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오악의 최고산인 화악산은 개성의 송악산, 파주의 감악산,
포천의 운악산, 과천의 관악산과 더불어 경기 5악에 속하는 산이다.
한국의 산하 300대명산 중 80위인 화악산은
경기도 가평군 북면(北面)과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史內面)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경기도에서 제일 높은 산으로 최고봉인 신선봉의 높이는 1,468.3m이다.
2015년 9월과 2018년 8월에 이어 세 번째로 오른 화악산.
당신에는 조무락골 계곡입구에서 시작하였지만
오늘은 그나마 단거리 코스로 다녀왔다.
2015년 9월의 첫 화악산은 그야말로 등산을 포기하고 싶을정도로
힘들었던 기억이 난다.


오늘은 쉽게 화악산을 오르기도 했다.
어차피 다시 와야 할 산이기에..
화악리펜션타운에서 화악터널 방향으로 이동하다
좌측의 군부대 작전도로를 따라 이동하다 보면
10여대의 주차를 할 수 있는 공간이 나오면서
바리게이트가 도로를 막는다.
간혹 이문이 열려있어 중봉 인근까지 차량으로 이동하는 분들도
계신듯 한데 여기까지 온것만 해도 어디랴..
비밀번호의 열쇠는 부대출입이 허가된 일반인과
군부대 사람들에게만 알려진 군사보안이다.
사실 이곳은 화악터널에 주차를 하고 올라올 수도 있는 길목이다.

바리케이트 우측을 돌아 포장된 도로를 오르다 보니
반대편 매봉과 화악산도 보인다.
저곳은 공군이 운영하는 주요 군사기지이다.

포장도로인 군사작전 도로를 따라 약 3km(50분)정도
걷다보면 화악산 건들내와 실운현, 중봉의 갈림길이 나온다.
이곳부터 중봉까지의 약 700m구간이
가파른 경사구간의 오르막이다.

포장도로에서 벗어나 좌측의 산길을 걷다보니
정상의로의 오르막이 시작되는 이정표가 나온다.
일반적인 화악산 등산로는 서쪽의 적목리 조무락골 계곡과
동남쪽 화악리 건들내, 남쪽의 도대리 관청마을,
그리고 북쪽의 화악터널에서 오르는 등 네군데가 있는 것 같다.

조무락골이나 도대리 관청마을에서 올라오지 않고는
이런 구간을 두군데나 지나야 한다.
등산은 오르막 보다 내리막이 더 어렵다.
겨울 산행은 더욱 더 주의해야 할 듯 하다.



화악산[華嶽山]
동쪽의 응봉(鷹峰:1,436m), 서쪽의 국망봉(國望峰:1,168m)과 함께
광주산맥(廣州山脈)의 주봉(主峰)을 이루며 경기에서는 가장 높은 산이다.
가평천 계곡을 사이에 두고 명지산과 마주보고 있는데,
가평읍에서 북쪽으로 약 20km 떨어져 있고 운악산, 관악산, 송악산,
감악산과 함께 경기 5악 중 으뜸으로 친다.
화악산을 중앙으로 동쪽에 매봉, 서쪽에 중봉(1,450m)이 있으며,
이 3개 봉우리를 삼형제봉이라 부른다.
산의 서·남쪽 사면에서 각각 발원하는 물은 화악천을 이루며
이것은 가평천의 주천(主川)이 되어 북한강으로 흘러든다.
38도선이 정상을 가르고 있으며 제일 높은 화악산 정상인 신선봉은
육군 00부대와 공군의 방공사이트, 유도탄사령부 포대,
그리고 KBS와 MBC방송국의 송신소가 있어 출입이 금지되어 있고,
중봉을 지나 애기봉을 거쳐 수덕산까지 약 10㎞의 능선이 이어지는
코스가 산행에 이용되고 있다.
주능선에 오르면 춘천호를 굽어볼 수 있으며,
중봉 정상에서는 남쪽으로는 애기봉과 수덕산,
남서쪽으로는 명지산을 볼 수 있다.
산세가 중후하고 험하며, 산 중턱에는 잣나무숲이 울창하다.
화천군쪽으로는 수려한 삼일계곡, 용담계곡, 촛대바위, 법장사 등이 있으며
가평군쪽에서는 38교에서 오르다 보면 조무락골의 비경을 볼 수 있다.
중봉에 이르는 가장 가까운 거리로는 화악터널에서 시작할 수 있다
이외에도 조선 현종 때의 성리학자 곡운(谷雲) 김수증(金壽增)이
벼슬을 그만두고 정사(精舍)를 지어 후학을 가르치며 은둔하던
화천 화음동 정사지(華陰洞精舍址)가 있다.
블랙야크100명산 어게인 #44좌

2018년 8월 26일 블야100명산 99좌 인증사진!

군사작전 도로에서 주운 쓰레기들..
에궁 음료수페트병과 커피를 담았던 용기가 수둑룩하다.

화악산을 세번이나 오르면서
이렇게 짧은 거리로는 처음인 듯 하다.


이렇게 하여 또 하나의 발자취를 남겨본다.
#명산기행 #한국의산하 #경기5악 #가평_화악산 #화산_등산코스
#화악산_최단코스 #화악산산행 #가평군_조무락골계곡
#블랙야크명산100 #블랙야크명산100플러스 #마운틴셰르파 #클린산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