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말은 부정것인 것이 하기도 좋으니 잘 돌아다닙니다. 나 이래서 잘되고 있다 이런 글은 잘없죠. 그리고 그런것을 인터넷에 올리지는 않아요. 얻는 정보에서 이런 부분을 감안하여 판단하시면 좋을것같네요. 전 오히려 나아질거라고도 생각합니다. 아파트대세 일때는 일부사무실만 대박이지만 앞으로 주택시장이 열리고 있는바 소규모사무실도 기회가 생길수있습니다. 그 점이 예전과는 달라지고 있는 부분입니다. 유학을 가고 안가고는 또다른 차원에서 고려해야하고요.
글쎄요 다 하기 나름이겠지만 동아리 친구 4명이 건축공학과 나왔는데 거의 쉬는 날 없이 지방에서 삽니다 한 놈은 새만금 장기 프로젝트 맡아서 거의 7년 동안 부안에 있고요 프리로 가냐 아파트 건설업이냐 상업시설이냐에 따라 천차만별.. 이런 기업형은 자체 감리업무도 병행하는듯요
첫댓글 저 아는 사람은 국내는 전망안좋다하여, 도시개발전공으로 석사따서 해외로 간다고 합니다
원래 말은 부정것인 것이 하기도 좋으니 잘 돌아다닙니다. 나 이래서 잘되고 있다 이런 글은 잘없죠. 그리고 그런것을 인터넷에 올리지는 않아요. 얻는 정보에서 이런 부분을 감안하여 판단하시면 좋을것같네요. 전 오히려 나아질거라고도 생각합니다. 아파트대세 일때는 일부사무실만 대박이지만 앞으로 주택시장이 열리고 있는바 소규모사무실도 기회가 생길수있습니다. 그 점이 예전과는 달라지고 있는 부분입니다. 유학을 가고 안가고는 또다른 차원에서 고려해야하고요.
떠돌이 생활 해낼 자신 있다면 추천합니다 건설업 종사자로 말씀드리자면 건설 어렵다 어렵다하는데 요세 어디 쉬운 분야가 있나요
건축학과는 건축설계입니다. 건설하고는 달라요. 분야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어떻게 조언을 하는지.
님 괜히 제가 딴지 거는거 같은데 설계도 하면 현장 한번식 가봐야되는데요
어느 전공이든 외국의 좋은 대학교 석사 학위 받으면 잘 되는거 같아요 투자비용이 커서 그렇지만요
지금 나오는 수많은 직업이 미래엔 사라질수 있다고하네요 그만큼 많은 직업의 전망이 다밝진않은듯하네요
글쎄요
다 하기 나름이겠지만 동아리 친구 4명이 건축공학과 나왔는데 거의 쉬는 날 없이 지방에서 삽니다
한 놈은 새만금 장기 프로젝트 맡아서 거의 7년 동안 부안에 있고요
프리로 가냐 아파트 건설업이냐 상업시설이냐에 따라 천차만별..
이런 기업형은 자체 감리업무도 병행하는듯요
ㅠㅠ 살려줘...
제주도는 괜찮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