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좀 특이한 날입니다
잠을 자는데 우주가 저에게 cositas라는 단어를
던졌습니다
present 라는 의미도 함께 말이죠
그런데 cositas가 라틴어라고는 하는데
사전에도 인터넷에도 뜻도 잘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런데도 저는 아무도 잘 모르는 것을 잘 풀어냅니다
그래서 꿈속에서도 라틴어 쪽 일 거라고 추측을 했고
“(선물로) 꼬셨댔어”로 풀어 놓고 있었습니다
이럴 때는 만사 제쳐놓고 이 일을 해야 합니다
이 것이 저와 우주의 합의점이기 때문입니다
유명인터넷에 present의 어원을 찾아 봤습니다
[어원 pre (앞에) + esse (있다) + ent (상태) |
참 그렇습니다
어원을 쪼개서 분석해서 하나의 단어라고 하네요
원래 하나의 단어로 되지를 않으면
저는 하자마자 이 짓을 그만뒀을 것입니다
한 방에 해결을 봐야 한다는 것이 제 주장입니다
여기서 “현재의”, “선물의”, “보여주다”라는
의미가 같이 있다보니 몇 년 전에도 풀다가
그만둔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습니다
이런 점을 정리하라고 저에게 충고를 하는 것이겠지요
오늘은 조금 분리해서 풀어 봤습니다
결국 이 단어도 “(물건을) 바로 준다”와
“(선물을) 풀었슴다”와 “(새 상품을) 풀어 준다”가
발음이 비슷하니 같이 쓴 것이 아닌 가 싶네요
현재 우리말도 “지금 선물을 풀었슴다”라고 하면
거의 전부의 의미를 다 내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3120. present (프레즌트, 현재의, 제시하다,
선물하다, 보여주다, 발표하다):
1. (선물을, 새 상품을) 풀어 준다
(⇒ 발표하다, 보여주다, 제시하다)
2. (선물을) 풀었슴다, 풀었습니다 (⇒ 선물하다)
3. (물건을) 바로 준다 (⇒ 현재의)
* 라틴어: cositas [코시타스] ((작은 선물로) 꼬셨댔어)
*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presente
[프리센떼⇒ 출석한] ((선물을 지금 바로) 풀어준데)
* 프랑스: present [프레져⇒ 선물, 출석한]
((선물을 지금 바로) 풀어줘)
* 폴란드: prezent [프리젠뜨⇒ 선물]
((선물을 지금 바로) 풀어준다)
* 인도네시아: hadiah [하디아⇒ 선물] ((선물을) 하다)
* 말레이시아: hadir [하딜⇒ 참석하다] ((참석) 하다)
* 노르웨이: tilstede [틸스테드⇒ 출석한]
(출석했댔다)
* 덴마크: til stede [칠 스테드⇒ 출석한]
(출석했댔다)
* 베트남: hien tai [히엔 타이] (現在: 현재)
* 일본: 現在(げんざい) [겐자이]
* 중국: 展示 [잔시] (전시)
* 한국: 현재의
* 독일: gegenwartig
[기긴베르티시⇒ 현재의, 출석의]
((지금) 가가 왔다고 ⇒ 그 애가 왔다고)
* 스웨덴: narvarande [날바란데⇒ 출석한, 현재의]
((지금, 출석했는지) 날 보란다)
* 폴란드: obecny [오베츠니⇒ 출석한]
((이 자리에) 와봤잖아 ⇌ 와봤으니)
* 헝가리: ajandek [어얀디크⇒ 선물]
(우얀다꼬 ⇒ 어쩐다꼬 (선물을 주노?))
* 남아프리카: teenwoordig [틴우라틱⇒ 선물]
(친하다고 (선물을 주다))
* 네덜란드: cadeau [까도우⇒ 선물]
((선물을) 까다)
* 핀란드: esittaa [에시따⇒ 선물]
((선물이) 왔었다)
* 체코: darek [다렉⇒ 선물]
((이 선물은) 다 내꺼)
* 튀르키예: sunmak [손마크⇒ 드리다]
((어디에) 씁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