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 글입니다.
자료를 어디서 구하신건지 모르겠는데요.
몇가지 부과 설명과..조사에서..다른 측면에서 생각해보고 싶군요.
1.전 세계 229개 국가 중에 영토 보유 규모 102위( 매우 작음)
->국토면적 FAO, FAOSTAT database(http://apps.fao.org)
한반도의 총면적은 세계 80위권으로 나타나며 유럽쪽에서는 영국,루마니아,
아시아쪽에서는 라오스,캄보디아 등과 비슷한 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고 봅니다.
아래글은 1~9위까지의 국가들과..아시아 주요국에 면적을 나타냈습니다.
1 러시아 연방 1,707,540 12.71, 2 카나다 997,061 7.42, 3 미국 962,909 7.17
4 중국 959,805 7.15 ,5 브라질 854,740 6.36 ,6 호주 774,122 5.76 ,7 인디아 328,726 2.45
8 아르헨티나 278,040 2.07 ,9 카자흐스탄 272,490 2.03,
61.일본 37,780 0.28, 65 베트남 33,169 0.25
66 말레이지아 32,975 0.25 9
98. 북한 12,054 0.09
109. 한국 9,926 0.07
2. 전 세계 229개 국가 중에 인구 보유 규모 59위 ( 매우 적음 )
-> 위에 글에는 분명히 59위로 적고 있습니다.
그러나 인구(FAO, FAOSTAT database(http://apps.fao.org))
남한의 인구는 약 4천800만으로 세계26위로 나타납니다.
한반도 전체의 총인구는 7000만 내외로 세계15위권 내외로 나타납니다.
유럽쪽에서는 프랑스,이탈리아,영국,스페인,등 보다 많게 나타나며 독일 보단 적게 나타난다. 아시아쪽에선 이란 등과 비슷한 인구규모를 나타내고 있죠.
아래는 1위~30위까지의 순위입니다.
1 중국 1,292,382 21.07 2.인디아 1,025,096 16.71 3 미국 285,926 4.66 4 인도네시아 214,840 3.50
5 브라질 172,559 2.81 6 파키스탄 144,971 2.36 7 러시아 연방 144,664 2.36
8 방글라데시 140,369 2.29 9 일본 127,335 2.08 10 나이지리아 116,929 1.91
11 멕시코 100,368 1.64 12 독일 82,007 1.34 13 베트남 79,175 1.29 14 필리핀 77,131 1.26
15 이란 71,369 1.16 16 이집트 69,080 1.13 17 터키 67,632 1.10 18 이디오피아 64,459 1.05
19 태국 63,584 1.04 20 영국 59,762 0.97 21 프랑스 59,453 0.97 22 이탈리아 57,503 0.94
23 콩고 민주공화국 52,522 0.86 24 우크라이나 49,112 0.80 25 미얀마 48,364 0.79
26 한국 48,069 0.77 27 남아프리카 43,792 0.71 28 콜롬비아 42,803 0.70 29 스페인 39,921 0.65
30 폴란드 38,577 0.63 46 북한 24,428 0.37
3.대한민국 세계 경제 11위(2005 OECD 통계)
-> 세계 경제를 말씀하시는게 gdp수치라고 봅니다.
2004년 자료로 살펴보면 12위로 나타나는군요.
1.미국2.일본 3 독일 4 영국 5 프랑스 6 중국 7 이탈리아 8 캐나다 9 스페인
10 멕시코 11 인도 12 한국 13 브라질 14 네덜란드 15 호주 16 러시아 연방
4.대한민국 세계 군사력 15위(핵 무기 제외시 6위- 2003, 영국,rusi통계)
군사력만 생각한다면 현재 6~7위권으로 봅니다.
15위라는것은 한국위에 어떤 나라가 군사력에 우위를 점하고 있는지 궁금한 부분입니다.
한국 보다 상위에 국가는 미국 러시아 중국, 프랑스, 영국, 일본 정도로 보입니다.
핵무기가 있는 국가는 참고로 세계에서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인도, 파키스탄,
구소련 연방국가들) 정도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북한,이스라엘(미확인 핵보유 국가)
참고사항
군병력(IISS), The Military Balance
1 중국 2,310 - 2 미국 1,368 - 3 러시아 연방 977 - 4.인도 860- 5.북한 750- 6.한국 690 - 7.이집트 443 8.대만 370 - 9.독일 308 - 10.태국 306 - 11.인도네시아 297 - 12.프랑스 274 - 13.일본 240 -
14.영국 211 -
5.4세대 통신망 와이브로 전매 특허 국가
6.세계 반도체 생산률 1위
=> 다만 반도체도 d램 반도체 부분이지 플레쉬 메모리 분야나 다른 반도체 분야에서도 1위는 아닙니다.
7.세계 조선산업 1위
8.세계 철강 제조 산업 1위
=> 단순하게 철강 제조 산업 1위라는 주장은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철강 제조 생산량이겠죠.
기업별로 보면 현재 한국의 최고의 철강업체인 포항제철은 세계4위에 생산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세계각국의 철강 생산이란 통계는 벨기에 브뤼셀에 소재하고 있는 국제철강연구소(the International Iron and Steel Institute)에 의해 발표된 사실을 보져.
2006년 2월중의 10대 철강생산국은
1.중국(1970만톤, 전년동월 대비 31.5% 증가)
2. 일본(980만톤, 17.3% 감소)
3. 미국(740만톤, 0.5% 감소)
4. 러시아(490만톤, 10.6% 증가)
5. 한국(380만톤, 13.3% 증가)
6. 독일(360만톤, 2.1% 증가)
7. 인도(270만톤, 9.4% 증가)
8. 브라질(250만톤, 9.2% 증가),
9. 이탈리아(190만톤, 10.5% 감소) 등입니다.
위에서 살펴보면 세계 5~7위권으로 나타납니다.
9.세계 컴퓨터 보급률 1위
10.세계 초고속 통신망 보급률 1위
11. 세계 디지털기회지수 1위
12.세계 학교 정보화 시설 1위
13.세계 금 세공기술 1위
=> 각국마다 세공하는 기술은 다르다고 봅니다. 각국의 자원에 대한 산업의 특수성이라는 측면도 생각해야 한다고 봅니다. 단순히 금 세공기술 1위라는 것의 기준이 무엇이고 어느 기관의 발표인지 궁금합니다.
14.세계 단일 원자력 발전소 이용율 1위
=> 세계 단일 원자력 발전소 이용률?무슨의미인지 알수가 없군요.
원자력 발전소의 발전량을 말하는 것입니까?한국의 원자로 수와 발전량이 세계 6위권으로 나타납니다.
세계원자력기구(IAEA)에서 발표한 '2004 세계원자력 발전소 현황' 발표에는 한국은 19개의 가동 중인 원자로를 보유,미국 프랑스 일본 러시아 영국에 세계 6위로 나타납니다.
참고로 현재 전세계 32개국에서 4백42개 원자로가 가동되고 있으며 이중 미국이 23.7%인 1백4개,프랑스가 13.3%인 59개,일본이 12.2%인 54개를 각각 보유하고 있습니다.
15.세계pc 온라인 게임 시장 점유율 2위
=>단순한 생각에서 1위 미국?2위 한국?다른 시장은?
세계시장에서 보면 pc 온라인 게임의 비중은 매우적은 사실을 보고 싶습니다. 사실적으로 게임시장은 비디오, 아케이드 시장이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봐야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있습니다.
16.세계 범죄 검거율 2위
=>1위는 어떤나라인가 궁금하군요. 각국의 법제도에 대해서도 판단의 근거가 희미하다고 생각합니다.
17.세계 화폐 제조 기술 2위
=>화폐제조 기술에도 순위가 있는지?그렇다면 유로화의 개념은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지?
이해가 안되는 부분입니다.
=>12~17번 까지의 글들은 몇가지 기본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비교기준을 생각해봤습니다.물론 저의 의견 역시 애매하다고 봅니다.
18.세계 LCD 생산 산업 2위
19.세계 휴대폰 시장점유율 2위
=> 휴대폰 분야는 다국적 기업의 시장 점유율에서 생각하고 싶지 국가의 점유율은 의미가 떨어진다고 봅니다. 월스트리트 저널(WSJ)가 발표한 2004년 2분기 시장점유율입니다.
1위, 노키아 37.2%
2위, 모토로라 17.3%
3위, 삼성전자 9.8%
4위, 독일 지멘스 8.5%
5위, 일본 소니에릭슨 모바일커뮤니케이션 5.2%
참고로 1 - 5위까지 세계 시장점유율은 78%입니다.
20.세계 건설 산업 규모 3위,
=> 건설 수주량을 말씀하시는건가요?
국내 건설산업의 규모만 놓고 본다면..세계3위라는 이론은 상식에서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어떤 기관에 발표에 근거해서 그러한 주장을 하는지 이해할수 없는 부분입니다.
건설에도 수주량을 비롯한 여러가지 분야가 있다고 봅니다.
21.세계 자동차 생산규모 3위,
=>이부분도 오류가 있습니다.
2005년도 한국의 세계 자동차 생산규모는 3위가 아닌 5위로 나타납니다.
1위 미국 1194만 7000대
2위 일본 1078만대
3위 독일 575만 7000대
4위 중국 570만 8000대
5위 한국 369만 9000대
6위 프랑스 349만 5000대
7위 스페인 275만 3000대
8위 캐나다 268만 8000대
9위 브라질 244만 8000대
10위 영국 180만 2000대
22.1m급 인공위성 6개 보유국 중 한 곳.
23.외환보유액 (천칠백억달러) 세계4위
=> 외환 보유에 있어서는 무조건 많다고 좋은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많은 양의 외환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는 아시아에 한정되어 있고 금융부분의 개혁의 약한 국가에 한정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중국의 외환보유액(홍콩 제외)이 2월 말 기준 8537억 달러로 일본의 8501억 달러에 비해 36억 달러 앞섰다고 전했다.
1월 말에는 중국(8452억 달러)이 일본(8517억 달러)보다 65억 달러 적었던 사실이 존재합니다.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2000년 이후 급격히 늘었고 2001년 말에는 2122억 달러였으나, 2003년 4033억 달러, 2005년 8189억 달러에 달했다. 불과 4년2개월 만에 4배 이상 증가한 것은 주목할 만한 사실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단순하게만 본다면 우리보다 경제규모가 작은 대만 보다도 적은 액수에 외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4.세계 119서비스 화재진압 및 응급환자 이송등 수준 세계 순위권
=> 이부분에 정의도 세계적으로 객관적인 판단의 기준의 있을까?라는 생각이 있군요.
단순히 순위권이라는 것만 같고는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봅니다.
25.세계 저축률 8위
26.세계229개중 10대채권국
27.국가신용등급 A등급
=> 단순히 a등급이 아니고 a등급에 어떤 나라들이 있고 어느정도의 수준인지가 중요하지 않나?생각해봅니다.참고로 무디스사의 한국신용등급은 99년이전의 a등급이었으나...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이 최근에야 제자리를 찾았습니다.
그리고 2005년 중국도 한국과 같은 a등급에 선정되었습니다.
한국의 신용등급 변화과정
1999. 01. 12 BBB-
1999. 11. 11 BBB
2001. 11. 13 BBB+
2002. 07. 24 A-
2005. 07. 27 A
이렇게 IMF이후 급락했던 한국의 국가 신용도가 최근에야 제자리로 회복되었습니다.
28.자체 군수물자 생산 17개 국 중 한 곳.
29.세계 국방비 투자 수준 8위 (년간 20조원)
=>세계 기준 국방비(IISS), The Military Balance
1 미국 3,224 - 2 러시아 연방 637 - 3 중국 460 - 4 일본 395 - 5 영국 347 - 6 프랑스 329 - 7 독일 269 8 사우디아라비아 243 - 9 한국 119 -
30.독일국방연구소 통계 대한민국 육군3위 공군8위 해군14위
31.K1탱크 공격 수준 독일의 레오파트 2에 이은 2위.
32.세계 시장 50% 이상 점유 중인 물품 갯수 270개.(전자렌지용 고압콘덴서, 단일 에어콘 점유율, 자기 테이프, 스키장갑, 오토바이 헬멧, 손톱깎기, 텐트, 낚싯대, 냉동 컨테이너)
=> 다른국가의 상황은 어떻게 나타납니까?그것이 궁금하군요.
33.세계 특허 시장 점유율 7위.
34.대미 무역수지 흑자국.
=>이부분에 있어서는 미국은 한국을 제외하고도 세계 각국의 대부분의 나라가 흑자를 내고 있다고 생각하고 흑자국이라는 것만 보고 대단하다.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35 아름다운도시 10위에 뽑힌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
36.세계 정치 부폐율 89위
=> 부패율이 세계 89위인것은 좋은 수준은 아니라고 봅니다.
37.2002년 월드컵 4강.
38. 229개국중 스포츠 10위권국가
39.2004년 아테네 올림픽 9위.
40.태권도,양국,쇼트르랙 부분 독점
=> 분명 스포츠 각 분야에서의 활약은 아시아에서 중국을 제외하고는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45.세계 5번째 고속철도 보유국
=> 프랑스, 일본, 독일. 한국, 대만(최근에 완공)
46.세계적 초고층 빌딩 두바이 건설 국가
47.강원도 대관령 목장 동양 최대
48.세계 수출 2,000억 달러 진입
49.세계 3위 규모의 인천 국제공항
=>이부분은 이것을 근거로 적고 있다고 봅니다.
항공업계 전문컨설팅업체인 영국의 스카이트랙스는 올해의 최고공항을 선정해 발표했다.
스카이트랙스는 세계의 주요공항 이용객을 대상으로 ‘월드 베스트 공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홍콩국제공항2.싱가포르창이공항 3. 인천공항4.독일 뮌헨공항5.오사카 간사이 공항
6.아랍에미레이트 두바이공항7.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공항8.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
9. 덴마크 코펜하겐 공항10. 시드니 국제공항
이는 지난해 4위에서 한 단계 오른 순위로 세계적 수준의 공항으로 한걸음 올랐다.
홍콩국제공항(첵랍콕)은 5년 연속 1위 자리를 지켰다
50. 월드컵 개최국
60. 올림픽 개최국
=>현재 하계 올림픽과 월드컵을 모두 개최한 나라는 이탈리아 미국 영국 프랑스 스페인 일본 독일 ,멕시코 정도의 8개 나라입니다 .
여기에 한국을 포함해서 9개국가가 된다는 것은 정말 대단하다고 봅니다.
61.문맹률 1% 세계 최고 수준.
62.세계 자살률 47위
=>자살율에 관해서는 99년 자료가 아닌 2005년 oecd 자살율 통계에서 26.1명으로 oecd가입국 1위로 나타난것이 최근에 문제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분명 95년 11.6명에서 2005년에는 26.1명으로 증가한 것은 사회제도적인 문제가 있지 않나 생각해보고 싶습니다.
다만 인구 10만명당 자살율에 있어서 47위이다. 라는 기록은 어디에 근거한 것인지..궁금합니다.
63. 세계 교통사고 발생률 35위
=> 위에 적고 계신 한국이 세계 교통사고 발생률 35위라는 기록은 개인적으로 어디에서도 찾지 못했습니다. 어떤 자료를 근거로 글을 적고 계신건지..궁금하네요.
2003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자동차 1만대당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137건으로 OECD 회원국 중 1위를 차지했고 한국은 도로 1㎞ 당 사고 건수에서도 2.5건으로 2위 0.9건인 터키를 큰 차로 앞서며 1위에 올랐고, 인구 10만명 당 교통사고 사망자도 22.7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당신이 적고 있는 것과 같이 세계각국의 교통사고 발생율을 조사하는 기관이 한국을 37위로 발표한 사실이 있는지 궁금한 분입니다.
분명 세계1위는 이제 아니지만 세계 10위권 안이라고 상식에서 알고 있는 부분입니다.
참고사항
2004)WHO보고서에서는, 인구 10만명당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비율을 집계하여 발표
1위- 모리셔스(아프리카 섬나라) 43.9명
2위- 엘살바도르(북중미의 소국) 42.2명
3위- 도미니카 공화국(북중미의 소국)
4위- 라트비아 (동유럽국가 구소련 연방)
5워- 브라질(24.9명)
6위- 베네수엘라, 한국 22.7명
11위- 대만(20.9명)
64.1950대 당시 국민 1인당 소득 67달러 - 세계에서 120번째 가난한 국가
2006년 현재 국민 1인당 소득 15000달러 - 세계 10위권 경제 국가
끈기와 노력과 근성으로 '한강의 기적'을 이뤄낸 국가. 대한민국
65.가장 중요한 사실
자신의 국가가 세계적인 군사,경제 강국임을 자각하지 못하고 늘 선진국
을 본받자고 분발하는 발전적인 국가. 대한민국.
=>세계속에서 한국이 아직 실질적 강국이라 하기에는 너무 미흡한 점이 많다고 봅니다.
분명 자국에 대한 애국심은 필요하지만 지나친 국가 우상주의는 경계해야 하지 않나?생각합니다.
그리고 아직 일부 산업의 경제적인 부분을 제외하고는 복지, 금융, 사회 각분야에서 선진국에 접근하지 못했다고 봅니다. 더욱 선진국을 연구하는 태도는 필요한 시점이고 산업 각분야에서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는 부분에서 오히려 공격적으로 앞서 가야 된다는 생각입니다.
66.우리 대한민국 역사는 300만 수군으로부터 영토를 지켜내었으며, 전 세계를 지배한 '원'으로 부터 국호를 수호하여 5천년 찬란한 역사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67.우리 민족의 기상은 언제나 높고 강직하며 넓은 안목으로 세상을 바라보면서도 예의를 잊지 않는 그런 위대한 국가였습니다. 이러한 역사를 바탕으로 67달러에서 1만5천달러까지 20여년만에 이뤄낸 세계 유일의 기적같은 국가, 바로 우리가 사는 대한민국 입니다.
이제 대한민국은 '선진국'이라고 해도 손색없을 위치에 올라섰습니다.
이젠 우리 모두 대한민국 국민임에 자부와 긍지를 가지고 발전적인 대한민국을 위하여 노력 합시다.>
=>66.67번 글은 대부분 같은 생각입니다.
다만 몇가지 생각하면 300만 수군을 말씀하시는 것은 고구려, 수나라의 전쟁을 말씀하시는 겁니까?
참고로 근래에 있었던 중국 내전에서도 300만의 가까운 병사를 동원한 전쟁이 있었는지...
기억이 안나는군요.
수나라가 동원한 군대는 300만이 아닌 삼국사기와 중국의 정사에서 보면 정규군만 해서 약 113만으로 나타납니다. 참고로 근래에 방영된 역사스페셜에서는 132만이라고 나왔던 기억이 있습니다.
참고로 을지문덕 장군의 살수대첩에서는 30만의 대군입니다.
그리고 고려시대..즉 원의 간섭기에는 충선왕, 충렬왕,등의 왕의 시호에서 나타나듯이 앞에 충자는 충성을 다하겠다.라는 부분에서 생각하면 자주성, 독자성을 잃어버린 사실상에 보호국 체제였다는 생각이 있습니다.
한가지 더 하면 지금은 민족을 강조하고 우리는 위대한 나라다. 자부와 긍지를 같고 대한민국 발전에 이바지 하자는 것 보단 사회 각분야에서 빈부의 차나 정부조직의 비효율성 등을 국민 각자의 위치에서 옳바르게 지적하고 모든 국민의 평등하게 일할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과 개인의 자유와 민주화가 보장되는 사회를 더욱 굳건히 만들어 나가야 되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분명 민족이나 위대한 국가 보다 이나라의 각각의 국민을 강조하고 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
첫댓글 심천재다
러시아가 외화가 저렇게 많어?? 근데 어떻게 우리나라 돈은 못 갚는거지???
우리나라의 부채는;; 일시불이 아닌것도 많습니다. 그리고 한번에 다 줘버리면; 급히 써야 할 일이 생길때 주지 못하면 나라 자체가 망해버립니다. 더구나 외화는 나라의 것이 아닌 일반사람들도 쓰는것입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위에는 각국에서 생산되는 자동차 생산개념에 대해서 먼저 생각합니다. 우선적으로 한국이 세계3위가 아닌 세계5위라는 것을 지적하는데 그치고 있다. 또한 중국? 자동차 산업은 현재 각국의 기업에서 중국과 합작하에서 중국내에서 생산되는 것들이다. 그러한 부분에서 세계 자동차 생산량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지 중국 자체 기술은 다른 차원에 문제다. 또한 중국의 철강 분야에 있어서는 정부차원에 대규모 투자에 의해서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는 사실이 있고 현재 철강 생산량에서 미국을 앞서는 부분이 있다. 당신처럼 전혀 다른 차원에 문제를 대입하거나 이해할수 없는 공격을 하거나 반박을 당할 소재는 아니라고 봅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당신의 논리는 그렇다면 원자력 발전의 이용률이 수력, 원자력,화력 중에 가장 비중이 많은 것이 한국이라는 것인가? 슬그머니 넘어간다니 이해가 안된다. 무슨 소리인지?이해가 되게 이야기 해주시길...
삭제된 댓글 입니다.
위에 글에는 정확하게 외환의 보유는 무조건 많다고 좋은 것은 아니며 극도로 많은 외환의 보유액은 금융부분에 문제가 있는 국가에 한정되어 있다.라고 하고 있습니다. 이해가 안되는 군요.글을 제대로 읽고 이야기 하시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반박~!!! 곽광--->각광...^^;;;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플레쉬 메모리 분야 세계1위이다.라는 자료부탁합니다. 그리고 cmos,디스플레이 구동칩에 있어서는 적고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지적하는 것은 한국이 전세계 모든 반도체 1위이다.라는 것에 대해서 입니다. 무슨 소리하는건지..도대체....
삭제된 댓글 입니다.
2004년 정확히 12위입니다. 저는 2004년 자료를 근거로 적고 있고 위에 글에도 그렇게 적고 있습니다. 억지로 낮춘다는 것은 지나친 해석으로 보이며 2005년도 기준으로 10위를 기록한거 정확하게 알고 있습니다. 본글을 적으신 분에게도 오류가 있다. 라는 지적은 전혀 없습니다. 참고로 저도 10위라고 알고 있습니다. 윗글은 10위권 국가들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었고 한국을 낮추는데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닙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전혀 반박이라고 할께 없군요.귀찮으시더라도 글을 제대로 읽고 대답하시길....
17.세계 화폐 제조 기술 2위 =>화폐제조 기술에도 순위가 있는지?그렇다면 유로화의 개념은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지? 화폐제조기술은 아마도 동전이나 지폐를 만드는것이라고 봅니다 -_-;;티비에서 봤는데 아직 세공되지 않은 동전 같은건 우리나라가 세계로 수출하더군요. 그 양도 엄청나고 수출하는 나라도 많습니다. 또한 위조방지같은 기술같은걸 말하는것 같네요-_-;; 유로화가 왜 나오는지...?
저도 유로화의 개념이 왜나오는지 이해불가네요. 유럽통합 화폐의 개념인 유로화와 한국의 화폐제조기술과 뭔상관이 있길래. ㅋㅋ 그리고, 화폐제조기술은 저도 뉴스에서 본 기억이 나네요. 위조방지기술이라든가, 종이의 질감이라든가. 사실 우리나라 지폐는 종이가 아니라 패브릭이라고 하더군요.
세계 화폐제조 기술 2위라는 것이? 어느 외국기관에 발표입니까? 저는 본질적으로 그것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어디 자료입니까? 근거자료부탁하고 세계 화폐제조 기술의 순위를 객관적으로 점수를 매기고 발표하는 기관이 어떤 기관인지 궁금해서 적은 부분입니다. 세계은행입니까?
천재심이 아니라 바보심 !!!
아까운 시간내어 이런 엉터리 반박글이나 만드는 사람은 한국인이 아니겠죠?
그러게요. 자학사관에 빠져 허우적대는 한국인이 아닌 이상.... 한국어공부 좀 '했다' 하는 조선족이나 화교, 일본인이 아닐까.
엉터리라고 할것이 전혀 없고 일본인이 아니고 참고로 전혀 자학사관 없습니다. 좋은 것은 좋다.라고 생각하고 무언가 다시 한번 생각해볼만 하다.라는 것에 대해서 의견을 적고 있는데 그치고 있습니다. 즉 한국 비하의 글 의도가 아니며 당신들 처럼 인신공격에 목적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명확하게 아닌 것도 있을수 있으므로 다시 한번 생각해보자.라는 부분에서 접근이며 내주장만 옳다.정의이다.라는 것도 없습니다. 틀릴수도 있고 의견이 다를수도 있고 서로 다시 생각해서 좋은 방향으로 가자.라는 것이죠.
이런글이 결코 나빠보이지 않는데요. 오히려 좋와보이는데, 한국을 깍가내린것도 아니고, 단지 좀더 객관적으로 보자는 의미 같은데요.
글내용상에.. 기준이 된 해가 나와있는데.. 제대로 보지도 않고 몇몇댓글 지나치게 반응하는거 아닌지..
윗글을 제대로 읽어보신다면, 까칠한 댓글을 달만한 글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까칠하다.,; 올린 사람이 불쌍하잖아.,;
천재심...대단하네요...잘 보고 가요~
글케 하나하나 따질껀 아니라고 보는데요...;;그냥 아..우리나라가 이만큼 발전했구나...어느정도 자부심을 가지고 앞으로 더 잘살아보자 일케 생각하고 넘어 가면 좋을텐데...뭐가 3위인지 5위인지 글케 중요하심..ㅋㅋ
위에서 다른건 모르겠고, 화폐제조 기술은 꽤 알아주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화폐수출도 많이 하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물론 그나라에서 수주를 받는게 겠죠) 의외로 화폐인쇄기술이 고급기술이라더군요. 복사방지 기술등등으로요. 하여간 이건 제가 언젠가 tv에서본 어줍잖은 지식.ㅡㅡ
천재심님 단순 테클이 아니라. 더 객관적으로 우리의 현실을 보고 더욱 발전하자 이말이시죠?
딴건 모르겠고 낸드 플레쉬에서 반박 하자면 Kbench.com에서 이런 기사가 있네요... 낸드는 삼성 말고도 하이닉스까지 있으니 .... 플래쉬 메모리 시장에서 낸드(NAND) 플래쉬 메모리 매출 규모가 작년 106억 달러로 64% 고성장한 반면, 노어(NOR) 플래쉬 메모리의 경우 80억 달러로 13% 하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장 조사 기관인 IC 인사이츠의 조사에 의하면 2005년 전체 플래쉬 메모리 매출은 19% 상승한 186억 달러였다. 플래쉬 메모리 부분에서 삼성은 여전히 선두 업체를 차지하며 매출은 47% 성장한 66억 달러로 전체 시장의 35%를 차지했다. 특히 애플이 삼성의 플래쉬 메모리를 아이팟 나노용으로 구매함에 따라서 삼성의 작년
하반기 매출 성장에 불을 붙였다. 2위는 도시바로 13%성장한 25억 달러였으나 시장 점유율은 1 포인트 떨어진 13%를 기록했다. 전체적으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업체는 하이닉스로 매출 규모가 2004년대비 무려 6배 가량 성장한 12.6억 달러를 달성했다.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16&article_id=0000219980§ion_id=101&menu_id=101 요기로 가시면 삼성이 비메모리 분야 반도체 1위하고 있는 제품이 3개라고 나오네요... 그리고 Cmos와 SoC는 내년에 1위 등극을 노린다라고 나오네요....
그리고 공항 이야기는 딴 조사에서는 5위라는것도 있습니다. http://cafe.naver.com/alllovejeju.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685 여기 보시면 되겠네요 별다른 뜻은 없구요 이왕 반박하고 그러는거 조금이나마 정확한게 좋지 않겠어요??
천재심님 고생하셨는데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동감1표~
우리나라 경제 13위인거같던데 두달전인가..브라질하테 추월당햇어요...
위에 어느분이 쓰셨듯 우리나라가 대충 이정도구나라고 알고 지내면 될자료들을 넘흐 따져서 천재심씨 자료의 해박함에는 인정을 하지만 사람사는 사회의 일원으로써의 동질성 내지는 자격면에서 미달같아보입니다. 어딜가나 꼬치꼬치 따져서 훼방놓는 그런사람수준의 글로 밖에는 보이질 않습니다. 기분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 하지만 당신으로 인하여 내마음이 상한것도 헤아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