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021. 7. 18. 14:15
우리 역사뿐 아니라 세계 대다수의 신흥국가를 세운 인물치고 무혈입성(無血入城)한 자는 그리 많지 않다.
고려 태조 왕건은 후고구려의 궁예와 후백제를 세운 견훤과의 치열한 전투 끝에 고려를 세웠고,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도 역성혁명을 통해 새로운 왕조 조선을 세웠다.
그런 의미에서 1961.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 대통령 또한 역사 속의 그러한 부류의 한 인물로 평가될 것이다.
그가 떠난 지 어느덧 42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영부인 육영수 여사가 1974년 8.15 광복절 기념식장에서 총에 의한 저격으로 숨졌고, 박정희 또한 그의 안방이나 다름없는 궁정동 중앙정보부 안가에서 총에 맞아 숨졌다.
박정희 대통령의 역사적 평가를 내리기엔 이른 시점이지만 우리나라 경제 부흥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이 그의 업적으로 남을 일은 자명하다.
개인적으로 어느 특정 대통령을 편애 하는 것은 아니지만 박정희 대통령外 역대 대통령 그 누구도 박정희 대통령 만큼의 눈에 띄는 업적을 뛰어넘는 대통령이 있는가!? 그의 큰 딸 박근혜 대통령이 좀 더 신중해 아버지의 명예를 찾아줄 수 있었음에도 오히려 그녀 부모님 모두에게 오명만을 덧씌우는 모양이 되어 안타깝다.
박정희 대통령과 관련된 사진에는 영부인 육영수 여사 활동 사진이 유난히 많다.
▲제3공화국 5대 박정희 대통령 취임
▲제5대 박정희 대통령 취임 연설(1963. 12. 17.화요일)
▲제5대 대통령 취임식 모습(1963)
▲내각수반 주최 취임 축하파티 참석자 접견 악수(1963)
▲대통령 취임 축하 종합예술제(1963)
▲제9회 현충일 기념식 참석 연설(1964)
▲미국 케네디 장관 접견 기념 촬영(1964)
▲제11회 아시아영화제 참가 대표 접견 악수(1964)
▲프랑스 기자와 인터뷰(1964)
▲서독 무명용사 묘지에 헌화(1964)
▲카이로 방문(1964)
▲바비리아주정청 시찰(1964)
▲바비리아주정청 시찰(1964)
▲뮌헨 교민과 담화(1964)
▲베를린 도착 브란트 시장과 악수(1964)
▲베를린장벽 방문(1964)
▲뤼부케 독일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 영접(1964)
▲미 1.5.6군단 장병 격려악수(1964)
▲계단식 농장 시찰(1964)
▲육군사관학교 졸업식 참석(1964)
▲고 맥아더 장군 추도식 참석 연설(1964)
▲대한적십자사 창립 15주년 기념식 참석 연설(1964)
▲미 존슨 대통령과 악수(1965)
▲학생 데모에 관한 특별담화 발표(1965)
▲영부인과 러스크 장관 부인 모습(1965)
▲영부인과 러스크 장관 부인 모습(1965)
▲영부인 육영수 여사 다비다 모자원 및 부산 부녀 기술원. 자선병원 위문(1965)
▲육영수 여사 육군 제59 후송병원 방문 환자 위문(1965)
▲육영수 여사 홍천. 춘천지구 파월 병사 가족 집 방문 및 가족과 악수(1965)
▲주한 뉴질랜드 대사 부인 접견 악수(1965)
▲미국 워싱턴 시장 주최 환영행사 참석 존슨 미국 대통령과 악수(1965)
▲대구시 기술 학원 및 YMCA 방문(1965)
▲WHO 대표 접견 담화(1965)
▲링컨 기념관 관람(1965)
▲기자 협회 대통령 연설(1965)
▲뉴욕 교민 접견 기념촬영(1965)
▲국기에 대한 경례(1965)
▲뉴욕 세계박람회 참관(시찰)(1965)
▲케네디 우주센타 시찰(1965)
▲한.일 비준서에 서명(1965)
▲UN 방문 시찰(1965)
▲미국 방문 환영인사와 악수(1965)
▲경상남도 하동군 수해지구 시찰(1965)
▲경상남도 하동군 수해지구 시찰(1965)
▲나주 비료기술학교 시찰(1965)
▲김포군 심농법(心農法) 농사 재배 현장 시찰(1965)
▲울산 제3.제5 비료공장 착공현장 시찰 및 정유공장 시찰(1965)
▲화성군 태안면 경지정리 한해 대책 시찰(1965)
▲전천후 농업용 수장개발 사업 준공식 참석 연설(1966)
▲육영수 여사 대만 장개석 총통과 악수(1966)
▲육영수 여사 천혜경로원 방문 노인과 악수(1966)
▲육영수 여사 천혜경로원 방문 노인과 악수(1966)
▲방콕 아시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접견 기념촬영(1966)
▲하와이 국군묘지 방문 헌화(1966)
▲대만공항 도착 환영행사(1966)
▲대만 도착 화동에게 꽃 받는 모습(1966)
▲월남 맹호부대 시찰 장병 접견 격려(1966)
▲동남아시아 방문 환송행사 참석(1966)
▲태국 현충비 헌화(1966)
▲전국 지방장관 회의 참석 훈시(1966)
▲월남 다남공항 도착 의장대 사열을 받는 모습(1966)
▲태국 승리탑 방문(1966)
▲귀국 악수(1966)
▲말레이시아 국왕 방문 접견 담화(1966)
▲필리핀 7개국 정상회담 참석 서명 모습(1966)
▲태국 국왕과 악수(1966)
▲마닐라 정상회담 및 월남 속보 관람 시민(1966)
▲남산 화재 이재민 수용소 시찰(1966)
▲백마부대 시찰(1966)
▲풍농대회 참석(1966)
▲도로확장공사 준공식 참석(1966)
▲덕수궁 선전센터 참석 테이프 절단(1966)
▲한국과학기술연구소 기공식 참석 연설(1966)
▲신년 하례 연설(1966)
▲한국 여류 문학전집 출판기념회 참석 기념촬영(1967)
▲데모시 부상 시민 위문(1967)
▲제98육군병원 위문 기념촬영(1967)
▲신림동 난민정착지 방문 격려(1967)
▲서독 대통령을 위한 만찬 참석 악수(1967)
▲뤼브케 서독 대통령과 건배하는 모습(1967)
▲뤼브케 서독 대통령 부인과 담화(1967)
▲낙도 어린이 접견 악수(1967)
▲성묘중 휴식(1967)
▲호주 멜버른 성바오로 성당 미사 참석(1967)
▲부산 유세(1967)
▲대전 유세(1967)
▲제4차 민주공화당 전당대회 및 대통령 후보 지명 대회 참석(1967)
▲무역진흥공사 방문 시찰(1967)
▲정선선 철도 개통식 참석(1967)
▲경전선 개통식 테이프 절단(1967)
▲1967년 연두 교서발표(1967)
▲전주 유세 연설(1967)
▲대통령 취임 종합예술제(1967)
▲제6데 대통령 취임식 참석 모습(1967)
▲제6대 대통령 취임 연설 모습(1967. 7. 1 토요일 중앙청)
▲제6대 대통령 취임 경축 시가행진(1967. 7. 1 토요일)
▲취임 연설 모습(1967)
▲파월 장병 가정방문(1968)
▲육영수 여사 샤프 미태평양지구 총사령관 부인 접견 악수(1968
▲뉴질랜드 웰링턴공항 도착 환영행사 참석 연설(1968)
▲호주 뉴사우드 웨일즈주 총독 접견 담화(1968)
<다음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