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교육청 공사장·옹벽·기숙사 등 재해취약시설 점검
민·관 전문가로 구성된 점검팀을 통한 집중 점검
[광주=차승현기자] 광주교육청이 6일~22일까지 해빙기 안전한 교육 현장을 위해 공사장, 붕괴 및 화재위험 시설 등 재해 취약시설 67개소에 대해 민·관 합동점검을 실시한다.
민·관 합동점검은 개학 이후에도 공사 진행이 불가피한 대규모 공사장을 비롯해 해빙기 지반 약화에 따른 옹벽, 절개지 등 붕괴위험 시설을 집중적으로 살핀다. 또 화재 발생의 위험성이 있는 기숙사 등도 점검할 계획이다. 시교육청은 점검의 전문성을 살리기 위해 구조·토질·소방 분야 기술사 등 민간 전문가와 시교육청 소속 기술직 공무원으로 점검팀을 구성했다.
주요 점검 사항은 ▲공사장 비계, 동바리 등 가설구조물 ▲비산먼지 및 소음 방지 ▲공사장과 수업공간 분리 및 통학로 안전관리 ▲옹벽 및 절토·굴착 절개지 안정성 ▲기숙사 화재경보 및 소방시설 정상 작동 여부 등이다.
점검 결과 경미한 사항은 현장에서 즉시 시정·조치토록 하고 즉시 시정이 어려운 사항은 위험 요소가 해소될 때까지 조치계획을 수립해 관리할 예정이다. 또 중대한 사항은 관계 법령에 따라 행정조치도 고려할 방침이다.
이정선 교육감은 “지난겨울 우리 지역에 폭설과 강추위로 결빙됐던 지반이 약화돼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공사장·옹벽·기숙사 등 재해취약시설에 대한 관리·감독으로 학생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광주교육청 ‘디지털 기반 미래로 AISW교실 초 5·6학년 2만명과 함께 출발‘
소프트웨어(코딩)교육 전문강사 지원...하반기 중학교까지 확대
광주교육청이 3월부터 12월까지 초등학교 5~6학년 2만 명 대상으로 ‘학교로 찾아가는 소프트웨어(코딩) 교실’을 지원한다.
이번 교실은 디지털 기반 미래교육을 강화하고 학생들이 미래사회의 소통 언어인 소프트웨어(코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기획됐다. 교육 내용은 ▲디지털 융합 진로 ▲ 코딩 기초·심화 ▲피지컬 컴퓨팅 ▲로봇코딩 등이다. 인공지능에 대한 개념부터 코딩교육까지 2명의 전문강사가 담임교사와 협력해 학생의 눈높이에 맞춰 진행한다.
시교육청은 이번 사업 추진을 위해 시청과 협력해 과기부 주관 ‘SW 미래채움’ 공모를 거쳐 사업비 86억을 확보했다. 올해 초등 5~6학년 학생을 시작으로 하반기에는 중학교까지 소프트웨어(코딩)교실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더해 (구)광주과학고에 구축 중인 'SW미래채움센터'를 통해 지역의 초·중학생들을 대상으로 ‘AR/VR’, ‘로봇’, ‘IoT’ 등을 주제로 한 다양한 교육과 체험 프로그램을 상시 제공할 예정이다.
교육을 신청한 한 초등학교 교사는 “초등학교 단계부터 인공지능 등 미래핵심 기술에 대해 익힐 수 있는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담임교사와 2명의 전문강사와 협력해 질 높은 학생 맞춤형 소프트웨어(코딩)교육을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정선 교육감은 “미래 인재가 갖춰야 할 기초소양으로 소프트웨어(코딩) 수업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 교원과 학생·학부모가 만족하는 질 높은 코딩교육으로 디지털 기반 미래교육을 활성화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기사더보기:
http://www.miraenews.co.kr/news_gisa/gisa_view.htm?gisa_category=01030000&gisa_idx=90971
#광주교육청 #이정선교육감 #재해취약시설 #안전점검 #코딩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