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금연구역의 확대로 사무실이나 건물 안, 거리 등에서 ‘재떨이 ’를 찾아보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애연가들이 불편해하고 있는 듯하 다.
‘ 담배의 탄 재를 떨어놓는 쇠붙이·나무 따위로 만든 그릇’을 ‘재떨 이’와 ‘재털이’로 혼용하는 경우가 많다. ‘ 재떨이’와 ‘재털이’는 형태도 비슷한 데다 거센소리로 발음하기를 좋아하는 우리의 언어습관 때문에 ‘재털이’로 발음하는 사람이 의 외로 많다. 그러나 표준어는 ‘재떨이’다.
‘ 여보, 재떨이 좀 가져와요’ ‘ 담배를 끊은 후 집안에 재떨이가 없으니 깨끗해서 좋다’ 이렇게 쓰는 것이 제대로 쓴 것이다. ‘ 재+떨+이’에서 ‘재’는 ‘물건이 완전히 타고 난 뒤에 남는 가루 ’를 뜻하는 명사이다, ‘떨’은 동사 ‘떨다’의 어간이며, ‘이’는 접미사이다. 동 사 ‘떨다’는 여러 가지 뜻이 있지만 ‘재떨이’에서는 ‘달려 있거 나 붙어 있는 것을 쳐서 떼어내다’란 의미로 쓰였다.
‘먼지를 떨다 ’ ‘밤나무의 밤을 떨다’ ‘담뱃재를 떨다’ ‘모자 위에 쌓인 눈을 떨다’ ‘옷에 붙은 벌레를 떨다’ 등으로 쓴다. 또 한 먼지를 떠는 기구로 말총이나 새털·헝겊조각 따위를 묶고, 가는 자 루를 대어서 만든 것을 ‘먼지털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으나 이도 ‘먼지떨이’가 표준어이다.
‘먼지떨이’를 ‘떨채/먼지떠리개/먼지 채/털이개’ 등으로 쓰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방언이다. 먼지는 ‘터는 것’이 아니라 ‘떠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 ‘먼지떨이’를 ‘총채 ’라고도 하는데 이도 표준어이다. 이 제부터는 표준어인 ‘재떨이’ ‘먼지떨이’ ‘총채’만 쓰도록 해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