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악음반박물관 판소리소리연구회 서적 『판소리 명창(제2호)』 출판 소식 >>
서적명: 판소리 자료 집성 전문지 『판소리 명창(제2호)』 발간: 국악음반박물관 판소리연구회 발행일: 2010년 12월 15일 쪽수 분량: 250여쪽 가격: 3만원 지정 판매소: 국립국악원 자료판매실(02-580-3160)
* 판소리 자료 집성 전문지 『판소리 명창(제3호)』(국악음반박물관 판소리연구회 2011년 출판 예정) 원고 모집 중! 판소리 관련 각종 자료, 글 투고 환영합니다. 문의: erlsu@hearkorea.com 011-708-7499, 031-772-9839
----------------------------------------------------------------------------------------------
『판소리 명창(제2호)』 목차
[증언, 대담] 국악학자 이보형 대담자료(2) 판소리 전기 8명창 (대담·정리/김희라) 국악 명인들의 한마디<1>~<100> (수집·정리/노재명)
[평론, 논문, 수필, 동화] 권삼득 소리제(더늠)의 음악적 특징 (이보형) 움직이는 한국 음악 대사전, 이보형 국악학자 (노재명) 김창환 판소리 춘향가 중 <이별가>에 대한 검토 (이진원) 국악 문화공간의 중요성 (노재명) 판소리 동화 - 조선성악연구회 (정혜원)
[노재명이 만난 명인·명창] 판소리 명창 한애순 판소리·고법·아쟁·거문고·작곡 명인 정철호 판소리 명창 박춘홍 판소리 명창 이용배 판소리·전통춤·가야금 명인 김화선(김여막) 판소리·창극·국극·전통춤·가야금 명인 김효순 판소리 명창 신영희 판소리 명창 남해성 판소리 명창 강정자 판소리 명창 정순임 판소리 명창 강현복 판소리 명창 이은하 판소리 명창 주소연 판소리 귀명창 김길희 판소리 귀명창 임상운
[판소리 관련 신간] 정혜원 저서 『판소리 소리판』 서적 출판
[목록]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판소리 유성기음반 목록(2) (정리/오은호) 국악 방송(1)~(13) (조사·정리/노재명)
[고문헌] 명창 김창록·이날치 판소리 공연 공문서(1872년) 명창 김여란 타계 신문기사(1983년) 명창 박초월 타계 신문기사(1983년) 명창 박봉술 타계 신문기사(1989년) 명창 안향련 타계 신문기사(1981년)
[고음반] 판소리 명창 송만갑 첫 녹음 <농부가> 유성기음반(1907~1908년 무렵 녹음 쪽판) (노재명) 판소리 명창 박동실이 고수로 녹음한 유성기음반 (노재명) 일본 ‘빅타-레코-드’ 신보 광고 책자(1936년 판소리 유성기음반 목록 수록)
[판소리 사설] 명창 김정문 유성기음반 가사지(1929년 흥보가 중 <박타령> 녹음)
[공연 안내 인쇄물] ‘판소리 유파 발표회(명창 권삼득 탄생 200년 기념)’ 1971년 공연 인쇄물
[명창·명고수 약력 집성] 고문헌에 기록된 명창·명고수 약력(1) 1961년 『국악 예술인 명감』 서적의 명창 김여란 약력 고음반에 기록된 명창·명고수 약력(2) 1980년 오아시스레코드사 제작 ‘심청가 창:안향련’ 음반의 명창 안향련 약력 고음반에 기록된 명창·명고수 약력(3) 1996년 서울음반 제작 '은희진 판소리 수궁가 실황' 음반의 명창 은희진 약력
[취재, 조사] 국악 문화공간(1)~(100) (취재·정리/노재명)
[사진] 요절한 천재 안향련 사진 모음(2) 20세기 전반기 판소리 북 2종 국악예술학교 초대교장·판소리 이론가 박헌봉 문패 2종(1960~1970년대) ‘제40회 판소리 유파 대제전’ 공연 기념 단체사진(2010년) 국악음반박물관 가무악단 판소리 단원 박명언(박봉술 명창 손자) 혼인 모습(2010년)
[판소리 관련 신보 음반] 박홍남 판소리ㆍ강순영 가야금 공연 음반
* 표지 글씨: 이보형(2005.12.10) * 앞표지 사진: 1973년 8월 박봉술(소리) 김명환(북) 판소리 공연 장면 칼라사진. 박명언(박봉술 명창 손자, 국악음반박물관 가무악단 판소리 단원) 제공. * 뒷표지 사진: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유성기음반(SP) 관리번호 MISP-2245 Victor Record 13536 Korean Male Song With Drum 롱부가農夫歌 Nongpu-Ka 한국젼라도 韓國全羅道 챵부송만갑 唱夫宋萬 Recorded in Korea VICTOR TALKING MACHINE CO. Camden,N.J. 1907~1908년 무렵 녹음 쪽판. 원문 기록 중 ‘唱夫宋萬’은 唱夫宋萬甲의 오류. 음반 뒷면에 ‘H’라는 양각 기록 있음. 한국에서 녹음되고 미국 음반회사에서 제작됨. 북 반주자는 미상(강경수일 가능성 있음). 총 수록시간 3분 3초. 이 음반은 국악음반박물관에 의해 처음 발굴되었고 지금까지 단 1장 발견되어 현재 국악음반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음. 이는 1908년 경 제작된 판소리 명창 송만갑의 유성기음반으로는 유일하게 발견된 것. 국창 송만갑의 첫 녹음이자 그의 장기였던 곡이고 이는 판소리 역사상 최초의 녹음이기도 함. 지금까지 나온 모든 국악 녹음집을 통틀어서 가장 기념비적인 국보급 음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