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적필패(輕敵必敗)
적을 가볍게 여기면 반드시 패한다는 뜻으로, 적을 가볍게 얕잡아 보면 반드시 패배한다는 경계의 말이다.
輕 : 가벼울 경
敵 : 대적할 적
必 : 반드시 필
敗 : 패할 패
(유의어)
교병필패(驕兵必敗)
병교자멸(兵驕者滅)
(반의어)
애병필승(愛兵必勝)
기나긴 유랑생활 끝에 나이 60이 되어서야 왕위에 오른 진문공(晉文公)은 춘추전국시대 두 번째 패자(霸者)의 자리에 오르게 되지만, 그 뒤를 이은 진영공(晉靈公)은 주색에만 빠져 나라 일을 소홀히 하다가 신하에게 살해당하고 만다.
이와 동시에 두 진나라 간의 사이도 안 좋아져서 진(晉)나라의 영광도 슬슬 저물게 되고, 이와 동시에 초(楚)나라의 장왕(莊王)이 중원을 장악하며 세 번째 패자에 오르게 되는 과정의, 기원전 600년 전후의 이야기들이다.
조돈(趙盾)은 진(晉)나라의 정권을 장악했으나 진영공의 타락을 막지 못했고, 생명의 위협을 피해 국경 밖으로 달아났지만 진영공의 살해를 방조했다 하여 사관인 동호(董狐)로부터 필주(筆誅)를 받는다.
필주(筆誅)란 붓으로 벌을 내린다는 의미로, 죽음을 무릅쓰고 공정하고 진실하게 역사를 기록하겠다는 사관의 의지와 집념이 만들어낸 것이다. 이로부터 목숨이 왔다갔다 하는 온갖 혼란 속에서도 중국의 역사를 보존하고자 노력했던 역사의식을 느낄 수 있다.
초장왕(楚莊王)은 활솜씨가 뛰어난 투월초(鬪越椒)의 반란군과 다리가 끊어진 강을 사이에 두고 맞서게 되는데, 초장왕 휘하의 이름 없는 장수 양유기(養由基)가 활을 잘 쏜다 하여 투월초와 맞서게 되었다. 투월초는 양유기를 얕잡아 본 데다가 양유기의 도발에 넘어가기까지 했다.
양유기가 서로 세 발의 화살을 쏘되 몸을 피하지 말자고 제안을 하자 투월초는 그렇다면 자신이 먼저 세 발을 쏘겠다고 했다. 양유기는 그 조건을 받아들여 선공(先攻)을 내주었지만, 이미 투월초는 양유기의 페이스에 말려 들었다.
조급하게 쏜 첫 번째 화살은 양유기가 활로 쳐내었고, 두 번째 화살은 몸을 숙여 피했다. 반칙이다. 하지만 투월초는 세 번째 화살로 반드시 양유기를 죽일 수 있다고 생각했기에 곧 바로 세 번째 화살을 날렸지만 양유기는 입으로 화살촉을 받아냈다. 당황한 투월초는 양유기의 첫 번째 화살에 머리를 맞고 즉사하고 말았다.
허무하게 제대로 싸움 한 번 못 해보고 반란군은 궤멸당하게 되었고, 이로써 초장왕의 전성기는 시작된다. 승부에 임해서는 절대로 상대를 가볍게 보지 말아야 하며, 조급한 마음으로 서둘러서도 안되고, 당황해서도 안 된다. 경적필패(輕敵必敗)다.
손자병법(孫子兵法)에서는 전쟁은 도박이 아니라고 한다. 감정이나 분노로 싸움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전쟁 전에 요구되는 것이 승산(勝算)이다. 이길 계산을 충분히 한 후에 싸워야 한다는 뜻이다.
勝兵先勝而後求戰(승병선승이후구전)이라.
승리하는 군대는 먼저 승리를 확보하고 난 후에 전쟁에 임한다는 뜻으로, 전쟁은 싸워서 이기러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승리를 확보한 후에 승리를 확인하러 들어가는 것이다는 일명 선승구전(先勝求戰)이라는 계책이다.
손자병볍에서는 승산 있는 군대와 승산 없는 군대의 5가지의 특징을 말하고 있는데 승산 있는 군대의 5가지 유형은 이러하다.
첫째, 상하가 같은 꿈을 가지고 있는 조직은 승리한다.
둘째, 준비된 자가 준비 안 된 상대와 싸우면 승리한다.
셋째, 싸울 만한 상대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는 조직은 승리한다.
넷째, 인원의 규모를 자유자재로 운용할 줄 아는 조직은 승리한다.
다섯째, 장군이 능력 있고, 군주가 간섭 안 하면 승리한다.
다음은 난중일기(亂中日記)에 나온 구절이다. ‘사직의 위엄과 영험에 힘입어 겨우 작은 공로를 세웠는데, 임금의 총애와 영광이 너무 커서 분에 넘친다. 장수의 직책으로 더 쓸만한 공로도 바치지 못했으며 군인으로서 부끄러움이 있을 뿐이다.’
이순신(李舜臣)에게는 명량대첩(鳴梁大捷)도 천행(天幸)의 결과였고 부하들 공이었다. 겸양(謙讓)은 경적필패지리(輕敵必敗之理) 곧 적을 업신여기면 반드시 패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이어진다. 오만(傲慢)과 자만(自慢)이야말로 모든 전쟁과 경쟁에서 패배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이순신(李舜臣)은 임진왜란 당시 23전 23승을 이끌어 낸 위대한 승장(勝將)이자 인력, 배, 무기, 식량이 부족하고 모함과 핍박으로 백의종군이란 수모를 당하는 가운데에서도 거북선을 발명하고, 학익진(鶴翼陣)이란 새로운 진법을 개발해 국가를 존망 위기에서 구해낸 영웅이다.
일본 해군 제독 도고 헤이하치로(東鄕平八郎)는 “나를 넬슨에 비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이순신에는 비할 수 없다”고 말했다. 경상남도 진해에 있던 옛 일본 해군 사령부가 중요하게 여겼던 연중행사 중 하나는 통영 충렬사에서 이순신 진혼제를 올리는 것이었다. 해군성 예산 항목으로 경비를 충당하고, 사령부 장병은 당일 통영까지 가서 진혼제를 봉행해야 했다. 적에게도 탄복을 자아내는 군신(軍神)이었던 셈이다.
이길 수 있는 조건을 만든다
선승구전(先勝求戰). 미리 이겨 놓고 난 후에 싸운다는 뜻이다. 이순신은 명량해전에서 10여 척으로 대규모 일본 함대와 맞서야 하는 최악의 상황에서 이길 수 있는 조건을 만들기 위해서 최선을 다했다. 지형(地形), 조류(潮流) 등 지리적 여건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명량해협의 좁은 물목(물이 흘러들고 나가는 어귀)을 전투 장소로 선택했다.
일본 전선 중 가장 크고 전투력이 강한 안택선은 직접 전투에 참여하지 못했고, 규모가 작은 관선 133척만 들어왔다. 또 조류가 빠른 명량해협 특성을 활용, 조류를 타고 왔던 일본 수군이 순식간에 거꾸로 바뀐 급속 조류에 당황하자 대반격을 감행, 압도적 승리를 거두었다.
정신 전력 측면에서도 이길 수 있는 조건을 만들었다. 이순신은 죽음을 무릅쓰고 맨 앞에서 싸우는 용기와 희생정신을 보여줌으로써 부하들 분투를 이끌어냈다. 왜군 선봉대장 목을 베어 적의 기세를 꺾고, 우리 수군의 사기를 크게 진작시켰다.
군사 전략이든, 경영 전략이든 기본은 같다. 시대가 변한다고 기본까지 달라지지 않는다. 경제전쟁에서 승리하려면 이길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전장(戰場)인 시장과 산업을 구성하는 경쟁자, 구매자, 공급자를 면밀히 파악해야 한다.
위기관리에 철저하다
이순신은 임진왜란 발발 1년여 전 전라좌수사로 부임하자마자 관할 지역 지형과 조류를 조사했다. 또 전투 시 긴요하게 이용할 수 있는 요충지를 파악하는 데 힘을 기울였으며, 필요한 곳에는 수중에 장애물을 설치하기도 했다.
부하들은 달이 매우 밝았기 때문에 적의 야습이 없을 것이라고 방심하고 있었지만, 이순신은 피곤해 누워서도 갑옷을 벗지 않았다. 달빛이 밝다 해도 한산도에 있는 큰 산 그림자 때문에 바다가 어두워진 곳이 있으며, 이곳으로 적이 기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던 것이다.
위기의식을 부하들에게 불어넣기 위해서는 리더가 먼저 온몸으로 위기에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위기를 극복하여 턴어라운드(turnaround)에 성공한 기업들을 보아도 이러한 점을 잘 알 수 있다.
이순신은 패배할 수밖에 없는 무모한 공격은 하지 않았다. 임금이 잘못된 정보와 판단에 따라 적의 소굴로 쳐들어가라고 명했지만, 이렇게 하면 우리 수군이 크게 패배하게 된다고 판단하고 임금의 지시였음에도 이를 따르지 않았다.
이처럼 리스크 관리의 귀재였지만 위험을 회피하지만은 않았다. 이순신이 12척으로 수백 척에 달하는 적선 침입을 저지하려고 하자, 승산이 없다고 본 임금은 수군을 없애고 육군에 합류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에 대해 이순신은 “만일 지금 수군을 없앤다면 적이 바라는 대로 하는 것이며, 적은 호남과 호서의 연해안을 돌아 한강으로 올 것입니다. 신은 이것을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라고 보고하고 전투에 나섰다.
공정한 불평등을 실천한다
이순신은 전시에 부하들 희생을 줄이기 위해 최선을 다했고 평시에는 부하들과 같이 고생하고 함께 즐기면서 한 몸이 되고자 노력했다. 가난한 부하에게 입고 있던 옷까지 벗어 준 적도 있다. 하지만 부하들 죄는 용납하지 않았다.
난중일기에는 ‘군기를 검열했다. 활, 갑옷, 투구, 전통, 환도 등 파손된 물건이 많이 있었다. 모양조차 갖추지 못한 것이 너무 많아, 아전, 궁장과 감고 등을 처벌했다’는 대목이 등장한다.
남의 개를 잡아 먹은 부하에게 80대 곤장을 때리는 엄중한 벌을 줬다는 기록도 있다. 전쟁에 승리하기 위해서는 군율을 칼날같이 세워야 하기 때문에 부하들의 죄를 엄격하게 다룰 수밖에 없었다.
잘하거나 잘못하거나 똑같이 대우한다고 해서 공정한 게 아니다. 잘하는 사람에게 상을 주고, 잘못한 사람에게 벌을 주는 게 공정한 것이다. 상과 벌을 확실히 주는 공정한 불평등을 실천해야 한다.
삼성 이병철 회장은 회사 내 잘못을 지적하고 그 문제점을 과감히 제거하고 용서하지 않는 경영자를 흔히 냉혹한 사람이라고 평하지만, 진짜 냉혹한 사람은 잘못을 덮어두고 미온적인 경영으로 회사와 본인 장래를 망치고 결국 사회를 혼란케 하는 경영자라고 자서전에서 밝혔다.
겸양의 미덕과 5단계 리더십
난중일기에 나온 구절이다. ‘사직의 위엄과 영험에 힘입어 겨우 작은 공로를 세웠는데, 임금의 총애와 영광이 너무 커서 분에 넘친다. 장수의 직책으로 더 쓸만한 공로도 바치지 못했으며 군인으로서 부끄러움이 있을 뿐이다.’
이순신에게는 명량대첩도 천행(天幸)의 결과였고, 부하들 공이었다. 겸양은 곧 적을 업신여기면 반드시 패한다(輕敵必敗之理)는 마음가짐으로 이어진다. 오만과 자만이야말로 모든 전쟁과 경쟁에서 패배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이순신은 승리의 공을 모두 부하에게 돌렸다. 승전 보고서를 올릴 때에도 부하들 공을 앞세웠으며, 심지어는 종들의 이름까지도 적었다. 그러자 부하들은 마음속 깊이 이순신을 존경하고 목숨도 아끼지 않고 열심히 싸울 수 있었다.
미국의 경영 컨설턴트 짐 콜린스는 리더는 뛰어난 업무 능력, 팀워크 능력, 관리자로서 역량, 비전 제시와 동기 부여, 헌신과 겸양의 미덕, 순서로 자질이 발전해 간다고 분석했다. 마쓰시타전기 창업자 마쓰시타 고노스케는 성공을 운의 덕으로 돌리고 실패는 자신의 탓으로 돌리라고 충고한 바 있다.
핵심역량을 쌓는다
이순신은 바쁜 가운데서도 활쏘기 연습을 게을리 하지 않아 명궁으로 이름을 날렸고, 꾸준한 학습과 연구로 병법, 전략, 전술뿐 아니라 정보, 인사에도 통달, 장군으로서 필요한 핵심역량을 튼튼히 했다.
이순신은 한산해전에서 학익진(鶴翼陣; 학이 날개를 펼친 듯한 진법)을 써서 일본 수군을 대파했다. 이순신은 육전에서 쓰이던 학익진을 연구해서 응용했다. 해전에서 학익진이라는 새로운 진법을 몰랐던 적장은 대패할 수밖에 없었다.
치열한 경제전쟁에서 승리하려면 경쟁자를 압도할 수 있는 핵심역량이 있어야 한다. 지식, 정보화 시대 핵심역량은 자금, 시설 등과 같은 물적 자원보다 경쟁자가 쉽게 모방할 수 없는 기술, 경영 능력, 조직 능력, 마케팅 능력, 디자인 능력과 같은 지적 재산에서 창출된다.
아직도 12척의 전선이 있다
이순신이 명량해전을 앞두고 돌아왔을 때 수군은 괴멸 상태에 가까웠다. 임금은 이순신을 군사, 전선, 무기, 군량도 없는 해군 사령관에 임명한 셈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순신은 선조에게 글을 올렸다. “지금 신에게는 아직도 12척의 전선이 있으므로 죽을 힘을 다하여 싸우면 적 수군의 진격을 막을 수 있습니다. 전선의 수가 적고 미미한 신하에 불과하지만, 신이 죽지 않는 한 적이 우리를 얕보지는 못할 것입니다.”
그는 죽기를 각오하면 살고, 반드시 살려고 하면 죽는다(必死則生 必生則死)는 비장한 자세를 강조했고, 한 사나이가 길목을 지키면 천명을 두렵게 만든다(一夫當逕 足懼千夫)면서 군사들 분발을 촉구했다.
기업가란 이렇듯 무(無)에서 유(有)를 만들어 내는 정신이 필요하다. 자원(자금, 인재, 시설, 기술 등)이 부족하더라도 도전정신을 갖고 혁신을 추구하면 경제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 GE 전 회장 잭 웰치는 “유리 잔에 물이 반밖에 없다는 자세를 가진 직원이 제일 눈에 거슬립니다. 그들은 전에도 해봤지만, 안 됐습니다고 말하곤 하죠. 이런 사람과 같이 일하고 싶어하는 사람은 없어요”라고 말했다.
▶ 輕(경)은 형성문자로 軽(경)의 본자(本字), 䡖(경)은 통자(通字), 轻(경)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수레 거(車; 수레, 차)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巠(경; 세로로 곧게 뻗은 줄)로 이루어졌다. 곧장 적에게 돌진하는 전차, 경쾌한 일, 가벼움의 뜻이다. 輕(경)은 가벼운, 중량이 비교적 가벼운, 육중하지 않은 또는 경쾌하고 간단한의 뜻으로, 가볍다, 가벼이 여기다, 가벼이 하다, 업신여기다, 천하다, 빠르다, 가벼이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무거울 중(重)이다. 용례로는 죄인을 가볍게 처분함을 경감(輕勘), 가볍게 다침을 경상(輕傷), 가벼운 홀몸을 경단(輕單), 가벼운 정도를 경도(輕度), 언행이 가볍고 방정맞음을 경망(輕妄), 아주 작고 가벼움을 경미(輕微), 기분이 가볍하고 유쾌함을 경쾌(輕快), 경솔하게 행동함을 경거(輕擧), 움직임이 가뿐하고 날쌤을 경첩(輕捷), 덜어내어 가볍게 함을 경감(輕減), 가벼운 범죄 또는 그런 죄를 저지른 사람을 경범(輕犯), 언행이 진중하지 아니하고 가벼움경솔(輕率), 언행이 경솔하고 천박함을 경박(輕薄), 가볍게 봄을 경시(輕視), 가벼운 무게를 경량(輕量), 가벼움과 무거움을 경중(輕重), 말이나 몸가짐 따위가 방정맞고 독실하지 못한 사람을 일컫는 말을 경박자(輕薄子), 조그마한 일에 후한 답례를 함을 경사중보(輕事重報), 적을 가볍게 보면 반드시 패배함을 경적필패(輕敵必敗), 마음이 침착하지 못하고 행동이 신중하지 못함을 경조부박(輕佻浮薄), 가볍고 망령되게 행동한다는 경거망동(輕擧妄動), 경쾌한 수레를 타고 익숙한 길을 간다는 경거숙로(輕車熟路), 가벼운 가죽옷과 살찐 말이라는 경구비마(輕裘肥馬) 등에 쓰인다.
▶ 敵(적)은 형성문자로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啇(적; 나무 뿌리, 밑동)과 적의 근거지를 친다는 등글월문(攵)部는 뜻이 합(合)하여 대적하다를 뜻한다. 敵(적)은 이것저것 있는 중에서 하나를 정하여 맞서다, 부딪치다, 상대 등의 뜻이 전(轉)하여 나중에 상대방, 원수라는 뜻으로 변하여 쓰게 되었다. 그래서 대적하다, 겨루다, 대등하다, 필적하다, 맞서다, 거역하다, 갚다, 보답하다, 원수, 짝, 상대방, 다하다(활)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원수 구(仇)이다. 용례로는 상대가 되어 싸우는 나라를 적국(敵國), 적국의 병사를 적병(敵兵), 힘이 엇비슷하여 서로 맞섬을 적우(敵偶), 적군의 땅이나 적의 점령지를 적지(敵地), 마주 대하여 버팀 적으로 여김적대(敵對), 적국의 장수를 적장(敵將), 적의 깃발을 적기(敵旗), 적의 성질을 띤 것 또는 서로 대적되는 성질을 적성(敵性), 힘이 비슷한 상대를 적수(敵手), 적의 무리를 적군(敵群), 적국의 군사를 적군(敵軍), 적의 진지나 적군의 진영을 적진(敵陣), 적을 미워하며 분개하는 심정을 적개심(敵愾心), 자기 나라와 전쟁 상태에 있는 적국의 사람을 적국인(敵國人), 적으로 여겨 맞서는 마음을 적대감(敵對感), 적대 관계에 있는 나라를 적대국(敵對國), 적국의 사이 또는 첩과 첩 사이를 적국지간(敵國之間), 적은 반드시 전멸시켜야지 용서해서는 안 됨을 적불가가(敵不可假) 등에 쓰인다.
▶ 必(필)은 회의문자이나 형성문자로 보는 견해도 있다. 八(팔; 나눔, 필)과 주살익(弋; 줄 달린 화살)部의 합자(合字)이다. 땅을 나눌 때 말뚝을 세워 경계를 분명히 하여 나눈다는 데서 반드시의 뜻으로 쓰인다. 그래서 必(필)은 반드시, 틀림없이, 꼭, 오로지, 가벼이, 소홀히, 기필(期必)하다, 이루어 내다, 오로지, 전일(專一) 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꼭 소용이 됨이나 없어서는 아니 됨을 필요(必要), 꼭 얻음이나 꼭 자기의 물건이 됨을 필득(必得), 반드시 멸망함을 필멸(必滅), 꼭 죽음이나 살 가망이 없음 필사(必死), 반드시 죽임 또는 그런 마음가짐을 필살(必殺), 반드시 학습하여야 함이나 꼭 이수해야 함을 필수(必修), 꼭 이김이나 반드시 이김을 필승(必勝), 필연이나 반드시를 필시(必是), 그리 되는 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음을 필연(必然), 반드시 패함을 필패(必敗), 반드시 납부함을 필납(必納), 죄 있는 자는 반드시 벌을 줌을 필벌(必罰), 반드시 읽어야 함을 필독(必讀), 반드시 없으면 안 됨을 필수(必需), 틀림 없이 꼭 망하고야 맒을 필망내이(必亡乃已), 결코 이러할 이치가 없음을 필무시리(必無是理), 죽기를 각오하면 살 것이다는 필사즉생(必死則生), 살고자 하면 죽는다는 필생즉사(必生則死), 품은 원망을 반드시 풀어 없애고자 애씀을 필욕감심(必欲甘心), 반드시 무슨 까닭이 있음을 필유곡절(必有曲折), 반드시 무슨 까닭이 있음을 필유사단(必有事端) 등에 쓰인다.
▶ 敗(패)는 형성문자이나 회의문자로 보는 견해도 있다. 뜻을 나타내는 등글월문(攵=攴; 일을 하다, 회초리로 치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貝(패)가 합(合)하여 싸움에서 지게 되어 패하다를 뜻한다. 敗(패)는 則(칙)의 반대로, 법칙(法則)을 때려 부수다, 사물을 못쓰게 만들다, 나중에는 적에게 지는 것의 뜻을 나타낸다. 그래서 敗(패)는 실패하거나 패배함 또는 그러한 일의 뜻으로 패하다, 지다, 무너지다, 부수다, 깨뜨리다, 헐어지다, 깨어지다, 썩다, 떨어지다, 해치다, 기근, 재앙, 재화, 흉년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잃을 실(失),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이길 승(勝), 있을 존(存), 이룰 성(成), 있을 유(有), 일 흥(興) 이다. 용례로는 가산을 탕진하여 없앰을 패가(敗家), 싸움에 져서 망함을 패망(敗亡), 싸움에 지거나 일에 실패한 원인을 패인(敗因), 도덕과 의리를 그르침을 패덕(敗德), 싸움에 져서 죽음을 패사(敗死), 싸움에 져서 뿔뿔이 흩어짐을 패산(敗散), 사업에 실패함을 패업(敗業), 패하여 세력이 꺾인 나머지를 패잔(敗殘), 전쟁에 짐을 패전(敗戰), 싸움에 져서 멸망함을 패멸(敗滅), 패배의 빛이나 패배할 것 같은 경향을 패색(敗色), 싸움이나 경기에 진 사람을 패자(敗者), 싸움에 져 도망침을 패주(敗走), 찢어진 종이나 못쓰게 된 종이를 패지(敗紙), 싸움에 져서 도망함을 패배(敗北), 가산을 탕진하고 몸을 망침을 패가망신(敗家亡身), 마른 버드나무와 시든 꽃이라는 뜻으로 용모와 안색이 쇠한 미인의 모습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패류잔화(敗柳殘花)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