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55
노동공급곡선에서 임금탄력성이 음수면 대체효과가 소득효과보다 작은 경우라고하고
노동수요 임금탄력성에서는 항상 음수인거 아닌가요??
해당문제에서 굳이 -까지 붙여서 양수로 쓴 이유가 있을까요???
첫댓글 https://m.cafe.daum.net/pointlaboreconomics/b6WK/2220?svc=cafeapp이 게시글 참고해보세요!
네 그런데... 해당 의도몀 절댓값을 씌워야되는데본 문제에서는 임금탄력성은 -(수요변화)/(임금변화) 인데 수요변화가 음수이니 임금탄력성이 양수가 나온다는 식으로 서술되어잇어서요ㅜ
아 그게 절대값을 씌우든 음수 부호를 달든 수요 탄력성의 값을 어쨌든 양수로 만드는 데 취지가 있는 것 같아요. 기억이 확실하진 않은데 강의에서 박사님이 예전에는 절대값을 씌워서 표현했는데 요즘에는 음수를 달아서 표현하는 걸로 경향이 바뀌었다고 하셨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원서는 - 마이너스 기호 그대로 살려두는 취지이요, 그냥 경제학에서는 보통 부호는 관심이 없는단계라서 제거하려고 - 붙이기도 합니다. 적절하게 서술하면 됩니다. ~~
첫댓글 https://m.cafe.daum.net/pointlaboreconomics/b6WK/2220?svc=cafeapp
이 게시글 참고해보세요!
네 그런데... 해당 의도몀 절댓값을 씌워야되는데
본 문제에서는 임금탄력성은 -(수요변화)/(임금변화) 인데 수요변화가 음수이니 임금탄력성이 양수가 나온다는 식으로 서술되어잇어서요ㅜ
아 그게 절대값을 씌우든 음수 부호를 달든 수요 탄력성의 값을 어쨌든 양수로 만드는 데 취지가 있는 것 같아요. 기억이 확실하진 않은데 강의에서 박사님이 예전에는 절대값을 씌워서 표현했는데 요즘에는 음수를 달아서 표현하는 걸로 경향이 바뀌었다고 하셨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원서는 - 마이너스 기호 그대로 살려두는 취지이요, 그냥 경제학에서는 보통 부호는 관심이 없는단계라서
제거하려고 - 붙이기도 합니다.
적절하게 서술하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