보에게 탈핵에 대한 정책 검증을 실시하자
시민행동 조직을 좀더 확대하자 - 특히 생협 단위들, KYC 등에도 적극 제안하고, 다양한 단위들이 함께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두자
관련 자료를 공유하자 - 매뉴얼화 된 자료가 있으면 좋겠다
지역 인터넷 매체에 기고를 하고, 기사를 널리 공유하게 하자
- 가령 평화뉴스나 TNT뉴스 같은 곳에 캠페인 꼭지를 만들자
라디오광고를 제작해서 홍보하자
먹거리 안전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 방사능이 먹거리 안전에 끼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캠페인을 벌여보자.
단체 회원들 모임 등의 작은 모임에 가서 핵 문제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전파시키자 - 그러기 위해서 가령 반핵강사학교를 열어서 탈핵 강사를 많이 만들자
간담회 결의 사항
1. 시민행동 실행위를 꾸리자
- YWCA, 대구환경운동연합, 녹색당 준비모임, 대구 정평위 생태분과, 녹소연(미정)
이런 정도로 실행위를 꾸리고, 실행위를 중심으로 위 제안과 의견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계획과 사업들을 만들어가기로 했습니다.
2. 일단 16일 강좌와 18일 세미나에 적극 참여하고, 많은 단체 회원 및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자
3. 10월 11일(수) 12시 시민행동 실행위를 연다
※ 아래 강좌와 세미나를 각 단체 회원들과 시민들에게 널리 홍보해주십시오
각 단체 홈페이지에 게시, 메일/문자 보내기, 유관 기관 및 카페 등을 이용해서 널리 홍보해주십시오.
<‘탈핵’ 강좌와 세미나 안내>
1월 16일(월) 오후 7시 대명성당
<녹색평론> 김종철 선생 강연 - “핵이라는 괴물 어떻게 할 것인가?”
1월 18일(수) 오후 2시 경북대 사회대 시청각실 ss352호
“영남권 탈핵 연대 구축을 위한 세미나”
영남권 탈핵연대구축을 위한 세미나
“핵발전 확대, 미래 세대를 위한 올바른 선택인가?”
장소: 사회대 시청각실(SS 352호)
일시: 2112년 1월 18일 오후 2시~5시
발표 1: 후쿠시마 핵발전사고를 바라보는 3가지 다른 시선(노진철, 경북대 교수, Change대구 공동대표)
발표 2: 기술문명, 인간의 폭력성, 대안세계에 대한 문학적 성찰(김용민, 연세대 독문학과 교수)
발표 3: 요코하마 탈원전 세계대회 결과 보고(이원영, 수원대 교수, 국토미래연구소장)
발표 4: 영남권 탈핵연대 구축을 위한 제언(김익중, 동국대 교수, 경주환경운동연합 대표)
토론: 민주통합당 대구시당 위원장, 경북도당 위원장
통합진보당 대구시당 위원장, 경북도당 위원장
진보신당 장태수 대구시당 위원장
창조한국당 김귀현 대구시당 위원장
Change대구 함종호 상임대표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육성완 상임대표
진보연대 대구지부 백현국 대표
대구환경운동연합 김동 공동대표
핵없는 세상을 위한 대구시민행동
첫댓글 2012년의 글이네요 !
놀랍네 ^^
나눠주어 고마워 선주 ~!
이어서 함께 할 수 있어 기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