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자) 황일광 시몬
황일광은 충청도 홍주 백정의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과 젊은 시절에 아주 어렵게 생활하면서 모든 사람의 멸시를 받아가며 지냈다. 그러나 하느님의 섭리는 그에게 이러한 생활을 보상해 주기 위해 놀랄 만한 지능과 예민한 정신과 열렬한 마음과 매우 명랑하고 솔직한 성격을 주셨다.
1792년 황일광은 우연히 홍주 땅으로 이주하여 신앙생활을 하던 이존창(루도비코 곤자가)에 대한 소문을 듣고 찾아가 교리를 배우게 되었다. 천주교 신앙을 접하자마자 그는 이를 기꺼이 받아들였고, 천주교를 더 자유롭게 신봉하기 위하여 동생 황차돌과 함께 고향을 떠나 멀리 경상도 땅으로 가서 살았다. 경상도에서는 비신자들에게 자신을 숨기고 교우들과 연락하기가 쉬웠다. 교우들은 그의 사회적 신분을 잘 알고 있었지만, 이것 때문에 그를 나무라기는 고사하고 애덕으로 감싸 주었다. 양반 집에서까지도 그는 다른 교우들과 똑같이 집안에 받아들여졌다. 이 때문에 그는 농담조로 이렇게 이야기하곤 하였다.
“나의 신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너무나 점잖게 대해 주니, 천당은 이 세상에 하나가 있고, 후세에 하나가 있음이 분명하다”
1800년 2월 황일광(시몬)은 경기도 광주 분원에 있는 정약종 회장의 집 이웃으로 이주해 살면서 황사영(알렉시오). 김한빈(베드로) 등 여러 교우들과 친밀하게 교류하였다. 그의 열심은 날로 더해져서 모든 이의 감탄을 자아냈다.
그 후 정약종이 서울로 이주하자, 황일광도 아우 황차돌과 함께 1800년 10월에 정동의 주막집 행랑채로 이주한 뒤 땔나무를 해다 팔면서 생계를 꾸려 나갔다. 그리고 자신의 힘이 닿는데까지 교회 일을 도왔다. 또 주문모(야고보) 신부를 만나 ‘시몬’이라는 세례명으로 영세하고, 교우들과 함께 미사에 참여하는 기쁨을 얻게 되었다.
1801년 신유박해가 일어난 뒤, 황일광은 땔나무를 하러 나갔다가 포졸들에게 체포되어 옥으로 끌려갔다. 그러나 그는 조금도 겁을 내지 않고, 그를 데리고 가던 자들에게 명랑한 어조로 말했다. “나리들께서 저를 남원 고을에서 살기 좋은 옥천 고을로 옮겨주니, 이 큰 은혜를 어떻게 갚을 수 있겠습니까?” 여기에서 ‘남원’은 ‘나무’를 옥천의 ‘옥’은 ‘감옥’을 의미한다. 그는 이처럼 감옥으로 끌려가게 된 것을 기뻐하며 남원과 옥천 두 고을을 빗대어 ‘자신이 나무를 하러 가는 대신 옥에 갇히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후 그는 포도청과 형조에서 여러 차례 문초와 형벌을 받았지만, 아무도 밀고하지 않았다. 그는 관원들이 물어보는 모든 것에 대하여 고상하게, 그리고 거룩하고 자유롭게 대답하였다. 관리들은 천한 신분을 가진 자가 그들을 무서워하지 않고, 배교의 대가로 주겠다고 하는 목숨도 거부하는 데 화가 나서, 더 무서운 고문을 가했다. 그러나 황일광은 모든 것을 굳건하게 참을 뿐 아니라, 하늘에서 느끼는 것 같은 기쁨으로 외쳤다. 황일광은 형관의 추상같은 호령에도 굴하지 않고 천주교를 ‘성스러운 학문’이라고 부르면서 마지막으로 “더 괴로움을 당하더라도 예수 그리스도를 배반하지 않겠으니 마음대로 하십시오”라고외쳤다. 그 결과 그는 다리 하나가 부러져 으스러지도록 잔인하게 매질을 당해야만 하였다.
1801년 12월 26일 그는 이경도(가롤로), 정광수(바르나바) 등 15명의 동료들과 함께 사형판결을 받았다. 아울러 형조에서는 그에게 해읍 정법을 명하였으며, 이에 따라 그는 고향인 홍주로 보내어 사형 집행을 당하게 되었다. 그는 걸을 수가 없게 되었으므로 들것에 실려 가면서도 타고난 명랑함을 그대로 드러냈다. 아내와 아들이 최후의 순간까지 그를 도우려고 따라왔으나, 그들이 있음으로 인하여 어떤 유혹을 당할 것이 두려워서 절대로 그들을 가까이 오지 못하도록 하였다.
황일광(시몬)은 홍주에 도착한 12월 27일(양력 1802년 1월 30일), 참수터로 끌려 나가 즉시 처형되었으니, 이때 그의 나이 45세였다. 신분은 비천했지만 누구보다 감격적으로 신앙을 증거한 황일광(시몬)의 덕행은 그 후 교우들 사이에서 유명해지게 되었으며, 훗날까지도 그의 행적은 가장 훌륭한 증거자료 중의 하나로 듣는 이들의 경의와 감탄을 자아내곤 하였다.
반면에 조선의 비신자 양반들은 이러한 신분의 사람이 교회의 영광이 된다는 말을 듣고는 경멸하는 태도로 웃었다고 한다. 순교자의 용덕을 모르는 것은 이방인들의 어리석음이다. 하느님의 섭리는 언제나 이방인들에게는 어리석음이 된다. 그러나 순교자들에게는 무한한 용기와 희망이다. 황일광은 여중 방향 다리 부근(월계천)에서 유 마르타와 함께 참수 당하였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낮은 신분 중에서도 순교의 모습을 보여준 황일광은 한국 순교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출처 : 홍주일보(http://www.hjn24.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