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으로 열렬하게 살았는가 프랑스의 모럴리스트인 장 드 라 브뤼예르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삶의 전반기에 삶의 후반을 힘들게 만드는 일을 한다"라고 했다. 생각해볼 가치가 있는 말이다. 노년을 어떻게 경험하는가는 젊었을 때 어떻게 살았는가와 깊은 연관이 있다. 인생의 전반기에 돈, 직장, 집과 같은 가시적인 가치창출에 집중했던 사람은 인생의 후반기에 더 이상 그 일을 할 수 없어지면 새로운 삶에 쉽게 적응하지 못한다. 노년에는 더 이상 집을 지을 필요가 없지 않은가. 노년의 삶은 더 이상일에 의해 규정되지 않는다. 이제는 내 인생의 집이 어떻게 지어졌는지 바라볼 때다. 융은 사람들이 인생의 후반기에 힘들어하는 이유를 조금 다른 곳에서 찾는다. 인생의 전반기에 열렬하게 살아보지 않은 사람, 내면의 자신과 대면하기를 거부했던 사람, 삶의 갈등을 피해온 사람은 인생의 후반기에 여유를 가지지 못한다. 진정으로 살아보지 않은 사람은 자기 자신도, 삶도 쉽게 놓지 못한다. 놓을 것도 없고, 놓는다는 것 자체가 두렵다. 왜냐하면 놓아버리고 나면 아무것도 남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내면적 가치를 등한시 해온 사람에게 남은 것이라고는 외면적 가치뿐이다. 이런 사람에게서 외면적 가치마저 박탈한다면 정말 아무것도 남지 않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런 두려움을 품고 산다. 인생의 후반기에 수많은 사람들이 재산에 집착하고 어떤 핑계를 만들어서라도 시간을 틈없이 메우려 하는 것도 다 이런 이유에서다. 그들은 자신이 얼마나 건강하고 젊게 사는지 끊임없이 보여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만 자신의 존재감이 높아진다고 믿는다. 진정으로 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기 과시를 통해 '나 아직 안 죽었소. 나 잘 살고 있소' 하고 자신의 존재를 확인시켜야 하는 것이다.-노년의 기술 (안젤름 그륀 신부 지음, 김진아 옮김)
진정으로 열렬하게 살았는가 프랑스의 모럴리스트인 장 드 라 브뤼예르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삶의 전반기에 삶의 후반을 힘들게 만드는 일을 한다"라고 했다. 생각해볼 가치가 있는 말이다. 노년을 어떻게 경험하는가는 젊었을 때 어떻게 살았는가와 깊은 연관이 있다. 인생의 전반기에 돈, 직장, 집과 같은 가시적인 가치창출에 집중했던 사람은 인생의 후반기에 더 이상 그 일을 할 수 없어지면 새로운 삶에 쉽게 적응하지 못한다. 노년에는 더 이상 집을 지을 필요가 없지 않은가.
노년의 삶은 더 이상일에 의해 규정되지 않는다. 이제는 내 인생의 집이 어떻게 지어졌는지 바라볼 때다. 융은 사람들이 인생의 후반기에 힘들어하는 이유를 조금 다른 곳에서 찾는다. 인생의 전반기에 열렬하게 살아보지 않은 사람, 내면의 자신과 대면하기를 거부했던 사람, 삶의 갈등을 피해온 사람은 인생의 후반기에 여유를 가지지 못한다. 진정으로 살아보지 않은 사람은 자기 자신도, 삶도 쉽게 놓지 못한다. 놓을 것도 없고, 놓는다는 것 자체가 두렵다. 왜냐하면 놓아버리고 나면 아무것도 남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내면적 가치를 등한시 해온 사람에게 남은 것이라고는 외면적 가치뿐이다. 이런 사람에게서 외면적 가치마저 박탈한다면 정말 아무것도 남지 않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런 두려움을 품고 산다. 인생의 후반기에 수많은 사람들이 재산에 집착하고 어떤 핑계를 만들어서라도 시간을 틈없이 메우려 하는 것도 다 이런 이유에서다. 그들은 자신이 얼마나 건강하고 젊게 사는지 끊임없이 보여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만 자신의 존재감이 높아진다고 믿는다. 진정으로 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기 과시를 통해 '나 아직 안 죽었소. 나 잘 살고 있소' 하고 자신의 존재를 확인시켜야 하는 것이다.-노년의 기술 (안젤름 그륀 신부 지음, 김진아 옮김)
첫댓글 넵...돌이켜보면 참 열심히 열열하게 살아온곳 같아요 다시 산다해도 그때만큼 살 자신 없어요지금 이 늙음도 싫지않아요범사에 감사하며 갈아간답니다
첫댓글 넵...돌이켜보면 참 열심히 열열하게 살아온곳 같아요
다시 산다해도 그때만큼 살 자신 없어요
지금 이 늙음도 싫지않아요
범사에 감사하며 갈아간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