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무리 책을 찾아봐도 모르겠어어서요.
SPSS로 T검정을 하면 등분산이 가정됨과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음의 두가지 결과가 나오고
적합한 걸 골라서 해석하잖아요.
그런데 왜 ANOVA에서는 그렇게 하지 않나요.
검정할때 정규성과 등분산성을 가정한다고 하는데(자세한 내용 몰라요;;)
그러면 T검정에서도 등분산이 가정되는 걸 전제하는 건 아닌가요? 그러면 왜 등분산 가정된 경우와 가정되지 않은 경우로
구분해서 나오는지 모르겠어요. 만약 그렇게 나와야 한다면 왜 ANOVA에서는 그렇게 안나오는건가요?
너무 궁금해요.
첫댓글 동질성검정을 하는 부분이 있으며 이는 옵션선택의 문제라서 그렇습니다.
당연히 분산분석도 등분산이 가정되어야 합니다.
저도 위의 질문에 대해 궁금했었던 사람중에 하나인데요... t검정의 통계결과값에서 N수가 충분히 큰데도 F값의 유의확률을 봐야 하는지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