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단종류 ]
1) 전투사단(흔히 GOP사단)
휴전선 바로 앞에서 적과 교전을 하여 적의 힘을 어느정도 견뎌내면서
적의 힘을 약화시키는 것이 주목적인 사단입니다.
서울사수를 위해 1차적으로 저지하는 사단이라고 하겠습니다.
1~30 : 상비사단(22)
① GOP사단(11): 1사단(전진), 3사단(백골), 5사단(열쇠), 6사단(청성), 7사단(칠성)
12사단(을지), 15사단(승리), 21사단(백두산), 22사단(율곡)
25사단(비룡), 28사단(무적태풍)
2) 예비사단
전투사단이 적의 예공을 무력화시키면 아군의 주력전력으로서
적군의 전선을 밀고 올라가면서 패퇴시키는 막강한 전력을 지닌 사단입니다.
후방에서 적을 다시 공격하는 임무를 수행하다 보니,작전반경도 매우 넓은 편입니다.
따라서 기동력도 매우 우수하고, 화력도 장난이 아닙니다.
기계화보병사단도 예비사단으로 보시면 됩니다.
② 예비사단(6): 2사단(노도), 8사단(오뚜기-기보사 개편중, 2010년), 9사단(백마)
17사단(번개), 23사단(철벽), 27사단(이기자)
3) 기계화보병사단
3개의 기보여단과 1개의 포병여단, 직할대대 및 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보사의 여단중 2개여단은 1개의 전차대대와 2개의 기보대대로
나머지 한개여단은 2개의 전차대대와 1개의 기보대대로 이루어집니다.
포병여단은 각 여단을 직접지원하는 3개의 포병대대와 사단을 일반지원하는
1개의 포병대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③ 기보사(5): 수기사, 11사단(화랑), 20사단(결전), 26사단(불무리), 30사단(필승)
4) 향토사단
말 그대로 고유의 맡고 있는 지역이 있어 그 지역의 방어를 책임지는 사단체제를 말합니다.
각도 마다 1개씩의 향토사단이 있고 서울에도 향토사단이 존재하여
각각 맡은지역을 수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인력은 2000명 내외의 현역병력과 예비군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전투력은 매우 떨어집니다.
사단장은 소장입니다.
31~59 : 향토사단(13)
31사단(충장), 32사단(백룡), 35사단(충경), 36사단(백호), 37사단(충용), 39사단(파도)
50사단(강철), 51사단(전승), 52사단(화살), 53사단(진충), 55사단(봉화), 56사단(북한산)
57사단(용마)
5) 동원사단
평시에는 최소한의 인원으로 부대를 운용하다가 전쟁시에 예비군들이 편성받아서
상비사단과 같은 사단편제를 이루며 주로 행정업무를 담당하면서
전투력을 가진 체제를 이루는 사단입니다.
대개 동원사단(행정사단)은 2000명 내외의 병력을 보유하며,
사단장은 준장급이 맡습니다.
60~76 : 동원사단(11)
60사단(권율), 61사단(상승), 62사단(충룡), 65사단(밀물), 66사단(햇불), 70사단(충효)
71사단(선승), 72사단(올림픽), 73사단(충일), 75사단(철마), 76사단(진격)
ㅁ 여단
사단예하의 연대급수준의 여단과 독립된 연대급여단, 그리고, 사단급에 준하는
독립여단이 있으며, 사단급에 준하는 독립여단은 산하에 연대를 둔니다.
여단은 그성격에 따라서 2000~5000명 혹 그 이상 일 때도 있습니다.
수개의 대대로 구성되며 연대등의 편제는 없으며, 담당한 방어구역이 없고 군
단 등의 화력, 전투 지원이 목적입니다.
여단장은 대령~준장, 보병, 특공, 강습, 공수, 기갑, 포병, 항공, 공병여단이 있습니다.
1) 보병여단(3) :
제101보병여단(파주 일대), 제 102보병여단(양양 일대, 102기갑여단 개편중),
제103보병여단(인천 일대)
2) 특공여단(3) :
제 201특공여단(경산시),
제 203 특공여단(구 제1공중강습여단, 충청도 지역),
제 205특공여단(사천시)
3) 공수여단(= 특전사 7) : 제 1공수여단, 제 3공수여단, 제 5공수여단,
제 7공수여단, 제 9공수여단, 제 11공수여단, 제 13공수여단
4) 기갑여단(4) : 제 1기갑여단(5군단 소속), 제 2기갑여단(1군단 소속),
제 3기갑여단(2군단 소속), 제 5기갑여단(6군단 소속)
기갑여단은 본부대, 0개 전차대대, 0개 기보대대, 155밀리 자주포병대대,
기갑수색중대, 0개의 직할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K-1전차와 K-200 장갑차,
155밀리 K-55 자주포 위주로 배치 되어있다.
기갑수색중대는 전차와 장갑차가 섞여 있는 편제이다.
직할대의 경우 보병연대와 달리 좀더 제병연합이 이루어져
본격적인 여단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갑여단이 군단 직할대인만큼 기계화사단처럼 공세 위주의 임무만 수행하지 않고
공세적 방어 임무에도 투입된다.
5) 포병여단 :
대부분 군단 예하에 하나의 포병여단이 있으며, 9~10개 대대로 구성 됩니다.
포병여단의 경우 K-9 155밀리 자주포대대, 8인치 자주포대대, 구룡 및
MLRS/ATAMCS 다연장대대, 관측대대 등으로 구성 되어 있는데
이는 북한의 포병을 상대하기 위한 대포병 전력이 되기 위함입니다.
6) 항공여단 (항공작전사령부 예하) : 제 1항공여단, 제 2항공여단
제 1항공여단은 기동력과 파괴력이 우수한 공격용 전투헬기(AH-1 코브라헬기)를 운용하고,
MD500헬기등을 운용하여 육군내의 빠른 물자 이동을 실시하는 여단급 부대이며,
제2항공여단은 UH-60P, CH-47 시누크헬기를 운용하여 강습여단을 적후방에 내려
적을 포위하는 역할을 합니다.
7) 공병여단 :
군단 예하에 하나의 공병여단이 있으며, 수개 야전공병대대, 00중대, 00중대,
교량중대, 도하중대가 있다.
북한군에 대한 각종 거부 작전(다리 파괴, 낙석, 도로 대화구, 터널 폭파) 및
지뢰지대 및 철조망 개설, 진지구축 등 군 운용에 있어서 없어서 안될 존재입니다.
ㅁ 단
특수목적의 부대로 단장은 대령이죠..
도하단, 경비단, 여군발전단 등이 있습니다.
ㅁ 연대
연대본부/본부중대 + 3개의 보병대대 + 전투지원중대 + 의무중대 + 통신중대 +
수색중대로 구성되며 연대장은 대령입니다.
병력은 2000명 정도이며, 전투지원중대에는 3개의 4.2인치 박격포소대와
1개의 106밀리 무반동총소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ㅁ 대대
대대본부/본부중대 + 3개의 보병중대 + 1개의 화기중대로 구성되며, 대대장은 중령입니다.
병력은 450~500명 정도이며, 화기중대에는 3개의 81밀리 박격포소대와
1개의 직사화기소대(K-4 고속유탄기관총, 90밀리 무반동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차대대 병력은 300~400명
기보대대 500~600명
기갑수색대대
ㅁ 대
특수목적의 부대 (전차대, 본부대 등)
ㅁ 중대
중대본부 + 3개의 소총소대로 구성되며, 중대장은 대위입니다.
병력은 100~130명 정도이며,일명 본부소대 및 화기소대라는 불리우는
60밀리 박격포반이 있습니다.
ㅁ 소대
소대본부 + 3개의 분대로 구성되며, 소대장은 소위~중위입니다.
병력은 30~40명 정도이며 편제는.
소대장(소위~중위) 부소대장(중사)
ㅣ
1분대장 2분대장 3분대장 1기관총사수
2번소총수 이 이 1기관총부사수
3번소총수 하 하 2기관총사수
4번유탄수 동 동 2기관총부사수
5번소총수 문 문 통신병
6번소총수
7번기관총사수
8번기관총부사수
9번유탄수
10번부분대장
소대인원은 = 37명
ㅁ 분대
분대장을 포함해서 10명 전후이며, K-2소총, K-201유탄발사기, K-3기관총 등
개인화기로 무장하고 있는 군의 최소단위입니다.
출처: 네이버까페 돌리님
첫댓글 울아들 소속 부대도 있내요 세삼스레 반갑습니다, 열쇠 ,,,
유명한 5사단 열쇠부대 있지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