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영준의 마음피트니스] 영국인 명상가가 전하는 행복의 비결 (上)
인간은 절망을 이럭저럭 관리하며 산다
영국 유명 도예가 출신인 루퍼트 스파이라는 정통 인도철학의 탄탄한 철학적 배경과 명상의 경험을 바탕으로 비전 있는 삶과 영의 세계로 가는 길을 보여주고 있다. /rupertspira.com
그는 세계적인 도예가였다. 영국 유명 뮤지엄에서 그의 작품들을 영구 콜렉션했으며 1999년 엘리자베스 여왕이 방한해서 우리 대통령에게 준 선물이 바로 그의 도예 작품이었다.
그러나 이제 작품 활동을 완전히 접고 집필, 명상 지도, 영적 수행에만 전념하고 있다. 그의 이름은 루퍼트 스파이라(Rupert Spira). 1960년 영국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어려서부터 인도 철학과 명상에 눈을 떠 깊은 연구와 수행을 해왔다.
그래서인지 그의 얘기는 자연스럽게 기독교와 불교의 가르침과도 연결되며, 별로 종교적 색깔을 내지 않으면서 영적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그는 ‘나는 누구인가?’, ‘어떻게 하면 평화롭고 행복한 인생을 얻을 수 있나?’라는 삶의 본질적 문제를 아주 쉬운 말과 비유로 설명한다. 그러나 명상 등 마음수련 훈련을 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좀 알쏭달쏭하게 들릴 수도 있다.
최근 번역돼 나온 그의 저서 ‘알아차림에 대한 알아차림(Being Aware of Being Aware)’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 사람들은 절망을 이럭저럭 관리하며 살아간다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늘 수많은 생각과 감정, 욕망 속에 살고 있다. 때때로 생로병사의 근원적 불안과 고통, 절망감을 인식할 때도 있지만 대부분 의식적으로 외면하고 억압한다.
대신 세속적인 일에 몰두함으로써 보상을 찾으려고 한다. 쾌락, 돈, 힘센 자리, 인간관계, 성공, 명예, 성취….
그러나 그것이 근원적인 행복이 아니라는 사실도 우린 알고 있다. 간혹 원하던 것을 얻거나 경험하게 되면 잠시 평온함과 만족함을 맛보게 될 뿐이나 곧 원래로 돌아간다.
때문에 사람들은 물질을 통해 절망감을 치료하고, 대상을 손에 넣어 절망감을 마비시키며, 낭만이나 명상적 체험을 통해 절망으로부터 회피하고, 여러 활동과 인간관계를 경험하며 자신의 주의를 딴 데로 돌리며 살아간다.
# 우리는 ‘가짜 나’를 ‘진짜 나’로 착각하며 살아간다
진정한 평온함과 행복이란 마음이 외부가 아니라 내부, 즉 스스로에게 향할 때 얻어질 수 있는 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를 모른다. 아니 ‘자기 자신’이 누군지부터 모르고 산다.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나’는 ‘진짜 나’가 아니다. 내 이름, 직업, 이력, 인간관계는 일시적인 것일 뿐이며 내 집, 차, 자리 역시 일시적으로 소유하고 있을 뿐이다.
지금 내가 느끼는 생각・감정・감각도 ‘진짜 나’가 아니다. 이 모든 것은 왔다가 사라져 갈 뿐이다.
생각해보라. 어제의 생각이 지금 생각인가. 그게 나인가. 어제 즐거웠던 감정이 지금 감정인가. 그게 나인가. 어제 감각이 지금도 계속 되고 있나. 그게 나인가. 그러나 우리는 ‘가짜 나’가 요구하는 명령에 따라 이리가고 저리가며 정신없이 살아간다. <계속>
글 | 함영준 마음건강 길 대표
출처 : 마음건강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