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이 흘러도 항상 변함없이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장소가 있다. 비록 시설은 새롭게 오픈한 곳에 비해 오래되었을지 몰라도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기억이 가득해 더욱 소중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다가오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이해 가족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추억의 명소에 방문해보자.
동물원과 식물원이 무료
서울 어린이대공원

서울 어린이대공원 팔각당.

서울 어린이대공원 음악분수.

서울 어린이대공원은 1973년 5월 5일 어린이날에 개장했다. 아무래도 지금으로부터 약 48년 전에 개장한 만큼 공원 자체는 무척 오래되었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재조성사업 공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원을 둘러보다 보면 노후화된 시설이 눈에 많이 들어온다.


서울 어린이대공원에서 산책과 소풍을 즐기는 사람들.
그런데도 53만㎡가 넘는 넓은 부지에 동물원과 식물원, 놀이동산이 자리하고 있어 현재까지도 가족과 함께 산책하기 좋은 명소로 손꼽힌다. 날씨가 따뜻한 날에는 잔디에 돗자리를 깔고 앉아 소풍을 즐기는 관람객도 많이 볼 수 있다. 특히 동물원과 *식물원의 경우 무료로 관람할 수 있어서 인기가 좋다.
*서울 어린이대공원 식물원 : 286종의 온실 식물과 66종의 야생화가 전시되어있다. 관람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하지만 현재 코로나 19로 인해 주말 및 공휴일 13시부터 17시까지만 운영하고 있다.

서울 어린이대공원 놀이동산 바이킹.

서울 어린이대공원 식물원.

서울 어린이대공원 동물원으로 가는 길.

서울 어린이대공원의 동물들.
서울 어린이대공원의 홈페이지에 따르면 동물원의 경우 남아메리카물개와 큰바다사자가 있는 바다동물관부터 미어캣, 왈라루, 작은발톱수달, 사막여우가 있는 꼬마동물마을, 아시아코끼리, 사자, 뱅갈호랑이가 있는 맹수마을, 청공작과 황금계가 있는 들새마을, 두루미와 자캬스펭귄이 있는 물새장, 다람쥐 원숭이와 노랑아나콘다가 있는 열대동물관, 돼지꼬리 원숭이, 일본원숭이, 노랑뺨기번이 있는 원숭이마을, 그랜트얼룩말, 붉은캥거루, 알파카가 있는 초식동물마을, 꽃사슴과 다마사슴이 있는 사슴마을까지 총 10개 구역에 90종 640여 마리의 동물을 보유하고 있다고.
코로나 19로 인해 운영하지 않는 곳도 있어 모든 시설을 다 관람할 수는 없었지만, 코끼리가 있는 맹수마을을 둘러보니 전체적으로 관리가 필요하다고 느껴지기는 했지만, 서울에서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동물원이라는 부분이 장점으로 다가왔다.

서울 어린이대공원 정문.
서울 어린이대공원의 경우 규모가 큰 만큼 지하철 7호선 어린이대공원역 1번 출구는 정문과 5호선 아차산역 4번 출구는 놀이동산과 가까운 후문과 연결되어있다. 이렇게 지하철을 타고 부담 없이 방문할 수 있는 곳인 만큼 다가오는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서울 어린이대공원을 방문해보는 것은 어떨까?

/*0) generatedType=2; if (generatedType==2) { dMap.style.cursor = "pointer"; dMap.xxonclick = function(e) {initGmapsLoader(e||event)}; var t = document.createTextNode("Click to load"), d = document.createElement("div"); d.appendChild(t); d.style.cssText="background-color:#e5e5e5; filter:alpha(opacity=80); opacity:0.8; padding:1em; font-weight:bold; text-align:center; position:absolute; left:0; box-sizing:border-box; width:100%; max-width:500px; top:0"; dMap.appendChild(d); } function CreateGMapgmap2021318134311() { var dMap = document.getElementById("gmap2021318134311"); if (dMap) dMap = dMap.parentNode; else dMap = document.getElementById("wgmap2021318134311"); if (!dMap) return; if (dMap.ckemap) { var map = dMap.ckemap.map, center = map.getCenter(); google.maps.event.trigger(map, "resize"); map.setCenter(center); return; } dMap.xxonclick = null; var mapOptions = { zoom: 15, center: [37.54822,127.08084], mapType: 0, zoomControl: "Default", mapsControl: "Default", heading: 0, tilt: 0, overviewMapControlOptions: {opened:true}, pathType: "Default", googleBar: false }; var myMap = new CKEMap(dMap, mapOptions); dMap.ckemap=myMap; myMap.AddMarkers( [{lat:37.54822, lon:127.08084, text:"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 능동로 어린이대공원",color:"green", title:"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 능동로 어린이대공원", maxWidth:200, open:0}] ); } if (!window.gmapsLoaders) window.gmapsLoaders = []; window.gmapsLoaders.push(CreateGMapgmap2021318134311); if (generatedType==3) window.gmapsAutoload=true; window.gmapsKey="AIzaSyBdNWKBpXHz-UDSmoiz_-IVjXz3Zo_pFZ8"; /*]]>*/
서울 어린이대공원
- 주소 : 서울시 광진구 능동로 216
- 전화번호 : 02-450-9311
- 이용시간 : 오전 5시 ~ 오후 10시 (동물원 관람시간 오전 10시 ~ 오후 5시)
- 입장료 : 무료
- https://www.sisul.or.kr/open_content/childrenpark/
서울의 상징
남산서울타워


남산서울타워의 전망대는 원래 방송국의 전파 송출을 위한 국내 최초의 종합 전파탑으로 1975년 8월 전망대가 완공되었지만, 보안상의 이유로 공개하지 않다가 1980년 10월부터 일반에게 공개가 되었다.
남산서울타워의 높이는 남산해발높이 243m와 탑신과 철탑 236.7m를 포함한 479.7m로 최근에 지어진 전망대에 비하면 높이가 좀 더 낮고 시설도 더 오래되었지만 지난 40여 년간 서울의 상징적인 존재로 자리해 온 의미가 있다. 그래서 그런지 휴일이면 가족과 함께 나들이를 즐기거나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데이트를 즐기러 방문하는 관람객들로 여전히 붐빈다. 타워 전망대의 경우 연간 1,200만 명이 방문한다고 한다.


남산서울타워 전망대.


남산서울타워 전망대에서 바라본 풍경.


남산서울타워 루프테라스 사랑의 자물쇠.


남산서울타워는 생태 환경 보호를 위해 일반 차량 운행을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남산서울타워를 편하게 방문하는 방법은 두 가지. 1962년 5월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남산 케이블카를 타고 올라가거나 10~13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순환 버스를 타고 올라가는 것이다. ⁑남산 케이블카는 600원이면 탑승할 수 있는 ⁂남산순환버스에 비해 요금이 비싸기는 하지만 대한민국 최초의 여객용 케이블카라는 남다른 의미가 있다. 다가오는 5월 8일 어버이날이나 5월 21일 부부의 날에는 남산서울타워를 방문해보는 것은 어떨까?
⁑남산 케이블카 : 지하철 4호선 명동역 하차 후 3번, 4번 출구에서 도보 약 10분 걸어가면 남산케이블카를 탑승할 수 있다. 이용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이용요금은 대인왕복 13,000원, 대인편도 10,000원 소인왕복 9,500원, 소인편도 7,000원이다. 만 65세 이상은 소인 요금과 같으며, 소인은 36개월부터 초등학생까지 해당한다.
⁂남산 순환버스 : 02번과 04번 두 대의 버스가 약 10분 간격으로 운행중이다. 순환버스의 노선은 다음과 같다.
- 02번 남산 순환버스 노선 : N서울타워 → 남산도서관 → 교육연구정보원 → 남산산책로입구B코스 → 서울애니메이션센터, 숭의여대 → 퇴계로3가한옥마을 → 대한극장(충무로역 2번 출구) → 퇴계로 5가 → 앰버서더호텔 → 동대입구역(동대입구역 6번 출구 장층단 공원) → 국립극장 → 남산북측순환로입국 → N서울타워
- 04번 남산 순환버스 노선 : 남산도서관 → 백범광장 → 힐튼호텔 → 남대문시장, 악세사리전문상가 → 시청앞 → 시청, 서울신문사 → 종로1가 → 종로2가 → 종로3가, 탑골공원 → 종로4가, 종묘 → 종로5가, 광장시장 → 종로6가, 동대문종합시장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광희동 → 동대입구역, 장충동 → 국립극장, 반얀트리호텔 → 남산북측순환로입구 → N서울타워

/*0) generatedType=2; if (generatedType==2) { dMap.style.cursor = "pointer"; dMap.xxonclick = function(e) {initGmapsLoader(e||event)}; var t = document.createTextNode("Click to load"), d = document.createElement("div"); d.appendChild(t); d.style.cssText="background-color:#e5e5e5; filter:alpha(opacity=80); opacity:0.8; padding:1em; font-weight:bold; text-align:center; position:absolute; left:0; box-sizing:border-box; width:100%; max-width:500px; top:0"; dMap.appendChild(d); } function CreateGMapgmap2021318135739() { var dMap = document.getElementById("gmap2021318135739"); if (dMap) dMap = dMap.parentNode; else dMap = document.getElementById("wgmap2021318135739"); if (!dMap) return; if (dMap.ckemap) { var map = dMap.ckemap.map, center = map.getCenter(); google.maps.event.trigger(map, "resize"); map.setCenter(center); return; } dMap.xxonclick = null; var mapOptions = { zoom: 15, center: [37.55117,126.98823], mapType: 0, zoomControl: "Default", mapsControl: "Default", heading: 0, tilt: 0, overviewMapControlOptions: {opened:true}, pathType: "Default", googleBar: false }; var myMap = new CKEMap(dMap, mapOptions); dMap.ckemap=myMap; myMap.AddMarkers( [{lat:37.55117, lon:126.98823, text:"서울특별시 용산2가동 남산서울타워",color:"green", title:"서울특별시 용산2가동 남산서울타워", maxWidth:200, open:0}] ); } if (!window.gmapsLoaders) window.gmapsLoaders = []; window.gmapsLoaders.push(CreateGMapgmap2021318135739); if (generatedType==3) window.gmapsAutoload=true; window.gmapsKey="AIzaSyBdNWKBpXHz-UDSmoiz_-IVjXz3Zo_pFZ8"; /*]]>*/
남산서울타워
- 주소 : 서울시 용산구 남산공원길 105 남산서울타워
- 전화번호 : 02-3455-9277, 9288
- 이용시간 : 평일 12시 ~ 오후 9시, 주말 및 공휴일 오전 11시 ~ 오후 10시 (입장마감 오후 8시 30분)
- 입장료 : 대인(만 13세 이상) 16,000원, 소인 (만 3세~만 12세) 11,000원
※ 만 65세 이상은 소인 요금과 같음, 36개월 미만의 유아는 무료.
- https://www.seoultower.co.kr/
<해당 기사는 2021년 4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CK googlemapsEnd v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