切親(절친)을 생각해 보는 시간!!
옛말에 신발과 친구와 마누라는 오래될수록 편안하다는 말이 있다.
그래서 그런지 친구 사이를 논하는 사자성어가 많다.
(水魚之交) 물고기와 물의 관계처럼, 뗄래야 뗄 수 없는 특별한 친구 사이 - 수어지교
(肝膽相照) 간과 쓸개를 내놓고 서로 보인다는 뜻, 마음을 터놓고 허물없이 지내는 친구사이-간담상조
(莫逆之友) 서로 거역하지 않는 친구- 막역지우
(金蘭之交) 금이나 난초와 같이 귀하고 향기로움을 풍기는 친구-금란지교
(管鮑之交) 관중과 포숙의 사귐과 같은 변함없는 친구 사이- 관포지교
(竹馬故友) 어릴 때부터 대나무 말을 같이 타고 놀며 같이 자란 친구 - 죽마고우
(刎頸之交) 친구 대신 목을 내 주어도 좋을 정도로 신빙성이 깊은 친구 - 문경지교
(芝蘭之交) 벗끼리 좋은 감화를 주고받는 향기로운 풀인 지초와 난초 같은 친구 - 지란지교
(膠漆之交) 아교(膠)와 옻칠(漆)처럼 끈끈한 사귐이란 뜻으로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交分- 교칠지교
(斷金之交) 친구간의 두터운 교분으로 쇠붙이도 끊을 만큼 단단한 우정 - 단금지교
잘 나가던
추사 김정희(金正喜, 1786-1856) 선생이 41세 때 충청우도 암행어사를 지낸 적이 있었는데,
그 때 비인현감으로 있던 김우명이란 자의 비리가 발견되어 봉고파직시키는 조치를 내린 일이 있었다.
김우명은 이때의 수모를 원한으로 품고 추사를 모함하여 제주도로 귀양살이 유배를 가게되자
그 많던 친구들은 다 어디로 갔는지 뚝 끊어졌고, 찾아오는 친구가 한 사람도 없었다.
그런데 예전에 중국에 사절로 함께 간 선비 이상적이 중국에서 많은 책을 구입하여 유배지인 제주도까지 부쳐왔다.
극도의 외로움과 어려움에 육체적 정신적으로 힘들어 하던 추사 김정희에게 그 책들은 엄청난 위로와 용기,감동을주었다.
나중에 추사는 둘 사이의 우정을 한 폭의 그림에 담았다.
그 것이 그 유명한 세한도(歲寒圖)다. 세한도란 논어에서 따 온 말이다.
‘날씨가 차가워지고 난 후에야 소나무의 푸르름을 안다.
(歲寒然後知松栢之後彫也)
잎이 무성한 여름에는 모든 나무가 푸르지만 날씨가 차가워지는 늦가을이 되면 상록수와 활엽수가
확연히 구분된다. 모름지기 친구관계 또한 이러한 자연의 이치와 무엇이 다르랴?
인생에 있어 삶의 전부는 돈도 아니요, 지위나 권력도 아니다.
상대방의 높고 낮음이 아닌 본연의 덕을 가려 사귀어온 믿음의 친구야 말로 진짜 '벗'이다.
누구나 친구는 많이 있을수록 좋겠지만, 참다운 벗은 그리 흔치 않은데 信義,義理,忠節,志操로 엮인
세한도 같은 친구가 있기를 기대할 수 있는 삶이 됐으면 좋을 것이다.
*오늘도 좋은친구 만나시고 멋진날 만들어 보세요.
감사합니다 !!!
<보내온 글 참조: 양철수 국장 >
👩❤️👨
러시아 Klasnoyarsk 에서 1984년8월5일에 태어나, 독일로 이주해 세계적인 가수가 된 헬렌 휘셔(Helene Fischer,
본명은 Elena Petrovna Fischer)의 사랑의 힘(Power Of Love) 감상하시기 바랍니다.
http://videofarm.daum.net/controller/video/viewer/Video.html?vid=v156aHVHrqrbvgtVWNkWgNH&play_loc=undefined&alert=true'
Jdj
Helene Fischer 의 남편나무
어느 날 남편이라는 나무가 내 옆에 생겼습니다.
바람도 막아주고 그늘도 만들어주니 언제나 함께 하고 싶고 사랑스러웠습니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그 나무가 싫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왜냐하면 그 나무 때문에 시야가 가리고 항상 내가 돌봐줘야 하기 때문에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하지 못할 때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비록 내가 사랑하는 나무이기는 했지만, 어느 날부터인가 그런 나무가 싫어지기 시작했습니다.
때로는 귀찮고 때로는 불편하게 함으로 날 힘들게 하는 나무가 밉기까지 했습니다.
그래서 괜한 짜증과 심술을 부리기도 했습니다.
그러더니 어느 날부터 나무는 시들기 시작했고, 죽어가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던 중 심한 태풍과 함께 찾아온 거센 비바람에 나무는 그만 쓰러지고 말았습니다. 그럴 때 나는 그저 바라만 보았습니다.
그 다음 날 뜨거운 태양 아래서 나무가 없어도 충분히 살 수 있다고 여겼던 나의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알기까지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그때서야 나는 깨달았습니다. 내가 사랑을 주지 않으니 쓰러져버린 나무가 나에겐 얼마나 소중한 지를.
내가 남편나무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사이에 나무는 나에게 너무나 소중한 그늘이 되었다는 것을...
이미 늦은 감은 있지만 이제는 쓰러진 나무를 일으켜 다시금 사랑해 주어야 하겠습니다.
우리는 서로가 서로에게 너무나 필요한 존재임을 다시 알게 되었습니다.
남편나무님 죄송합니다. 그리고 사랑합니다....
여러분,
여러분들의 남편나무는 혹시 잎이 마르거나 조금씩 시들진 않는지요?
사랑이란 거름을 먹고 산다는 것을 잊지 맙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