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교사 필기시험대비(요약) 】
<1> 부처님 생애
불교 4대 명절
4/8(탄생), 2/8(출가-29세), 12/8(성도-35세), 2/15(열반-80세) ※ 7/15(백중 포함 5대 명절)
* 17세 결혼(야소다라)→꼴리야족(같은 선조 ‘옥까까’의 후손으로 친족)
↳아들 라훌라 탄생(장애)→ 부처님이 29세 때 태어남.
불교 4대 성지
-룸비니동산(탄생), 부다가야(성도), 쿠시나가라(열반), 녹야원(초전법륜)
상징물
-무우수/아쇼카나무(탄생), 보리수나무(성도), 사라쌍수나무(열반)
사문유관
동문(老), 남문(病), 서문(死), 북문(수행자/출가결심)
↳ 출가-동문, 마부-찬나/찬타카, 애마-칸타카
자타카(본생담)
부처님의 전생 이야기 (민간설화 형식)
탄생게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 (天上天下 唯我獨尊 三界皆苦 我當安之)
깨달음 순서
사선정(四禪定) →숙명통 →천안통 →누진통 <*사선정 →위빠사나 수행의 일종>
초전법륜 후
가르침 순서
팔정도 →사정제(고집멸도) →오온의 무상‧고‧무아
육(六)신통
<신타숙-천안이-누> <- 암기요령
신족통→타신통→숙명통→천안통→천이통→누진통 (부처님만 가능)
18불공법
*부처님성품 18가지 →십력(十力), 삼염주(三念住), 사무소외(四無所外), 자비(慈悲)
우파카
성도 후 녹야원의 5비구를 만나러 가던 길에 만난 이교도
신체적 특징
32상 80종호(三十二相 八十種好)
여래10호
<여-응-정-명-선-세-무-조-천-불><- 암기요령
여래, 응공, 정변지, 명행족, 선서, 세간해, 무상사, 조어장부, 천인사, 불세존
10대 제자
<우 - 아 - 아 - 수 - 목 - 사 - 마 - 가 - 부 - 라><- 암기요령
<지 - 다 - 천 - 해 - 신 - 지 - 두 - 논 - 설 - 밀><- 암기요령
*우빨리-아난다-아나율-수보리-목건련-사리불-마하가섭-가전연-부루나-라훌라
*지계 - 다문 - 천안 - 해공 - 신통 - 지혜 - 두타 - 논의 - 설법 - 밀행
삼처전심
(마하가섭존자) : 영산회상 염화미소, 다자탑전 반분좌, 사라쌍수 곽시쌍부
오(五)비구
<꼰 - 앗 - 마 - 밧 - 바><- 암기요령
꼰단야(교진여). 바파, 밧디야, 마하나마, 앗사지(마지막)
최초 사부대중
*비구(5비구→꼰단야, 앗사지, 마하마나, 밧디야, 바파)
*비구니(마하프라자파티)
*우바새/우바이(야사 夫‧母→(夫)구라가장자, (母)수자타)
3가지 슬픈 일
*카필라국이 코살라국(유리왕)에게 멸망된 일
*제자 사리불이 부처님 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일
*사촌동생(제바닷따)이 교단을 분열시키고 부처님을 해치려 한 일
부처님께 공양
*수자타 여인(양치기 여인)→유미죽
*춘다(대장장이)→버섯요리
안수정등도
(불설비유경)
* 어떤 사람(인생) * 벌판(무명장야) * 코끼리(무상한세월) * 우물(생사) * 칠넝쿨(생명줄)
* 독룡/독사(병과죽음), * 흰쥐검은쥐(밤과낮), * 다섯꿀벌(오욕락)
<2>사찰의 전각 및 불교문화
최초 사찰
마가다국, 가란타 장자, 죽림정사, 빔비사라왕
*죽림정사(인도),
*백마사(중국),
*성문사(고구려),
*불갑사(백제),
*도리사(신라),
*흥륜사(신라 → 공인 후 최초)
간다라,마투라
불멸 후 최초 불상 만들어진 곳
마가다국
빔비사라왕, 죽림정사, 라자그라하(왕사성), 아자따삿뚜, 1차결집
<마-아라빔죽1차><- 암기요령
코살라국
파세다왕, 기원정사, 사위성, 수닷타(급고독장자)
<코-파기사수><- 암기요령
탑의 특징
*한국 →석탑, 중국 →전탑, 일본 →목탑
*삼국시대 →5층, 고려시대 →3층
사찰의 문
<일-금-천-불><- 암기요령
일주문 →금강문 →천왕문 →불이문
사천왕
신라시대
<동지, 남증, 서광, 북다><- 암기요령
동문(지국)→비파, 남문(증장)→검, 서문(광목)→여의주,용. 북문(다문)→탑.
조선시대
동문(지국)→검 남문(증장)→여의주,용 서문(광목)→탑 북문(다문)→비파
당간지주
당→깃발 당간→깃대 당간지주→돌기둥
심우도
<심우견적, 견득목우, 기망인우, 반본입전><- 암기요령
심우 →견적 →견우 →득우 →목우 →기우귀가 →망우존인 →인우구망 →반본환원 →입전수수
팔상(성)도
<도-비-사-유-설-수-녹-쌍><- 암기요령
도솔래의상 →비람강생상 →사문유관상 →유성출가상
→설산수도상 →수하항마상→녹원전법상→쌍림열반상
불전사물
범종(천상/지옥), 법고(지상), 목어(수중), 운판(하늘)
→(기타) 죽비, 금강령(요령), 불자, 소통(경전보관용 바구니)
탱화
비단이나 삼베에 불보살 모습이나 경전 내용을 그려 벽에 걸 수 있게 만든 그림
괘불
재(齋)나 야외법회 시 본존불을 대신하는 초대형 그림
팔상전
(법주사) 우리나라 현존하는 유일한 목조탑
봉정사
(안동)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
미륵사지석탑
(익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석탑
팔상전
(법주사)우리나라 현존하는 유일한 목탑
상원사 동종
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동종
무구정광 대다라니
세계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본 (1966년 불국사 석가탑 보수작업 시 발견)
직지심체요절
세계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세계최초>
석보상절
우라나라 최초 한글 불서, 수양대군이 세종의 지시로 지음
삼신불
청정법신 비로자나불,
원만보신 노사나불,
천백억화신 석가모니불
삼세불
석가모니불,
미룩불,
연등불(제화갈라불)
삼존불
석가모니불(주불) - (협시) 문수보살, 보현보살
전각(殿閣)과 주불(主佛)
* 비로자나불 →<비대화> →비로전, 대적광전, 대광명전, 화엄전
* 석가모니불 →<석가대웅> ※대웅보전 →석가모나불(주불) 협시-아미타/약사
* 아미타불 →<아미무극수> →미타전, 무량수전, 극락전, 수마제전
* 관세음보살 →<관대원광> →관음전, 대비전, 원통전, 광명전
* 지장보살 →<지시명> →지장전, 시왕전, 명부전
* 약사여래불 →<약만보유> →약사전, 만월전, 보광전, 유리광전
* 아라한 →<아나영응> →나한전, 영산전, 응진전
* 미륵불 →<미용자> →미륵전, 용화전, 자씨전
법당(法堂)
* 상단 →불.보살단(본존불과 후불탱)
* 중단 →신중단, 천상신중(제석천, 사천왕, 대범천), 팔부신징, 민속신앙(칠성,산신)
* 하단 →영가단(위패), 아미타여래영도, 감로탱화
※상단 부처님을 중심으로 좌우를 판정하다.
↳ 왼쪽문은 왼발 먼저, 오른쪽 문은 오른쪽 발 먼저 들어 놓는다.
수인(手印)
* 선정인, 전법륜인, 항마촉지인, 지권인, (좌)시무외인(통인), (우)여원인(통인),
합장인, 연화합장인 ↳ <비-통우감, 비-조좌감>
* 아미타 구품인 →(상생) 상품, 중품, 하품
→(중생) 상품, 중품, 하품
→(하생) 상품, 중품, 하품
5대 적멸보궁
<정-법-통-상-봉 → 태-사-영-오-설><- 암기요령
태백산(정암사), 사자산(법흥사), 영축산(통도사), 오대산(상원사), 설악산(봉정암)
8대 총림
<통해송(=불법승) 백수 쌍범동><- 암기요령
불-영축(통도사), 법-해인(해인사), 승-조계(송광사), 고불(백양사), 덕숭(수덕사)
2012년 추가→쌍계(쌍계사), 금정(범어사), 팔공(동화사)
5대 신앙
<약-지-관-아-미><- 암기요령
→약사재일, 지장재일, 관음재일, 아미타재일, 미륵재일
10재일
<일정팔약 십사현 십오미타 팔지장 이십삼대 사관음 팔노구약 대석가><- 암기요령
1일-정광불, 8일-약사불, 14일-현겁불, 15일-아미타, 18일-지장, 23일-대세지
24일-관음, 28일-노사나, 29일-약왕보살, 30일-석가모니
육(六)법공양
향, 초, 차, 꽃, 과일, 쌀
* 향(해탈)→공덕 초(등/지혜,반야)→광명, 찬탄, 차(감로수)→법문에 만족
* 꽃(만행화)→수행(인고), 과일(보리과)→깨달음, 쌀(선열미)→기쁨, 환희
공양 오관게
<계-촌-방-정-위><- 암기요령
*계공다소량피래처 →이 음식이 어디서 왔는가
*촌기덕행전결응공 →부족한 내 덕행으로 받기가 부끄럽네
*방심이과탐등위종 →마음의 온갖 욕심 버리고
*정사양약위료형고 →육신을 지탱하는 약으로 삼아
*위성도업응수차식 →깨달음을 이루고자 이 음식을 받습니다
<3> 불교입문 및 경전 내용
팔부신중(장)
천, 용, 야차, 건달바(향,음악), 아수라(싸움), 가루라(금시조), 긴나라(반인반수), 마후라가(머리는 뱀모양)
삼법인(三法印)
제행무상, 제법무아, 일체개고(열반적정)
팔정도(八正道)
정견, 정사유, 정어, 정업(행동), 정명(직업/생활), 정정진. 정념, 정정
사성제
고 - 집 - 멸 - 도
사고(四苦)
생 - 노 - 병 - 사
팔고(八苦)
(사고 四苦) + 애별리고, 원증회고, 구부득고, 오음성고
오온(五蘊)
* 오온 = 색수상행식,
* 6근 = 안이비설신의(=6입),
* 6경 = 색성향미촉법(=6진)
* 6식 = 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 의식
12처, 18계
12처 = 6근 + 6경
18계 = 6근 + 6경 + 6식
12연기
무명, 행, 식, 명색, 육입, 촉, 수, 애, 취, 유, 생, 노사(老死)
삼독(三毒)
탐, 진, 치 → 의업(意業)을 짓는 세 가지 번뇌
삼학(三學)
계, 정, 혜 →탐진치를 다스리는 것
*계(정어-정업-정명) *정(정정진-정념-정정), *혜(정견-정사유)
3고(苦)
오음성고의 원인 「색수상행식」중에서「수」로 받아 들이는 고통이 종류가「3고」이다.
↳*고고(苦苦) →거슬림으로 인한 고통
↳*행고(行苦) →시간의 변함으로 이한 고통
↳*괴고(壞苦) →사라짐으로 인한 고통
육(六)바라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반야)
보살행 실천
삼륜청정
주는자, 받는자, 주고받는 물건
사(四)무량심
자(慈), 비(悲), 희(熹), 사(捨)
사섭법
보시, 에어, 이행, 동사
팔부중도
<생멸 - 상단 - 일이 - 거래><- 암기요령
*불생불멸, *불상부단, *불일불이, *불거불래
성문사과(四果)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욕계에 안 태어남) →아라한(삼계에 안 태어남)
사법계(四法界)
*사법계(事法界)-대립,차별
*이법계(理法界)-평등세계
*이사무애법계(理事無碍法界)-서로 융합세계
*사사무애법계(事事無碍法界)-현상계 그대로 진리
삼계(三界)
*욕계→6천(1천/사천왕천, 2천/도리천, 3천/야마천, 4천/도솔천, 5천/화락천, 6천/타화자재천)
*색계 →18천 ↳(제석천) ↳(미륵보살)
*무색계→4천(최고→비상비비상천)
육도(천태교학)
(별표 #1)
육도(6천)
→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
※10법계 → (육도) + 성문, 연각, 보살, 불(부처)
(별표 #1)
천태사의교
삼계→욕계(6), 색계(18), 무색계(4)
*욕계(6)→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
↳천상(6)→사왕천, 도리천, 야마천, 도솔천, 화락천, 타화자재천
↳도리천 →수미산(제석천왕)→(8海9山) →철위산
↳동<승신주/불바제>,남→<섬부주/염부제>,서→<우화주/구야니>,북→<구로주/울단월>
*색계(18)→*초선천(3)→범중천, 범보천, 대범천
*2선천(3)→소광천, 무량광처느 광음천
*3선천(3)→소정천, 무량정천, 변정천
*4선천(9)→무운천, 복생천, 광과천, 무상천, 무번천, 무열천, 선견천, 선현천
색구경천
*무색계(4)→공무변처천, 식무변처천, 무소유처천, 비상비비상처천
(별표 #2)
시왕(十王)
①진광-도산(刀山)-칼산 지옥
②초강-화탕(火湯)-무쇠솥, 끓는 물
③송제-한빙(寒氷)-빙하협곡 지옥
④오관-검수(劍樹)-칼날 나뭇잎지옥
⑤염라-발설(拔舌)-혀에 나무심고 밭 일굼
⑥변성-독사(毒蛇)-독사 있는 지옥
⑦태산-거해(鋸解)-톱으로 몸을 자름
⑧평등-철상(鐵床)-못이 박힌 침상지옥
⑨도시-풍도(風塗)-광풍 부는 지옥
⑩전륜-흑암(黑暗)-어둠의 지옥
육도(천태교학)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
※10법계 → (육도) + 성문, 연각, 보살, 부처(불)
열반유훈
자등명 법등명 이계위사 불방일
과거칠불 :
비파시불,
시기불,
비사부불,
구류손불,
구나함모니불,
가섭불,
석가모니불
칠불통계게
제악막작 중선봉행 자정기의 시제불교
금강경 사구게
*범소유상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미촉법생심 응무소주이생기심
*약이색견아 이음성구아 시인행사도 불능견여래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결집
*1차 →불멸직후(가섭), 비구 500명, 라자그라하(왕사성), 칠엽굴, 경장(아난다), 율장(우빨리)
*2차 →불멸 100년후(야사), 비구 700명, 베살리, 십사논쟁, 상좌부/대중부, 부파불교계기
*3차 →불멸 200년후(아쇼카왕), 비구 1000명, 화씨성(계원사), 논장집성
*4차 →불멸 400년후(500명 비구), 환림사, 아비달마
대각국사 의천
천태종 개창, 교장도감 설치, 고려 문종의 4남
대승/소승차이
*대승 →이타(利他) : 보살행 실천으로 불성을 찾음(누구나 불성 있다)
*소승 →자리(自利) : 심(心) 의(意) 식(識)을 관조하여 깨달음 →이고득락(離苦得樂)
유식학(저서)
해밀심경, 유가사지론, 성유식론
유식상성
의타기성, 변계소집성, 원성실성
간경도감
조선 세조 때, 불경의 국역과 판각을 관장, 교장도감을 모방
정토삼부경
무량수경, 관무량수경, 아미타경
무량수경
*법장비구가 48서원을 수행함으로써 아미타불 되어 서방정토 마련,
*누구나 ‘아미타불’ 일심으로 부르면 구제 된다고 기록
경전별 사상
*금강경→공사상,
*법화경→일불승(일승一乘),
*화엄경→법신불, 보살, 유심, 법계연기
*열반경→불신상주
밀교 대표경전
대일경 및 금강정경
삼밀(三密) :
신밀(身密)→수인,
구밀(口密)→진언,
의밀(意密)→마음으로 불보살 바라 봄
참회(懺悔)
*참→과거 허물을 뉘우침,
*회→일어날 허물을 끊음, ※혜능(육조단경)…조사선 창립선언서
*참회진언(옴 살바 못자모지 사다야 사바하)
이참(二懺)
이치로 참회 하는 것, (삼매 속에서 관찰 하는 것)
사참(事懺)
불법에 따라 몸과 마음을 바쳐 발원 하는 참회
↳ 몸으로 하는 것(예배, 절)과 입(염불, 독경)으로 하는 것
욕심과 발원
*욕심 →미래, 이기적, 결과, 개인적, 본능적
*발원 →현재, 이타적, 과정, 공동적, 능동적
삼요(三要)
*화두 참구의 세 가지 요소 →대신심, 대분심, 대의심
유식학
*제7식(말나식)→아집,자아의식,
*제8식(아뢰야식)→과보의 원인,업(業)종자,
오(五)정심관
↳부파불교
<탐진치만의 - 부자인계수><- 암기요령
부정관(탐) = 욕심/탐욕,애욕,
자비관(진) = 성냄/화냄,
인연관(치) = 아둔/삿된견해,어리석음
계분별관(만) = 교만/불만,자만,오만,
수식관(의) = 의심/의식
중국선종 5가
<조운법위임> <- 암기요령
조동종, 운남종, 법안종, 위앙종, 임제종
중국선종 계보
달마(1조)→혜가→승찬→도신→홍인→혜능(6조/남종선,돈오선) …(신수/북종선,점오선)
→남악회양→마조도일→백장회해→황벽희운→임제의현(11조)
백장회해선사
백장청규(선원청규), 일일부작 일일불식(一日不作 一日不食)
삼국불교 전래
*고구려(육지)→372년 전진왕, 부견이 순도 보냄, 374년 아도-소수림왕 성문사 이불란사 건립
*백제(바다)→384년, 침류왕 때 동진 마라난타
*신라(육지)→527년 법흥왕 때 이차돈 순교 후 불교 공인
자장율사
신라 선덕여왕 때, 통도사 창건, <내 차라리 계(戒)를 지키고 하루를 살겠다.>
5교 9산
*5교<법법계열화><- 암기요령
→법상종(진표), 법성종(원효), 계율종(자장), 열반종(보덕), 화엄종(의상)
*9산<가실희봉사동사성수><- 암기요령
→가지, 실상, 희양, 봉림, 사굴, 동리, 사자, 성주, 수미
고려말 3화상
<지나무> →지공, 나옹, 무학
사상(스님)
*유식학→원측,
*화쟁사상→원효,
*화엄사상→의상(일승법계도), 율장→겸익, 삼론학→승랑
※진표→점찰, 법상, 아미타, 미륵
선가귀감
기허대사 영규(의병)
석보상절
수양대군이 세종대왕의 지시로 지은 불교의식집 및 음악집 편찬, 우리나라 최초 한글불서
도성출입해제
1895년, 조선시대 승려 도성출입금지 해제
<4>조계종단 및 불교 의식
삼보륜
3개점→불법승 삼보, 큰원→법륜, 화합과 불국정토 구현, 금색/가사색/흑색 사용
조계종 명칭
(제1조) 중국 6조 혜능이 주석하던 소주(韶州)의 조계산(가지산문)
종지
(제2조) (근본교리) 자각각타 각행원만
(종지) 직지인심 견성성불 전번도생
소의경전
(제3조) 금강경 및 전등법어,
기원
(제5조) 단기 1789년(서기 기원전 544년), 우리나라는 단기 2705년( 소수림왕 2년)
종조, 중흥조
(제6조) 종조→도의국사, 중흥조→고려 태고 보우국사
임기
(대한불교조계종 종헌)
(제22조) 종정 임기는 5년, 1차 중임 (법원 진제 종정예하) →석가여래 79대 법손
(제40조)중앙종회의장 임기는 2년 (범해 스님)
(제53조) 총무원장 임기 4년, 1차 중임 (원행 스님)
(제59조) 교육원장 임기 5년, 1차 중임 (현응 스님)
(제67조) 포교원장 임기 5년, 1차 중임 (지홍 스님)
(74조) 호계원장 임기 4년(단임) (무상 스님)
“붓다로 살자”
* 삶을 지혜롭게, 마음을 자비롭게, 세상을 평화롭게
조계종
25개 교구본사
*<조마불고송>조용신원법, 마수직동은, 불해쌍범통, 고금백화선, 송대관선봉<- 암기요령
*(직할/조봉보선) →조계사, 봉은사, 보문사, 선본사
↳ (01)조계사, (02)용주사, (03)신흥사, (04)월정사, (05)법주사
↳ (06)마곡사, (07)수덕사, (08)직지사, (09)동화사, (10)은해사
↳ (11)불국사, (12)해인사, (13)쌍계사, (14)범어사, (15)통도사
↳ (16)고운사, (17)금산사, (18)백양사, (19)화엄사, (20)선암사
↳ (21)송광사, (22)대흥사, (23)관음사, (24)선운사, (25)봉선사
비구스님법계
<사-견-중-대-종-종-대><- 암기요령
사미 →견덕 →중덕 →대덕 →종덕 →종사 →대종사
수계사 삼사
교수사, 갈마사, 전계사
용상방
소임별로 스님의 법명을 적은 방(榜), 당나라 때 총림 개설하면서 유래
신도품계
<발행부선><- 암기요령
발심(신도등록) →행도(기본교육) →부동(전문교육) →선혜(지도자교육)
신도 교육체계
기본 →전문(불교대학) →재교육
부처님의 3가지 설법
①대기설법 ②차체설법 ③비판설법
*대기설법 →근기와 상황에 따라(비유법, 문답, 인연법, 수기법, 무기법, 반어법,
대비법, 고조법, 위의법, 전의법, 자비법)
*차제설법 →단계적으로 수준을 높임
*비판설법 →냉철한 판단과 이상적 비판으로 상대를 굴복
자자
하안거가 끝나는 음력 7월 15일, 자기반성을 하고 대중 스님들의 지적과 조언 받는 것
포살
보름마다 자신의 허물을 대중 앞에 고백하고 참회하는 의식, (정기법회 시초 됨)
간화선
조계종 수행 지침서, 조계종교육원에서 「전국선원수좌회」와 공동편찬, 2005년에 간행
봉암사 결사
1947년 조직된 수행결사, 「부처님 법대로 살자」
↳ 성철‧청담‧향곡 스님들 주도, 왜색불교 척결, 수행종풍 진작
※3대결사 →정혜결사(보조지눌), 백련결사(원묘국사), 봉암사결사(성철스님)
국제불교도기
1950년 스리랑카, 「세계불교도 우의회」에서 채택
↳수평줄 →전세계 모든 인종이 화합
↳수직줄 →전세계 영원한 평화
↳오색조합 →부처님의 가르침은 보편적
*청색→자비(부처님 모발)
*황색→중도(부처님 피부)
*적색→축복(부처님 살)
*백색→청정‧해탈(부처님 뼈‧치아)
*등색→지혜(부처님 손바닥‧뒤꿈치‧입술)
포교의 정의
불교를 신해행증(身解幸證)으로 이끌도록 노력하는 모든 행위
포교와 같은 뜻
전법(傳法) = 전도(傳道) = 교화(敎化)
포교(布敎)지침
①삼보에 대한 굳건한 신심과 보살의 서원으로 교화
②불타의 교법을 올바로 이해,수행 정진하여 불법홍포
③동사섭의 정신을 사회속에 구현
④대승원력으로 요익중생과 교단발전을 위하여 교화
일수사견
「유식학」
*같은「물」이라도 사람은 물, 아귀는 피고름, 물고기는 자기 집으로 본다.
*장님이 코끼리를 만지며 좁은 소견으로 전체를 말한다.
→「군명평상(群盲評象)」(열반경)
유식 네 가지
①성소작지-전오식(안의비설신의)을 변화
②묘관찰지-의식을 변화
③평등성지-말라식을 변화
④대원경지-아뢰야식을 변화
※전오식(감각기관) + 의식 = 육(六6식)
천태 삼세간
①국토세간(환경)
②오음세간(물질)
③중생세간(인간과 생물)
일체중생
실유불성
「일체 중생은 불성을 가지고 있다」-열반경
화엄종 사상
법계연기, 성기사상, 육상원융
천태종 사상
제법실상(삼제원융, 일념삼천, 일심삼관)
(별표 #3)
【불교 우주론】
☆삼계(三界)
→ (1)욕계(6도 - 6천)
(2)색계(4선 - 18천)
(3)무색계(4천)
(1)욕계(6도 - 6천)
➽6도 →(1)지옥도 (2)아귀도 (3)축생도 (4)아수라도 (5)인간도(4대주) (6)천상도
※천상도(6천)․ :
⇣
↳ ①사왕천 →→②도리천 →→③야마천 →→④도솔천 →→⑤화락천 →→⑥타화자재천
⇣ ⇣ ↳… <공거천 …⇣… 구름위 허공에 떠 있음> … ↲
⇣ ⇣ ↳ (내원궁)미륵보살, (외원궁)천인
⇣ ↳ 제1수미산(제석천왕)은 공륜‧풍륜(바람)‧수륜(물)‧금륜(땅)으로 둘러져
⇣ 있고 그 다음, 9번째 대철위산이 있다.
⇣ 수미산은 4보(四寶)와 7보(七寶)로 이루어져 있다.
⇣
⇣
↳…(外海)…①동(지국) ②남(증장) ③서(광목) ④북(다문)
↳(승신주) ↳(섬부주=인간계) ↳(우화주) ↳(구로주)
※4대주(四大洲)→동승신주, 남염부주, 서우화주, 북구로주
※9산 8해(九山八海
↳8해:①수미해②지쌍해③지축해④첨목해⑤선견해⑥마이해⑦상이해 ⑧지산해 ⇤대함해⇥
↳9산:①수미산②지쌍산③지축산④첨목산⑤선견산⑥마이산⑦상이산⑧지산‧어명산…(남염부주)…⑨철위산
↳ … … … … … … <내해> … … … … … … … ↲ ↳ 외해 ↲
<7해 8공덕수> (소금바다)
<참고>
※인도 왕이 하루 갈 수 있는 거리 :1유순(약 12km),
※1수미세계=공륜, 풍륜,수륜, 금륜 <풍륜 48만유순, 수륜 60만유순, 금륜/대지 36만유순>
↳수미세계 높이 총 16만 8천유순(수미해 바다에 잠긴 것 8만4천유순, 위로 솟은 것 8만4천유순)
↳도리천 높이(수미산중턱) 8만 유순위치에 있음.-(구사론)
(2)색계(4선 - 18천)
➽초선(3천)→범중천, 범보천, 대범천
➽2선(3천) →소광천, 무량광천, 광음천
➽3선(3천) →소정천, 무량정천, 변정천
➽4선(9천) →무운천, 복생천, 광과천, 무상천, 무번천, 무열천, 선견천, 선현천, 색구경천
(3)무색계(4천) →공변처천, 식무변처천, 무소유처천, 비상비비상처천
(별표 #4)
〚사찰의 비밀〛-책/ 자현스님-
1. 절은 왜 산으로 갔을까.
부처님 재세 시 마을과 가까운 곳에서 수행 함.→인도의 기후는 우기. 농경발달로 음식풍부, 탁발,
*우리나라 →왕이나 귀족들의 참배 사찰로 가까워야 했음
*숭유억불 정책(조선시대) →절은 양반가의 유교 교육장으로 탈바꿈 함(백운동서원)
➽절이 산으로 들어 감(숙소 역할 병행)
↳ 선종이 명상과 참선수행 주장으로 산으로 들어감. →(삼성각, 구산선문)
→「백장청규」“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않는다.”<척박한 산사문회>
→ 신라 자장율사(월정사) : 고구려 군의 남하를 저지하기 위한 승병군(병농일치)
➽비보사찰 역할 : 침(의술/한의학),
↳ 역참기능(안동 제비원, 경기도 파주 혜음원)
↳ 능참기능(왕의 명복을 비는 기능)
-봉선사(수양대군/광릉),
-봉은사(중종→연산군을 몰아냄)
-용주사(정종의 아버지 사도세자)
↳ 꿈에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꿈(한을 풀었다)
2. 사찰 이름도 원칙이 있다
*사(寺)→국가에서 인정하는 일정한 규모 이상의 절.
↳ 수행목적으로 작은 부속 사찰을 두었다. : 암(庵) = 토굴
↳ 사찰(주지), 암(암주)
*원(院) →인도에서 우기 때 비를 맞지 않고 다니기 위해 통로에 지붕을 씌운 것에서 유래
3. 일주문에서 대웅전까지
*「하마비」 →조선(태종 13년/ 1413) 「조선왕족실록」에…
↳ 불교유물이 아니라 왕실 사당인 종묘, 궐문 밖에 설치.
↳ 조선의 측천무후인「「문정왕후」때에 봉은사와 봉선사에 유생들의 출입을 금지하자
문정왕후를 보좌하던 보우대사를 없애야 한다는 유생들의 상소에 격노한 문정왕후는
전국 사찰 입구에 다수의 하마비를 세우도록 명함.
※부처님 재세 시(?)
「하승」과 「퇴범」
*하승 : “수레나 가마에서 내려라”
*퇴범 : “불경스런 이는 범접할 수 없다”
➽ 「하마비」→‘절에 들어오기 전에 앞서 마음을 씻고 세속의 속된 기운을 끊어라’는 의미.
4. 불교 우주론에 의한 방향과 숫자 (짝수와 홀수)
➽가람배치
*인도 →기원정사, 사위성, 급고독장자 ←원과 동쪽, 정방형을 선호.
↳ 출가-동문, 부다가야에서 깨달을 때-동쪽으로 앉음, 우요삼잡
↳ 동쪽(태양숭배) 또는 동서남북으로 문을 낸다.
*중국 →직선과 네모방향 선호한다.
↳ 남쪽, 남북으로 문을 낸다. (3개, 5개)
↳ 중국천자는 북쪽에서 남쪽을 향해 앉는다
*우리나라 →중국 영향 받아 직선을 선호한다(예 : 광화문→홍례문→근정문)
↳ 아침,저녁 예불할 때 : 불상 가까운 곳부터(예비승려→사미→비구→어른스님)
: 일향성구조
※예외/ 석굴암(인도영향)→동쪽방향
➽홀수와 짝수, 하늘과 땅 (예/ 천지, 홀짝, 종횡, 남녀, 좌우)
*천(하늘) - (홀/ 3, 5, 5, 9) - 종(세로) - 남
*지(땅) - (짝/ 4, 8, 12) - 횡(가로) - 여
↳ 탑(塔) →수직(홀수), 수평(짝수) →<10층탑은 완성을 뜻함>
*통일신라시대 →대부분 3층으로 일반화 (4각형)
*고려시대 → 5층이상 자유로움 (4각형 이상 8각형태)
↳ 명절(상서로운 길한 날) →설날(1.1), 삼짇날(3.3), 단오(5.5), 칠석(7.7), 중양절(9.9)
➽부처님의 숫자 「4와 7」
*4와 4의 배수
-32상 80종호, 4월 8일(탄생), 12월 8일(성도)
-4성제 8정도, 12연기
-8만 4천 법문 80세(열반), 8섬 4말(사리) 40개 치아 1장 6척
<7의 숫자>
-7걸음, 7일만에 어머니 돌아가심, 7일간의 염불하면 극락왕생 함
-7 x 7 = 49재
※인도는 (4) → 사홍서원
<우리나라 3진법>
-3배, 향도 3개, 축원할 때 이름 3번 부름, 진언(3번), 탑돌이(3번), 3존불
-북 3번 씩 3번, 기도 3, 7일
※108 숫자는 미스테리, 다만 108번뇌 <대비바사론>, <대지도론>언급 때문으로 예상함.
5. 삼문 (三門 / 일주문 - 천왕문 - 해탈문)
*일주문 →금강문 →천왕문 →불이문(해탈문)
↳ 사천왕문→동쪽(지국천왕), 남쪽(증장천왕), 서쪽(광목천왕), 북쪽(다문천왕)
(1)욕계(6도 6욕천)
➽6도 →(1)지옥도 (2)아귀도 (3)축생도 (4)아수라도 (5)인간도(4대주) (6)천상도
➽6천(천상도)․→(1)사왕천 -동쪽(지국천왕), 남쪽(증장천왕), 서쪽(광목천왕), 북쪽(다문천왕)
(2)도리천 →(제석천왕-수미산 (공륜,풍륜,수륜,금륜) …⇢ 철위산(9山8海)
(3)야마천 .............. ↳ 동(승신주), 남(섬부주), 서(우화주), 북(구로주)
(4)도솔천 │ ↳ 염부제(=인간세계)
(5)화락천 │…→구름위 허공에 있음(공거천)
(6)타화자재천 .......│
(2)색계(4선18천)
➽초선(3천)→범중천, 범보천, 대범천
➽2선(3천) →소광천, 무량광천, 광음천
➽3선(3천) →소정천, 무량정천, 변정천
➽4선(9천) →무운천, 복생천, 광과천, 무상천, 무번천, 무열천, 선견천, 선현천, 색구경천
(3)무색계(4천) →공변처천, 식무변처천, 무소유처천, 비상비비상처천
※범종/ 아침 28번(욕계-6, 색계-18, 무색계-4), 저녁 33번(욕계 5도 포함)
*불이문(해탈문)
↳ 누하진입 : 좁고 어두운 폐쇄된 공간, 어둠을 지난 후 밝은 세상을 보는 중생이 어둠을 떨치고
부처님의 환한 미소를 보게 됨
↳ 우각진입 : 집안 내부가 바로 보이지 않게 측면으로 돌아 들어 가도록 하는 방식
6. 당간지주 문화
*당 →깃발, 당간 →깃대, 당긴지주 →지주
*신성한 곳임을 알리는 깃발(표찰) →부처님 사리탑 앞에 큰 깃대 2개를 세움.
↳ (우리나라) 솟대, 신장대와 비슷
7. 전각과 주불
*석가모니불<석가대웅>→대웅전
※대웅보전(석가모니불/아미타-약사)
*비로자나불<비대화> →비로전, 대적광전,대광명전, 화엄전
*아미타불<아미무극수> →미타전, 무량수전, 극락전, 수마제전
*관세음보살<관대원광> →관음전, 대비전, 원통전, 광명전(천태종)
*지장보살<지시명> →지장전, 시왕전, 명부전
*약사여래불<약만보유> →약사전, 만월전, 보광전, 유리광전
*아라한<아나영응> →나한전, 영산전, 응진전
*미륵불<미용자> →미륵전, 용화전, 자씨전
※삼세불 →석가모니불-미륵불-제화갈라불(연등불)
※삼신불 →청정법신 비로자나불-원만보신 노사나불-천백억화신 석가모니불
※삼신불 →석가모니불-문수-보현
8. 부처님 수인
*지권인 →오른손으로 왼손 엄지손가락을 감싸 쥔다. <비로자나불>
↳(통일신라시대) 왼손으로 오른손가락을 감싸 쥔다. →<비통우감> : 불국사 비로전
↳(조선시대) 오른손으로 왼손가락을 감싸 쥔다. →<비통좌감> : 기림사 대적광전
*선정인 →오른손 위에 왼손을 올려 놓는다. (왼쪽이 높다)
*전법륜인, 항마촉지인, (통인)→(좌)시무외인, (우)여원인, (합장)→합장인, 연화합장인
*아미타 구품인 → 상생 상품, 중품, 하품
중생 상품, 중품, 하품
하생 상품, 중품, 하품
9. 기타
➽건축
*불보살 전각 →원형기둥
*스님 →모가 난 기둥
↳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중국 진나라 영향>
*공포(세로기둥) →주심포식 : 각 가둥위에만 설치 →고려시대 건축방식
다포식 : 기둥외 기둥 사이에도 설치 →조선시대 건축방식
*지붕 →팔작지붕 : 끝이 위로 치켜 올라 감
맞배지붕 : 측면에서 보면 팔자(八)형 →비에 약함
➽화엄
*연꽃 →겸손과 미덕(전각 정면)
*모란 →부귀와 풍요(전각 측면) : 당나라 양귀비/화중지왕(꽃 중의 왕)
*국화 →유교사상(사군자 : 매.난,국,죽→매화,난초,국화,대나무)
*만개한 꽃 →완성
*봉우리 →인욕(가능성)
*용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증득한 부처님을 닮아 가려는 스님들의 기상을 상징
↳대웅전 안쪽 세로 기둥에만 승천하는 용이 그림.
↳대웅전 바깥쪽 대들보에 하늘을 나는 용 그림(대인, 군주/용비어천가)
↳여의주를 보고 용인지 이무기인지 판단한다.
*잉어 →극기를 통해서 용이 되듯 수행승도 수행을 통해서 부처가 되라는 의미
*학 →신선(청학/청학동) :도교적 이상세계 (파랑새=관세음보살, 토끼와 거북=명부전)
*소 →깨달음
*호랑이 →두려음 극복
➽세(시간) + 계(공간) = 세계
|
첫댓글 관세음보살 _()_
감사합니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