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나비 주님 사랑
'수모는 받아도 수치를 당하지는 않는다.'
이 말은 스스로 받지, 억지로 당하지는 않는다는 말입니다.
오늘은 주님 수난 성지 주일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주님의 수난을 수난이라고 쓰고 사랑이라고 읽습니다.
수난(受難)이라는 한자어를 뜻풀이하면 ‘받을 受’, ‘어려울 難’입니다.
고통을 받는다는 뜻이기도 하고 어려움을 받아들인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이렇게만 보면 받는다는 것이니 수동태(passive)입니다.
그런데 받기는 받되 억지로 받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그저 받는 것이 아니라 받아들이는 것이고,
기꺼이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겁니다.
그러니 수동태이되 능동적 수동태인 셈입니다.
그런데 무엇이 고통을 기쁘게 받게 하고
어려움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게 합니까?
사랑이 아닙니까?
그래서 수난이라고 쓰고 사랑이라고 읽는 것입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의 수난이라고 번역한 ‘Passio Christi/Passion of Christ’의
Passio 또는 Passion이 바로 그런 의미입니다.
이 Passion을 흔히 ‘열정’, ‘격정’, ‘열광’ 등으로 번역하지만
이해하기 쉽게 번역하면 ‘뜨거운 사랑’
또는 ‘불타는 사랑’이라고 해도 좋을 것입니다.
저는 즉시 불나비를 생각하고
‘불나비 사랑’이라는 옛 노래를 떠올립니다.
“얼마나 사무치는 그리움이냐,
밤마다 불을 찾아 헤매는 사연
차라리 재가 되어 숨진다 해도
아~아~아 너를 안고 가련다.... 불나비 사랑.
무엇으로 끄나요 사랑의 불길,
밤을 안고 떠도는 외로운 날개
한 많은 세월 속에 멍들은 가슴
아~아~아 너를 안고 가련다. 불나비 사랑”
자신을 불태우고 죽는 사랑입니다.
그렇게 죽어도 행복한 사랑입니다.
그래서 다시,
주님의 수난은 수난이라고 쓰고 사랑이라고 읽습니다.
첫댓글 멋진 강론입니다.
그런데 불나비는 속성상 제 한 몸 죽을지도 모르고 불에 달려든다고 합니다.
그러나 우리들의 예수님은 그렇게 사시면 분명 죽임을 당할 줄 아셨고, 그리고 죽음은 피하고 싶으셨습니다.
"아버지 이 잔을 저에게서 거두어 주십시오, 그러나 제 뜻이 아니고 아버지의 뜻대로 하십시오!"
그래서 더욱 인류역사에 독야청청 위대한 분이십니다.
예수님 그 시대와 그 이후 시대 사람들이 예수님의 구원계획에 협력했더라면 무고하게 십자가에 못 박지 말았어야 했고,
2천년이 흐른 21세기 엊그제 러시아에서 일어나 총기와 폭탄 테러같은 일들이 일어나지 말아야 합니다.
그 야만의 행동을 선동하고 조장한 지도자들 국민들 등 따시고 배부른 불의한 평화와 심지어 레저와 문화생활까지 즐기고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