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기설비
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수관의 요소에 통기관을 접속하고 통기관을 통합하여
그 말단을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기구보다 높은 위치에서 바깥으로 개방한다.
통기방식에는 각 기구마다 접속하는 각개통기방식(별도 통기관)/
배수횡지관(배수관보다 높게 배관)을 루프의 일부에 이용하는 회로/환상통기방식 및
배수입관을 위로 연장시켜 외부로 개방하는 신정통기방식이 있다.
단일입관방식은 횡지관에 다수의 기구가 접속하지 않는 호텔/아파트 등의
통기에 적합하며 경제적이다.
드럼트랩과 비슷한 형태이지만 배수 속의 혼입물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저집기(沮集器;interceptor)가 있다.
조리장용의 지방 저집기, 기계유나 가솔린을 제거하는 기름 저집기,
그 밖에 모래/섬유/모발/플라스터찌꺼기를 대상으로 하는 저집기가 있다.
미처리 오수 이외의 배수의 양수에는 보통 소용돌이 모양의 펌프가 이용되며,
펌프만이 배수 속에 잠기고 긴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조 밖에 있는 모터로 움직이게 된다.
또 펌프와 모터를 하나로 하여 물 속에 가라앉혀 물을 퍼 올릴 수 있는 수밀수중 펌프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것들을 오수펌프라고 한다.
미처리 오수의 양수에는 고형물로 막힐 염려가 없는 날개바퀴를 가진 오물펌프가 사용된다.
배수관과 그 이음매에는 배수용주철관/아연도금강관/배수용납관/도관/경질염화비닐관이 사용되며,
땅속 매설용으로는 이 밖에 석면시멘트관/철근콘크리트관이 이용된다.
배수관도 일반적으로 천장 위에 위치하는 경우는 결로방지용의 보온재 피복이 필요하다.
또 실내에 노출되는 배수관에는 소음 차단을 위한 피복이 필요하다.
변소오수가 방류될 수 없는 지역에서는 오수를 처리하는 분뇨정화조,
혹은 오수와 일반 배수를 모아 처리하는 합병처리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분뇨정화조의 정화기능은 오염물질의 여과침전, 혐기성균에 의한 부패분해,
호기성균에 의한 산화분해이다.
부패분해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공기와 접촉시키지 말고,
산화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될 수 있는 한 공기와 접촉시켜야 하므로
각종 포기방법이 고안되고 있다.
* 통기관(밴트 배관)이 안되 있으면 변기나 바닥물이 잘 안빠지며 냄새가 많이난다.
* 급수 설비(배관)도 압력이 차면 물이 안나온다 ~ 고가 수조시 압이 약할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