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산골물
 
 
 
카페 게시글
좋은글 모음 스크랩 논어원문 독음 해석
산골물 추천 0 조회 5,050 10.04.19 16:31 댓글 2
게시글 본문내용
제 1 편 학 이( 學 而 )  
♣ 학이편은 논어의 서편(緖編)으로 학문의 중요성과 공자의 사상이 깃들어 있다.  
1.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배우고 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有朋이 自遠方來면 不亦樂乎아, 
유붕 자원방래 불역락호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人不知而不 이면 不亦君子乎아.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노여워 하지 않음이 또한 군자가 아니겠는가  
3. 子曰 巧言令色이 鮮矣仁이니라.  
교언영색 선의인  
교묘하게 꾸민 말과 보기 좋게 꾸민 얼굴빛에는 어진 마음이 드물다  
4. 曾子曰 吾 日三省吾身하나니 爲人謀而不忠乎아,與朋友交而不信乎아.傳不習乎아니라.  
증자왈 오 일삼성오신 위인모이불충호 여붕우교이불신호 전불습호  
나는 매일 나 자신을 세번씩 반성한다. 남을 위해서 일을 하는데 정성을 다하였든가, 벗들과 함께 서로 사귀는데 신의를 다하였든가, 전수 받은 가르침을 반복하여 익혔는가, (또는 제대로 익히지 못한 것을 남에게 전하지 않았던가.) 
8. --- 無友不如己者오 過則勿憚改니라. 
무우불여기자 과즉물탄개  
나보다 못한 사람과 벗하지 말며, 잘못을 깨달았을 때에는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  
15. --- 告諸往而知來者온여  
고저왕이지래자  
지난 과거를 말해주면 미래를 아는구나.  
16. 子曰 不患人之不己知오 患不知人也니라. 
불환인지불기지 환부지인야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지 못함을 탓하라.  
제 2 편 위 정( 爲 政 )  
♣ 정치에 대한 내용을 많이 수록하였다. 
3. 子曰 道之以政하고 齊之以刑이면 民免而無恥니라,  
도지이정 제지이형 민면이무치  
법률 제도로써 백성을 지도하고 형벌로써 질서를 유지시키면, 백성들은 법망을 빠져나가되 형벌을 피함을 수치로 여기지 아니한다.  
道之以德하고 齊之以禮이면 有恥且格이니라. 
도지이덕 제지이례 유치차격  
덕으로써 이끌고 예로서 질서를 유지시키면 백성들은 부정을 수치로 알고 착하게 된다.  
4. 子曰 吾 十有五而志于學하고 三十而立하고 四十而不惑하고  
오 십유오이지우학 삼십이립 사십이불혹  
나는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에 뜻이 확고하게 섰고, 마흔에는 인생관이 확립되어 마음에 혼란(유혹)이 없고,  
五十而知天命하고 六十而耳順하고 七十而從心所欲하야 不踰矩니라  
오십이지천명 육십이이순 칠십이종심소욕 불유구  
쉰에는 천명을 깨달아 알게 되었고, 예순에는 어떠한 말을 들어도 그 이치를 깨달아 저절로 이해를 할 수 있었고, 일흔에는 내마음 대로 행동을 하여도 법도에 어긋나는 일이 없었다.  
11. 子曰 溫故而知新이면 可以爲師矣니라.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  
옛것을 알고 새로운 지식을 터득하면 능히 스승이 될 수 있다.  
12. 子曰 君子는 不器니라.  
군자 불기.  
군자는 한가지 구실밖에 못하는 기물이나 기계가 아니다.  
13. 子貢이 問君子한대 子曰 先行其言이오 以後從之니라.  
자공 문군자 자왈 선행기언 이후종지.  
자공이 군자에 대하여 물으니 공자께서 먼저하고자 하는 일을 행한 후에 말을하는 사람이 군자다.  
14. 子曰 君子는 周而不比 하고 小人은 比以不周니라.  
군자 주이불비 소인 비이부주  
군자는 두루 통하면서도 편파적이 아니며 소인은 편파적이면서도 통하지도 않는다.  
17. 子曰 由아 誨女知之乎인저. 知之爲知之오 不知爲不知 是知也니라.  
유 회여지지호 . 지지위지지 부지위부지 시지야  
유야 너에게 안다는 것을 가르쳐 주마, 아는 것을 안다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참으로 아는 것이다.  
19. 哀公이 問曰 何爲則民服이니이꼬.  
애공 문왈 하위즉민복  
노나라 애공왕이 어떻게 하면 백성들이 복종을 하겠습니까? 하니  
公子 對曰 擧直錯諸枉則民服하고 擧枉錯諸直則民不服이니이다. 
공자 대왈 거직조저왕즉민복 거왕조저직즉민불복  
공자 대답이 곧고 올바른 사람을 등용해서 곧지 않는 사람 위에 놓으면 백성들은 마음까지 복종 하지만 반대로 부정직한 사람을 등용 하여 정직한 사람 위에 놓으면 백성들은 복종하지 않습니다.  
24. 子曰 --- 見義不爲 無勇也니라. 
견의불위 무용야.  
옳은 일을 보고도 나서서 행동하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기 때문이다.  
제 3 편 팔 일 ( 八 佾 )  
♣ 무악(舞樂)의 이름인 팔일을 편명으로 삼아 예악에 대한 이야기를 모아 놓았다.  
3. 子曰 人而不仁이면 如禮에 何며 人而不仁이면 如樂에 何오.  
인이불인 여례 하 인이불인 여악 하.  
사람이 어질지 못하면 예는 무엇하며 사람이 어질지 못하면 음악은 무엇하랴  
4. --- 禮 與其奢也론 寧儉이오 喪이 與其易也론 寧戚이니라.  
예 여기사야 영검 상 여기이야 영척  
예는 사치하기보다는 검소해야 되고 상사(초상)에서는 형식을 갖추기보다는 슬퍼해야한다.  
12. 祭如在하시며 祭神如神在러시다. ---  
제여재 제신여신재  
조상을 제사 모실때에는 앞에계신듯이하고 신을 제사 지낼 때에는 신이 있는듯이하였다.  
21. --- 成事라 不說하며 遂事라 不諫하며 旣往이라 不咎로다.  
성사 불설 수사 불간 기왕 불구  
이미 이루어진일은 말하지 않으며, 끝난 일은 간하지 않으며, 지난 일은 탓하지 않는다.  
24. 儀封人 請見曰 --- 天將以夫子로 爲木鐸이시니라.  
의봉인 청현왈 천장이부자 위목탁  
의봉인이 청하여 본후 하늘이 장차 선생님을 목탁으로 삼고자 하심이다.  
 
제 4 편 이 인 ( 里 仁 )  
♣ 인덕(仁德)에 대한 말을 많이 수록하였음  
1. 子曰 里人이 爲美 하니 擇不處仁이면 焉得知리오. 
이인 위미 택불처인 언득지  
인후한 마을에 사는 것이 좋으며 그러한곳을 택하여 살지 않으면 어찌 지혜롭다 하리요.  
2. 子曰 不仁者는 不可以久處約이며 不可以長處樂이니 仁者는 安仁하고 知者는 利仁이니라. 
불인자 불가이구처약 불가이장처락 인자 안인 지자 이인  
어질지 못한 사람은 역경에 오래 있지 못하며 행복도 오래 누리지 못한다. 
그리고 어진 사람은 仁을 편안하게 여기고 지혜로운 사람은 인을 이롭게 생각한다.  
3. 子曰 唯仁者아 能好人하며 能惡人이니라. 
유인자 능호인 능오인  
오직 어진 사람만이 사람을 사랑할 수 있고 미워할 수 있다.  
8. 子曰 朝聞道면 夕死라도 可矣니라.  
조문도 석사 가의  
아침에 도를 들으면(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으니라.  
11. 子曰 君子는 懷德하고 小人은 懷土하며 君子는 懷刑하고 小人은 懷禮니라. 
군자 회덕 소인 회토 군자 회형 소인 회례  
군자는 덕을 생각하며 소인은 땅(좋은 땅에 안주함)을 생각하며, 군자는 형벌(법을지킴)을 생각하며 소인은 은혜 받기를 생각한다.  
12. 子曰 放於利而行이면 多怨이니라.  
방어리이행 다원  
이익만을 위해서 행동을 하면 원망을 많이 받는다.  
14. 子曰 不患無位오 患所以立하며 不患莫己知오 求爲可知也니라. 
불환무위 환소이립 불환막기지 구위가지야  
벼슬자리가 없음을 걱정하지 말고 자기의 자격을 근심하며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알려질 만 한일을 하고자 노력하라.  
16. 子曰 君子는 喩於義하고 小人은 喩於利니라. 
군자 유어의 소인 유어리.  
군자는 정의를 밝히어 이해하고 소인은 이익을 표준으로 하여 이해한다.  
17. 子曰 見賢思齊焉하며 見不賢而內自省也니라.  
견현사제언 견불현이내자성야  
어진 사람을 보면 그와 같이 되기를 생각하며, 어질지 못한 사람을 보면 스스로 깊이 반성한다.  
19. 子曰 父母 在어시든 不遠遊하며 遊必有方이니라. 
부모 재 불원유 유필유방  
부모님 살아 계시면 멀리 떠나지 아니하며, 떠나면 반드시 갈곳을 알려야 한다.  
23. 子曰 以約失之者 鮮矣니라.  
이약실지자 선의  
모든 일을 단단히 죄고 단속하므로써 실수 하는 일이 드물다.  
24. 子曰 君子는 欲訥於言而敏於行이니라.  
군자 욕눌어언이민어행  
군자는 말은 더디되 행동은 민첩하게 하고자 한다.  
25. 子曰 德不孤라 必有隣이니라. 
덕불고 필유린  
덕이 있는 사람은 외롭지 않으며 반드시 이웃이 있다.  
26. 子游曰 事君數이면 斯辱矣오 朋友數이면 斯疏矣니라.  
자유왈 사군삭 사욕의 붕우삭 사소의  
자유가 말하길 임금을 섬기는데 자주 간하면 욕이 되고 벗을 사귀는데 자주 충고를 하면 사이가 벌어진다.  
제 5 편 공 야 장 ( 公 冶 長 )  
♣ 제자들과 고금의 인물을 평한 것으로 주로 자공의 언행이 많이 기술 되어 있다. 
9. 子貢對曰 --- 回也는 聞一以知十하고 賜也는 聞一以知二하노이다. ---  
자공대왈 회야 문일이지십 사야 문일이지이  
자공이 대답하길 안회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알고 사(자공)는 하나를 들으면 둘밖에 모릅니다.  
12. 子貢이 曰我不欲人之加諸我也를 吾亦欲無加諸人하노이다. ---  
자공 왈아불욕인지가저아야 오역욕무가저인  
자공이 말하길 나는 남이 나에게 하는것중 좋지 않으면 저도 남에게 시키려고 하지 않는다.  
15. --- 子曰 --- 不恥下問이라  
불치하문 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17. 子曰 晏平仲은 善與人交로다. 久而敬之온여.  
안평중 선여인교 구이경지  
안평중은 사람과 잘 사귀었다. 오래될수록 (사귄 사람을)존경을했다.(안평중은 제나라 대부로 경공의 공자 천거에 반대 했지만 공자는 사사로운 감정을 따지지 않았음)  
23. 子曰 伯夷叔齊는 不念舊惡이라 怨是用希니라  
백이숙제 불념구악 원시용희  
백이 숙제는 지난날에 나빴던 일을 생각하지 않았음으로 (일반사람들이 그들을) 원망하는  
일이 드물었다.  
26. --- 顔淵이 曰願無伐善하며 無施勞하노이다. 子路曰 願聞子之志하노이다. 
안연 왈원무벌선 무시로 . 자로왈 원문자지지  
안연은 착한 일을 남에게 자랑하지 않고 남에게 힘드는 일을 강요하지 않겠습니다 했으니. 
자로가 선생님께서 원하시는 바를 들려주십시오 하자  
子曰 老子를 安之하며 朋友를 信之하며 少者을 懷之니라. 
노자 안지 붕우 신지 소자 회지  
노인들을 편안하게 하여주고, 벗들에게는 신의를 지키며 젊은이를 따뜻하게 감싸주려 한다..  
제 6 편 옹 야 (雍 也)  
♣ 이 편의 앞쪽은 인물평이 많고 뒤쪽은 인(仁)과 지(知)에 대한 이론이 많이 있다. 
2. --- 孔子 對曰有顔回者好學하야 不遷怒하며 不貳過하더니 ---  
공자 대왈유안회자호학 불천노 불이과  
안회(공자가 제일 사랑한 제자로 41살에 죽음)는 학문을 너무 좋아하여 노여움이 나도 아무데나 대고 화풀이를 하지 않을 만큼 (학문을) 좋아했으며 또한 잘못한 일은 두번 다시 되풀이하지 않을만큼 (학문을) 좋아하였다.  
17. 子曰 人之生也 直하니 罔之生也는 幸而免이니라. 
인지생야 직 망지생야 행이면  
인간의 삶은 원래 정직한 것이다, 정직하지 않으면서도 살 수 있는 것은 요행히 화를 면하고 있는 것이다.  
18. 子曰 知之者는 不如好之者오 好之者는 不如樂之者니라.  
지지자 불여호지자 호지자 불여락지자  
알기만 하는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사는 사람은 즐기는사람만 못하다.  
20. --- 仁者 先難而後獲이면 可謂仁矣니라. 
인자 선난이후획 가위인의  
어진 사람은 어려움은 남보다 먼저 하고, 보답은 남보다 뒤에 얻으면 참으로 어질다 할 수 있다.  
21. 子曰 知者는樂水하고 仁者는樂山이니 知者는動하고 仁者는靜하며 知者는樂하고 仁者는  
지자 요수 인자 요산 지자 동 인자 정 지자 낙 인자  
壽니라.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며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하니, 지자는 동적이며 인자는 정적이며, 지자는 즐겁게 살며 인자는 장수한다.  
28. --- 夫仁者는 己欲立而立人하며 己欲達而達人이니라. ---  
부인자 기욕립이립인 기욕달이달인  
인자란 자신이 나서고 싶을 때 남을 내세우며, 자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싶으면 남을 먼저 달성하게 한후 자기가 한다.  
제 7 편 술 이 ( 述 而 )  
♣ 공자 자신의 일과 공자의 용모, 태도, 행동에 대한 것들이 기록되어 논어 전편중  
가장 뛰어난 구절들이 많이있다. 
6. 子曰 志於道 하며 據於德하며 依於仁하며 游於藝니라.  
지어도 거어덕 의어인 유어예  
군자의 이상적인 생활이란 도에다 뜻을 두고 덕을 닦으며, 인을 의지하며 6예에서 생활할 것이다.  
10. --- 暴虎氷河 --- 必也臨事而懼하며 ---  
포호빙하 필야임사이구  
맨손으로 범을 잡으려하고, 맨발로 황하를 건너다 --- 마땅히 일에 임해서는 두려워해야 한다.  
15. 子曰 飯疏食飮水하고 曲肱而枕之라도 樂亦在其中矣니  
반소사음수 곡굉이침지 낙역재기중의  
不義而富且貴는 於我에 如浮雲이니라.  
불의이부차귀 어아 여부운  
거친 밥을 먹고 물을 마시며 팔베개를 하고 누워 있어도 즐거움이란 그속에있으며 의롭지 않은 부와 귀는 나에게는 하나의 뜬구름과 같다. (세상을 달관한 공자님의 생활철학)  
18. --- 發憤忘食하며 樂以忘憂하야 不知老之將至云爾오.  
발분망식 낙이망우 부지로지장지운이  
(그 사람됨이 학문을 너무 좋아해서) 발분 하면 먹는것도 잊고 ,학문을 즐김에 걱정도 잊으며, 늙는 일 조차 알지 못한다.  
21. 子曰 三人行에 必有我師焉이니 擇其善者而從之오 其不善者而改之니라.  
삼인행 필유아사언 택기선자이종지 기불선자이개지  
세 사람이 같이 길을 가면 그 중에 반듯이 나의 스승될 만한 사람이 있다, 그들의 착한 점을 골라서 따르고 나쁜 점은 살펴서 스스로 고쳐야 한다.  
35. 子曰 奢則不孫하고 儉則固니 與其不孫也론 寧固니라.  
사즉불손 검즉고 여기불손야 영고  
사치하면(호사스럽게 살면) 불손하기쉽고, 검소하면 고루해지니, 거만한것보다 차라리 고루한 것이났다.  
36. 子曰 君子는 坦蕩蕩이오 小人은 長戚戚이니라.  
군자 탄탕탕 소인 장척척  
군자의 마음은 평탄하고 너그러우며, 소인의 마음은 항상 근심에 차 있다.  
제 8 편 태 백 ( 泰 伯 )  
♣ 고대의 성왕들과 현인들의 이야기를 주로 다루었다.  
2. --- 君子 篤於親則民興於仁하고 故舊를 不遺則民不偸니라.  
군자 독어친즉민흥어인 고구 불유즉민불투  
군자가 친족에게 후하게 하면 백성들 사이에 어진 마음이 일어나게하며, 옛친구를 버리지 않으면 백성들도 각박해지지 않는다.  
4. --- 曾子 言曰 鳥之將死에 其鳴也哀하고 人之將死에 其言也善이니라. ---  
증자 언왈 조지장사 기명야애 인지장사 기언야선  
증자가 말했다. 새가 죽을 때에는 그소리가 애처롭고 사람이 죽을 때에는 그말이 착해집니다.  
5. 曾子曰 以能으로 問於不能하며 以多로 問於寡하며 有若無하며 實若虛하며 犯而不交를  
증자왈 이능 문어불능 이다 문어과 유약무 실약허 범이불교  
---  
증자가 말하길 유능하면서도 무능한 사람에게도 묻고, 박학다식해도 잘 알지못하는 사람에게 묻고, (도가) 있으면서도 없는 듯이 하고 (덕이) 실하면서도 허한 듯이 하며, 또 남에게 욕을 보아도 따지고 마주 다투지 않는다.  
14. 子曰 不在其位하얀 不모其政이니라.  
부재기위 불모기정  
그 직위에 있지 않거든 그 자리의 정사를 논하지 말라. (남의 일에 간섭하지 말라는 뜻)  
17. 子曰 學如不及이오 猶恐失之니라.  
학여불급 유공실지  
배움이란 도달할 수 없는 것 같이 하고 배운 것은 잃어버릴까 두려운 듯이 해야 한다.  
제 9 편 자 한 ( 子 罕 )  
♣ 공자의 언행에 대한 기록과 공자의 출처진퇴(出處進退)에 대한 기록이 많음. 
4. 子 絶四러시니 毋意毋必毋固毋我러시다.  
자 절사 무의무필무고무아  
공자께서 네 가지를 근절 하셨으니 자의대로 하는 일이 없었고, 집착하지 아니하고, 고집을 안부리고, 자기만을 내 세우는일(생각하는 일)은 없으셨다.  
6. --- 君子는 多乎哉 不多也니라. ---  
군자 다호재 부다야  
군자는 재능이 많아야 하는가? 군자는 다능하지 않는 법이다.  
16. 子 在川上曰 逝者 如斯夫인저. 不舍晝夜로다. 
자 재천상왈 서자 여사부 . 불사주야  
공자님이 냇가에서 말하길 지나가는 모든 것은 흐르는 물과 같구나 밤낮없이 멈추지 않는구나.  
17. 子曰 吾未見好德이 如好色者也니라  
오미견호덕 여호색자야  
나는 덕을 좋아하기를 여자를 좋아하듯이 하는 사람을 아직보지 못했다.  
22. 子曰 後生이 可畏니 焉知來者之不如今也리오.四十五十而無聞焉이면 斯亦不足畏也已니 
후생 가외 언지래자지불여금야 사십오십이무문언 사역부족외야이  
라. 
젊은 사람은 두려우니라. 어찌 장래의 그들이 지금의 나만 못하다고 하겠는가 그러나 사오십에도 학문과 덕으로 이름이 나지 않으면 그런사람은 무서울것이 없느니라.  
25. 子曰 三軍可奪帥也어니와 匹夫는 不可奪志也니라. 
삼군가탈수야 필부 불가탈지야  
삼군에서 장수를 빼앗을 수는 있어도 한 사나이로부터 그 지조는 빼앗을 수는 없는 것이다.  
제 10 편 향 당 ( 鄕 黨 )  
♣ 향당은 공자님의 용모, 음성, 의식주 등과 같은 일상생활과 공자님의 생활태도를  
기록한 편이다.  
4. --- 入不中門하시며 行不履 이러시다. ---  
입부중문 행불리역  
설 때에는 문의 중앙을 피하셨고 들어갈 적에는 문지방을 밟지 않으셨다.  
9. 席不正이어든 不坐러시다.  
석부정 부좌  
자리가(좌석의 깔개 등) 바르지 않으면 앉지 않으셨다.  
12. 廐焚이어늘 子 退朝曰 傷人乎아 하시고 不問馬하시다.  
구분 자 퇴조왈 상인호 불문마  
마구간에 불이 난적이 있었는데, 공자께서 조정에서 퇴근하셔서 사람이 다쳤는가 하고 말씀하시고 말은 물어 보지 않으셨다.  
제 11 편 선 진 ( 先 進 )  
♣ 문인들과 그외의 인물들에 대한 평이 많고 논어 전권을 선진을 기준으로  
상, 하로 나누는 경계로 삼았다.  
7. --- 子曰 才不才에 亦各言其子也니 ---  
재부재 역각언기자야  
잘났건 못났건 역시 제자식을 생각한다.  
11. 季路 問事鬼神한대 子曰 未能事人이면 焉能事鬼리오.敢問死하나이다. 曰未知生이면 言 
계로 문사귀신 자왈 미능사인 언능사귀 감문사 왈미지생 언 
知死리오.  
지사  
계로가 귀신 섬기는 일을 묻자, 공자께서 살아 있는 사람도 제대로 섬기질 못하는데 어찌 귀신을 섬기리요 하시었다. 감히 죽음에 대하여 묻습니다. 하니 공자께서 아직 삶도 잘 모르느데 어찌 죽음에 대해 알겠는가.  
15. --- 過猶不及이니라. 
과유불급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과 같다.  
19. 子張 問善人之道한대 子曰 不踐迹이나 亦不入於室이니라.  
자장 문선인지도 자왈 불천적 역불입어실  
자장이 선인의 도에 대하여 물었다. 공자께서 성현의 가름침을 좆지 아니 하여도 착한일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성현의 경지에는 들지 못한다.  
제 12 편 안 연 ( 顔 淵 )  
♣ 안연편은 공자와 제자, 제후들과의 대화를 기록한 것으로 주로 정치쪽으로 많이  
기록이 되었으며 바름(正)과 솔선을 이상형으로 삼았다.  
1. 顔淵이 問仁하대 子曰 克己復禮 爲仁이니 一日克其復禮면 天下 歸仁焉하나니  
안연 문인 자왈 극기복례 위인 일일극기복례 천하 귀인언  
안연이 인에 대하여 묻자 공자께서 자기를 극복하여 예로 돌아감이 인이니 하루라도 기를 이겨서 예로 돌아가면 천하가 인으로 돌아갈 것이다  
爲仁이 由己니 而由人乎哉아.顔淵이 曰請問其目하나이다. 
위인 유기 이유인호재 .안연 왈청문기목  
인을 이루는 데는 나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니 어찌 남으로부터 비롯될 것인가 하셨다. 
안연이 다시 자세히 가르쳐 주십시오 하니  
子曰 非禮勿視하며 非禮勿廳하며 非禮勿言하며 非禮勿動이니라 ---  
자왈 비례물시 비례물청 비례물언 비례물동  
공자께서 예가 아니면 보지를 말고 예가 아니면 듣지도 말며 예가 아니면 말도 하지 말며 예가 아니면 행하지 말 것이다.  
2. 仲弓이 問仁한대 --- 己所不欲을 勿施於人이니 ---  
중궁 문인 기소불욕 물시어인  
중궁이 인에 대하여 묻자 --- 자기가 하고 싶지 아니 한일을 남에게 시키지 말라.  
3. 司馬牛 問仁한대 子曰 仁者는 其言也 이니라. 
사마우 문인 자왈 인자 기언야  
사마우가 인에 대하여 묻자 공자 말씀하시길 인이라는 것은 말하는 것을 참는 것이다..  
4. 司馬牛 問君者한대 子曰 君者는 不憂不懼니라. ---  
사마우 문군자 자왈 군자 불우불구  
사마우가 군자에 대하여 묻자 군자란 근심하지 아니하며 두려워하지도 않는다.  
5. --- 子夏曰 --- 死生이 有命이오 富貴在天이라 --- 四海之內 皆兄弟也 ---  
자하왈 사생 유명 부귀재천 사해지내 개형제야  
(사마우가 묻자) 자하가 (공자에게서 듣고) 말하길 죽고 사는 것은 운명에 있고 부귀는 하늘에 달렸다 하며, --- (남과 사귐에 공경과 예의를 다하면) 천하의 모든 사람들이 형제가 될 것이다.  
7. 子貢이 問政한대 子曰 足食 足兵이면 民이 信之矣니라. --- 民無信不立이니라  
자공 문정 자왈 족식 족병 민 신지의 민무신불립  
자공이 정치에 대하여 묻자 공자께서 식량을 풍족히 하며 군비를 충족하게 하여 백성을 믿게 하는 것이다 --- 백성들이 믿지 않으면 나라가 존립할 수 없다.  
10. --- 子曰 --- 愛之란 欲其生하고 惡之란 欲其死하나니 --- 是惑也니라 
자왈 애지 욕기생 오지 욕기사 시혹야  
(자장이 덕을 높이고 미혹됨을 분별하는 것에 대하여 묻자) 좋아하면 그가 살기를 바라며 미워하면 그가 죽기를 바라는 것이니 --- 이것이 바로 미혹이니라  
11. --- 子曰 君君臣臣父父子子니이다. ---  
군군신신부부자자  
(제공경이 정치에 대하여 묻자)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아들은 아들 다워야한다.  
14. 子張이 問政한대 子曰 居之無倦하며 行之以忠이니라. 
자장 문정 자왈 거지무권 행지이충  
자장이 정치에 대하여 묻자 공자께서 항상 마음을 국정에 두어서 게을리 하지말며 정사를 행할때는 충실하게 할 것이다.  
16. 子曰 君子는 成人之美하고 不成人之惡하나니 小人은 反是니라.  
군자 성인지미 불성인지악 소인 반시  
군자는 남의 좋은 점을 권장하여 이루게 하고 남의 악한 일은 선도하여 못하게 하지만 소인은 이와 반대이다  
17. --- 孔子 對曰 政子는 正也니 子帥以正이면 孰敢不正이리오.  
공자 대왈 정자 정야 자솔이정 숙감부정  
(계강자가 정치에대하여묻자) 정치는 정(正)이니 선생께서 솔선하여 바르게 행하면 누가 감히 바르게 행하지 않겠읍니까.  
19. --- 孔子 對曰 子 爲政에 焉用殺이리오.子 欲善이면 而民이 善矣리니  
공자 대왈 자 위정 언용살 .자 욕선 이민 선의  
君子之德은 風이오 小人之德은 草라. 草尙之風이면 必偃하오 
군자지덕 풍 소인지덕 초 . 초상지풍 필언  
(계강자가 공자께 나쁜 놈들은 죽여서 기강을 바로잡으면 어떻냐고 묻자) 그대가 정치함에 어찌 사람을 함부로 죽이려 하시오 당신이 선을 추구하면 백성도 이에 따를 것이며 군자의 덕은 바람과 같고 소인의 덕은 풀과 같습니다. 풀에 바람이 불면 풀은 반드시 바람에 따르게 마련입니다.  
21. --- 先事後得이 非崇德與아. 攻其惡이오 無攻人之惡이 非脩慝與아. ---  
선사후득 비숭덕여 . 공기악 무공인지악 비수특여  
一朝之忿으로 忘其身하야 以及其親이 非惑與아  
일조지분 망기신 이급기친 비혹여  
(번지가 공자께 덕을 높이는 것과 사악함을 없애는 법과 미혹을 분별함에 대해 묻자) 일은 먼저 하고 이득은 뒤로 미루는 것이 덕을 숭상하는 길이 아니겠는가, 자신의 잘못은 따지고 남의 잘못은 따지지 않는 것이 악을 없애는 길이 아니겠느냐. --- 하루아침의 분을 참지 못하여 그몸을 잊고 그화를 부모에게 까지 미치게 한다면 그것이 바로 미혹함(어리석음)이 아니겠는가.  
22. 樊遲 問仁한대 子曰 愛人이니라. 問知한대 子曰 知人이니 --- 擧直錯諸枉이면 能使枉 번지 문인 애인 문지 지인 거직조저왕 능사왕  
者直이니라.  
자직  
번지가 인에 대하여 묻자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 앎에 대하여 묻자 사람을 알아보는 것이다 -- (번지가 말뜻을 못 알아듣자 다시) 정직한 사람을 등용하여 바르지 못한 사람위에 두면 정직하지 않은 사람도 정직하게 된다  
23. 子貢이 問友한대 子曰 忠告而善道之하되 不可則止하야 無自辱焉이니라. 
자공 문우 충고이선도지 불가즉지 무자욕언  
자공이 벗에 대하여 묻자 충고하여 이끌어 주되 말을 듣지 않으면 곧 중지하여 (지나친 충고로) 자신까지 욕됨이 없게 할 것이다.  
제 13 편 자 로 ( 子 路 )  
♣ 앞쪽은 정치에 대한 기록이 많으며 뒤쪽은 성인 군자에 대한 문답으로 이루어짐.  
3. --- 子曰 必也正名乎인저. --- 君子 於其所不知에 蓋闕如也니라. ---  
필야정명호 군자 어기소부지 개궐여야  
반드시 명분을 바로잡겠다. --- 군자는 그 알지 못하는 일에는 입을 다물고 있다.  
6. 子曰 其身이 正이면 不令而行하고 其身이 不正이면 雖令不從이니라. 
기신 정 불령이행 기신 부정 수령부종  
그 자신이 바르면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실천이 되고 그 자신이 바르지 않으면 비록 명령을 내려도 따르지 않는다.  
13. 子曰 苟正其身矣면 於從政乎에 何有며 不能正其身이면 如正人에 何오. 
구정기신의 어종정호 하유 불능정기신 여정인 하  
참으로 자기 자신을 바르게 한다면 정치에 무슨 어려움이 있으며, 그 자신을 바르게 잡지 못하면 어떻게 남을 바로 잡겠는가.  
17. --- 子曰 無欲速하며 無見小利니 欲速則不達하고 見小利則大事不成이니라. 
무욕속 무견소리 욕속즉부달 견소리즉대사불성  
(자하가 거보의 읍장이 되어 정치에 대하여 묻자) 일을 빨리 하려고 하지 말며 작은 이익을 돌아보지 말아라 빨리 하려 하면 달성하지 못하고 작은 이익을 돌아보면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  
21. 子曰 不得中行而與之인댄 必也狂견乎인저. 狂者는 進取오 견者는 有所不爲也니라.  
부득중행이여지 필야광견호 광자 진취 견자 유소불위야  
중용의 길을 행하는 사람을 얻어 (후계자로)가르치지 못할바에는 반드시 과격하거나 고집이 센 사람을 택하겠다. 광자는 진취적이며 견자는 함부로 나쁜일을 하지 않는다. 
23. 子曰 君子는 和而不同하고 小人은 同而不和니라. 
군자 화이부동 소인 동이불화  
군자는 남과 화합하되 뇌동하지 않으며 소인은 뇌동하되 화합하지 않는다.  
26. 子曰 君子는 泰而不驕하고 小人은 驕而不泰니라. 
군자 태이불교 소인 교이불태  
군자는 태연하나 교만하지 않고 소인은 교만하나 태연하지 못하느니라.  
27. 子曰 剛毅木訥이면 近仁이니라. 
강의목눌 근인  
강직하고 의연하고 질박하고 어눌하면 인에 가깝다.  
제 14 편 헌 문 ( 憲 問 )  
♣ 이 편은 여러나라의 사대부의 말을 기록하였으며 원헌(原憲)이 직접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子曰 士而懷居면 不足以爲士矣니라. 
사이회거 부족이위사의  
선비가 편안하게 살기만 생각한다면 선비라고 하기에 부족하다.  
5. 子曰 有德者는 必有言이어니와 有言者는 不必有德이니라. 
유덕자 필유언 유언자 불필유덕  
仁者는 必有勇이어니와 勇者는 不必有仁이니라.  
인자 필유용 용자 불필유인  
덕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들을만한 말을 하지만, 말이 들을만 하다고 다 덕이 있는 사람이 아니다 인자한 사람은 반드시 용기가 있지만, 용기가 있다고 다 인자한 사람은 아니다.  
11. 子曰 貧而無怨은 難하고 富而無驕는 易하니라.  
빈이무원 난 부이무교 이  
가난하면서 원망하지 않기는 어렵고 부유하면서 교만하지 않기는 쉬우니라.  
13. --- 見利思義하며 見危授命하며 ---  
견리사의 견위수명  
(자로가 성인에 대하여 묻자) 이익이 있으면 의로움인가 생각을 하며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내놓는다  
24. 子曰 君子는 上達하고 小人은 下達이니라.  
군자 상달 소인 하달  
군자는 날마다 위로 향하여 나아가며 소인은 날마다 아래를 향하여 나아간다.  
36. --- 子曰 何以報德꼬.以直報怨이오 以德報德이니라  
하이보덕 이직보원 이덕보덕  
(어떤 사람이 은덕으로써 원한을 갚으면 어떠하냐고 묻자) 그러면 은덕에 대해서는 무엇으로 갚겠소 원한은 올바름으로 갚고 은덕은 은덕으로 갚아야 한다.  
37. --- 子曰 不怨天하며 不尤人이오 ---  
불원천 불우인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사람을 탓하지 않는다.  
제 15 편 衛 靈 公 ( 위 영 공 )  
♣ 문구가 짧은 것이 특색이며 수신과 처세에 관한 구절이 많다.  
1. --- 子曰 君子는 固窮이니 小人은 窮斯濫矣니라.  
군자 고궁 소인 궁사람의  
군자는 곤궁을 잘 견딜 수 있지만 소인은 곤궁해지면 마구 행동을 한다.  
7. 子曰 可與言而不與之言이면 失人이오 不可與言而與之言이면 失言이니  
가여언이불여지언 실인 불가여언이여지언 실언  
知者는 不失人이며 亦不失言이니라. 
지자 불실인 역불실언  
더불어 말할 만한 사람인데 그와 말을 하지 않으면 사람을 잃고, 더불어 말 할만 사람이 안되는 데도 말을 하면 말을 잃고 지혜로운 사람은 사람도 잃지 않고 또한 말도 잃지 않는다.  
8. 子曰 志士仁人은 無求生以害仁이오 有殺身以成仁이니라.  
지사인인 무구생이해인 유살신이성인  
뜻이 있는 선비와 어진사람은 삶을 위하여 인을 해치지 않으며 자신을 죽여 인을 이룩하는 일은 있다. (이 구절에서 살신성인이 나옴)  
11. 子曰 人無遠慮면 必有近憂니라. 
인무원려 필유근우  
사람이 먼 앞날을 걱정하지 않으면 반드시 가까운 시일에 근심이 생긴다.  
14. 子曰 躬自厚而薄責於人이면 則遠怨矣니라.  
궁자후이박책어인 즉원원의  
자신을 꾸짖기는 엄하게 하고 남을 책망하길 가볍게 하면 남의 원망하는 소리를 멀리할 수 있다  
20. 子曰 君子는 求諸己오 小人은 求諸人이니라.  
군자 구저기 소인 구저인  
군자는 모든 책임의 소재를 자신에서 구하나 소인은 남에게서 구한다.  
23. 子貢이 問曰 有一言而可以終身行之者乎이까 子曰 其恕乎인저 己所不欲을 勿施於人이니  
자공 문왈 유일언이가이종신행지자호 기서호 기소불욕 물시어인 
라.  
자공이 한마디의 말로 평생토록 행할 만한 것이 있습니까 묻자 그것은 오직 서(용서) 이니라. 내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 시키지 말 것이니라.  
27. 子曰 衆惡之라도 必察焉하며 衆好之라도 必察焉이니라.  
중오지 필찰언 중호지 필찰언  
여러 사람이 미워하여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하며 여러 사람이 좋아해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한다.  
28. 子曰 人能弘道오 非道弘人이니라.  
인능홍도 비도홍인  
사람이 도를 넓히는 것이지 도가 사람을 넓히는 것이 아니다.  
29. 子曰 不而不改 是謂過矣니라.  
불이불개 시위과의  
잘못을 저지르고도 고치지 않는것을 일러 잘못이라 한다.  
36.. 子曰 君子는 貞而不諒이니라.  
군자 정이불량  
군자는 굳고 바르나 소신을 맹목적으로 고집하지 않는다.  
제 16 편 계 씨 ( 季 氏 )  
♣ 이 편은 긴문장이 많으며, 말한사람의 이름이 없으며 특히 자왈을 공자왈로  
적어 놓았다. 논어의 노론(魯論) 제론(齊論) 고론(古論)의 삼론중 제론으로 본다.  
1. --- 不患寡而患不均하며 不患貧而患不安이라  
불환과이환불균 불환빈이환불안  
(공자가 염유에게 이른 말로) (제후나 사대부가 토지가) 적은 것을 걱정하지 않고 고르지 못함을 근심하며, 가난함을 근심하지 말고 불편한 것을 걱정한다.  
蓋均이면 無貧이오. 和면 無寡오 安이면 無傾이니라. -----  
개균 무빈 . 화 무과 안 무경  
대체로 (토지를) 균등하게 하면 가난하지 않고 화합하면 (백성이) 적을 수 없고 (인심이) 안정되면 (나라나 집안이) 기울어지지(망하지) 않는다.  
4. 孔子曰 益者 三友오 損者 三友니 友直하며 友諒하며 友多聞이면 益矣오 
공자왈 익자 삼우 손자 삼우 우직 우량 우다문 익의  
유익한 벗이 셋이 있고 해로운 벗이 셋이다. 정직 한사람을 벗하고,성실한 사람을 벗하고, 
견문이 많은 박학다식한 사람을 벗하면 유익하고  
友便僻하며 友善柔하며 友便녕 이면 損矣니라. 
우편벽 우선유 우편녕 손의  
편벽(겉치레만 하는 사람)한 사람과 벗하며, 아첨 잘하는 사람과 벗하며, 거짓말 잘하는  
사람과 벗하면 해로우니라  
5. 孔子曰 益者 三樂오 損者 三樂니 樂節禮樂하며 樂道人之善하며 樂多賢友면 益矣오  
공자왈 익자 삼요 손자 삼요 요절예악 요도인지선 요다현우 익의  
유익한 즐거움이 셋 있고 해로운 즐거움이 셋 있다. 예악으로 절제함을 즐기고 남의 착한 점을 말하길 즐거워하며 어진벗을 많이 갖기를 즐거워하면 유익하다  
樂驕樂하며 樂佚遊하며 樂宴樂이면 損矣니라.  
요교락 요일유 요연락 손의  
지나친 쾌락을 좋아하며, 편안하게 놀기를 좋아하고, 주색의 향락을 좋아하면 해롭다.  
7. 孔子曰 君子 有三戒하니 少之時에 血氣 未定이라 戒之在色이오 
공자왈 군자 유삼계 소지시 혈기 미정 계지재색  
군자가 경계해야 할 세가지가 있다 젊었을 때는 혈기가 안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여색을 경계하고,  
及其壯也하야 血氣 方剛이라 戒之在鬪오 及其老也하야 血氣 旣衰라 戒之在得이니라  
급기장야 혈기 방강 계지재투 급기노야 혈기 기쇠 계지재득  
장년에는 혈기가 바야흐로 왕성하므로 싸움을 경계해야 하며 노년에는 혈기가 이미 쇠잔했으므로 욕심을 경계해야 한다.  
8. 孔子曰 君子 有三畏하니 畏天名하며 畏大人하며 畏聖人之言이니라  
공자왈 군자 유삼외 외천명 외대인 외성인지언  
군자는 두려워할 일이 세 가지 있다. 천명을 두려워하며 큰 인물을 두려워하며 성인의 말씀을 두려워 하는 것이다  
小人은 不知天命而不畏也라 狎大人하며 侮聖人之言이니라.  
소인 부지천명이부외야 압대인 모성인지언  
소인은 천명을 알지 못하여 두려워하지 않으며, 높은 어른을 예사로 알고 존경하지 않으며 성인의 말씀을 업신여긴다.  
9. 孔子曰 生而知之者는 上也오 學而知之者는 次也오 困而學之는 又其次也니 困而不學이면  
공자왈 생이지지자 상야 학이지지자 차야 곤이학지 우기차야 곤이불학  
民斯爲下矣니라.  
민사위하의  
나면서 저절로 아는 사람은 최상이오 배워서 아는 사람은 그 다음이오, 막힘이 있으면서도 애써 배우는 자는 또 그 다음이니라 그러나 모르면서도 배우지 않는 사람은 하등이 된다.  
10 孔子曰 君子有九思하니 視思明하며 聽思聰하며 色思溫하며 貌思恭하며 
공자왈 군자유구사 시사명 청사총 색사온 모사공  
군자에게는 아홉 가지 생각하는 것이 있으니 볼 때는 명백히 보기를 생각하고 듣는 것은 총명하게 듣기를 생각하며, 용모는 온화하기를 생각하고, 태도는 공손하기를 생각하고,  
言思忠하며 事思敬하며 疑思問하며 忿思難하며 見得思義니라.  
언사충 사사경 의사문 분사난 견득사의  
말은 성실하게 하기를 생각하고 일에는 신중하기를 생각해야 하고, 의심가는 것에는 묻기를 생각하고, 화가 날 때는 어려운 일을 당할 것을 생각하고, 이익을 보면 의로운가를 생각한다.  
제 17 편 양 화 ( 陽 貨 )  
♣ 세상의 어지러움과 위정자와 제자들에게 경고를 많이하고 있다.  
2. 子曰 性相近也나 習相遠也니라.  
성상근야 습상원야  
사람의 천성은 서로 비슷하나 습관에 의해 서로 멀어진다.  
3. 子曰 唯上知與下愚는 不移니라.  
유상지여하우 불이  
가장 지혜로운 사람과 가장 어리석은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  
4. --- 割鷄에 焉用牛刀리오. ---  
할계 언용우도  
닭 잡는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쓰겠느냐  
6. ---曰恭寬信敏惠니라 恭則不侮하고 寬則得衆하고 信則人任焉하고 敏則有功하고 惠則 
왈공관신민혜 공즉불모 관즉득중 신즉인임언 민즉유공 혜즉 
足以使人이니라.  
족이사인  
(자장이 인에 대하여 묻자) 공손, 관대, 신용, 민첩, 은혜니라. 공손하면 모욕을 당하지 않고, 관대 하면 많은 사람의 지지를 받고, 신용이 있으면 남이 일을 맡기며, 민첩(맡은 일을 빨리 처리함) 하면 공적을 세우게 되며, 은혜를 베풀면 사람들이 자연이 협력해 준다.  
15. 子曰 鄙夫는 可與事君也與哉아. 其未得之也엔 患得之하고  
비부 가여사군야여재 기미득지야 환득지  
비속한 사람과 함께 임금을 섬길 수 있겠는가 벼슬을 얻기 전에는 그것을 얻지 못하여 염려하고,  
旣得之하얀 患失之하나니 苟患失之면 無所不至矣니라.  
기득지 환실지 구환실지 무소부지의  
얻고 나서는 잃을까 근심한다. 진실로 잃을까 근심한다면 못하는 일이 없게 될 것이니라.  
16. --- 古之愚也는 直이러니 今之愚也는 詐而已矣로다.  
고지우야 직 금지우야 사이이의  
옛날에는 어리석어도 정직했으나. 지금의 어리석은 사람은 속임수가 있을 뿐이다.  
23. --- 子曰 君子 義以爲上이니 君子有勇而無義면 爲亂이오 小人이 有勇而無義면 爲盜니 
군자 의이위상 군자유용이무의 위란 소인 유용이무의 위도  
라.  
군자는 정의를 가장 숭상한다. 군자가 용기만 있고 정의를 모르면 난동을 일으키고, 소인이 용기만있고 정의를 모르면 도둑질을 하게된다.  
25. 子曰 唯女子與小人이 爲難養也니 近之則不孫하고 遠之則怨이니라  
유녀자여소인 위난양야 근지즉불손 원지즉원  
여자와 소인은 다루기 어렵다. 가까이 하면 불손하게 굴고 멀리 하면 원망을 한다.  
26. 子曰 年四十而見惡焉이면 其終也已니라. 
연사십이견오언 기종야이  
나이 사십이 되어서도 남에게 미움을 받는다면 그것은 끝장이 난 것이다.  
제 18편 미 자 (微 子)  
♣ 고대 은, 주나라의 현인(미자, 기자, 비간, 백이 숙제 등)들에대한 공자님의  
생각과 사상을 당시의 사회상에 중점을 두어 기술하였다. 
5. 楚狂接與 --- 往者는 不可諫이어니와 來者는 猶可追니 ---  
초광접여 왕자 불가간 내자 유가추  
초나라 (거짓으로)미친 접여가 --- 지나간 일이야 말릴 수 없지만 앞으로 닥쳐올 일이야 따라갈 수 있을 것이니.  
10. 周公이 謂魯公曰 君子 不施其親하며 不使大臣으로 怨乎不以하며  
주공 위노공왈 군자 불시기친 불사대신 원호불이  
주공이 (아들) 노공에게 말했다. 군자는 자기의 친족을 버리지 않으며 대신들로 하여금 그들의 의견을 무시한다고 원망하지 않게 하며  
故舊 無大故則不棄也하며 無求備於一人이니라. 
고구 무대고즉불기야 무구비어일인  
오랫동안 같이 일해 온 사람은 큰 잘못이 없으면 버리지 말고 한 사람에게서 모든 재능이 갖추어지기를 기대하지 말라.  
제 19 편 자 장 (子 張)  
♣ 이 편에는 공자의 제자들인 자하, 자공, 증자 등의 말을 간추려 놓았음 
6. 子夏曰 博學而篤志하며 切問而近思하면 仁在其中矣니라.  
자하왈 박학이독지 절문이근사 인재기중의  
자하가 말하길 널리 배우되 뜻을 독실하게 가지고, 간절히 묻고 가까운 것부터 생각하면 인은 그 가운데 있을 것이다.  
8. 子夏曰 小人之過也는 必文이니라.  
자하왈 소인지과야 필문  
자하가 말하길 소인은 잘못을 저지르면 반드시 꾸며댄다.  
9. 子夏曰 君子 有三變하니 望之儼然하고 則之也溫하고 聽其言也려 니라. 
자하왈 군자 유삼변 망지엄연 즉지야온 청기언야려  
자하가 말하길 군자는 세 가지 다른 모습이 있다. 멀리서 바라보면 근엄하고, 가까이 보면 온화하고, 그 말을 들으면 바르고 엄숙하다. (공자님을 비유하여 한말)  
10. 子夏曰 君子 信而後에 勞其民이니 未信則以爲려己也니라. 
자하왈 군자 신이후 노기민 미신즉이위려기야  
자하가 말하길 군자는 신의를 얻은 후에 백성들을 부려야 한다. 신뢰를 받기 전에 백성을 부리면 자기들을 괴롭힌다고 생각한다.  
信而後에 諫이니 未信則以謗己也니라. 
신이후 간 미신즉이방기야  
믿음을 얻은 후에 간해야된다. 신임을 받기전에 간하면 자기를 비방하는 줄로 생각한다  
20. 子貢이 曰 --- 君子 惡居下流하나니 ---  
자공 왈 군자 오거하류  
자공이 말하길 군자는 하류에 있기를 싫어한다  
 
제 20 편 요 왈 (堯 曰)  
♣ 이 편은 3절로 구성 되었으며 논어 20편 중에서 체제가 가장 다르게 꾸며졌다.  
요, 순, 우, 무왕 등의 정치적 성격과 일반 위정자를 위한 훈계가 많이 있다. 
1. --- 擧逸民하신대 天下之民이 歸心焉하니라. ---  
거일민 천하지민 귀심언  
( 주나라 무왕이) (세상의 숨은 인재를) 등용하자 천하의 민심은 그에게로 돌아갔다.  
2. --- 子曰 君子 惠而不費하며 勞而不怨하며 欲而不貪하며 泰而不驕하며 威而不猛이니 
군자 혜이불비 노이불원 욕이불탐 태이불교 위이불맹  
라.----  
은혜를 베풀되 낭비하지 않고, 힘드는 일을 시키면서 원망을 사지 않고, 하고자 하되 탐욕을 내지 않으며, 태연하되 교만하지 않으며, 위엄이 있어도 사납지 않아야 한다.  
--- 君子 無衆寡하며 無小大하여 無敢慢하나니 ---子曰 不敎而殺을 謂之虐이오 不戒視成 
군자 무중과 무소대 무감만 불교이살 위지학 불계시성  
을 謂之暴오  
위지포  
군자는 사람이 많거나 적거나, (지위가) 높건 얕건 교만없이 (평등히) 대해야 한다.(백성을) 가르치지 않고 죽이는 것을 잔학이라 하고, 미리 경계 하지 않고 결과부터 따지는 것을 포악이라 하며,  
慢令致期를 謂之賊이오 猶之與人也로대 出納之吝을 謂之有司니라. 
만령치기 위지적 유지여인야 출납지린 위지유사.  
명령을 소홀히 하고 시일을 재촉하는 것을 괴롭힘이라 하고, 마땅히 나누어 주어야 할 것을 내주기에 인색하게 구는 것을 유사(창고지기)와 같다 한다.  

 

 
다음검색
댓글
  • 11.09.13 17:33

    첫댓글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논어만 있는 것이 아쉽습니다.
    사서 삼경이 모두 있었으면 하는데...가능한지요??

  • 12.03.22 21:41

    너무 멋지네요 감사합니다 꾸벅 90도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