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한류열풍 사랑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ㆍ외국에서 본 한국/국제 Re:순위로 본 우리나라????
chun jae shim 추천 0 조회 2,096 06.09.21 05:09 댓글 3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6.09.21 08:00

    첫댓글 심천재다

  • 06.09.21 09:30

    러시아가 외화가 저렇게 많어?? 근데 어떻게 우리나라 돈은 못 갚는거지???

  • 06.09.21 18:26

    우리나라의 부채는;; 일시불이 아닌것도 많습니다. 그리고 한번에 다 줘버리면; 급히 써야 할 일이 생길때 주지 못하면 나라 자체가 망해버립니다. 더구나 외화는 나라의 것이 아닌 일반사람들도 쓰는것입니다.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작성자 06.09.21 19:51

    위에는 각국에서 생산되는 자동차 생산개념에 대해서 먼저 생각합니다. 우선적으로 한국이 세계3위가 아닌 세계5위라는 것을 지적하는데 그치고 있다. 또한 중국? 자동차 산업은 현재 각국의 기업에서 중국과 합작하에서 중국내에서 생산되는 것들이다. 그러한 부분에서 세계 자동차 생산량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지 중국 자체 기술은 다른 차원에 문제다. 또한 중국의 철강 분야에 있어서는 정부차원에 대규모 투자에 의해서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는 사실이 있고 현재 철강 생산량에서 미국을 앞서는 부분이 있다. 당신처럼 전혀 다른 차원에 문제를 대입하거나 이해할수 없는 공격을 하거나 반박을 당할 소재는 아니라고 봅니다.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작성자 06.09.21 19:53

    당신의 논리는 그렇다면 원자력 발전의 이용률이 수력, 원자력,화력 중에 가장 비중이 많은 것이 한국이라는 것인가? 슬그머니 넘어간다니 이해가 안된다. 무슨 소리인지?이해가 되게 이야기 해주시길...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작성자 06.09.21 19:22

    위에 글에는 정확하게 외환의 보유는 무조건 많다고 좋은 것은 아니며 극도로 많은 외환의 보유액은 금융부분에 문제가 있는 국가에 한정되어 있다.라고 하고 있습니다. 이해가 안되는 군요.글을 제대로 읽고 이야기 하시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06.09.21 11:38

    반박~!!! 곽광--->각광...^^;;;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 작성자 06.09.21 19:54

    플레쉬 메모리 분야 세계1위이다.라는 자료부탁합니다. 그리고 cmos,디스플레이 구동칩에 있어서는 적고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지적하는 것은 한국이 전세계 모든 반도체 1위이다.라는 것에 대해서 입니다. 무슨 소리하는건지..도대체....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작성자 06.09.21 19:24

    2004년 정확히 12위입니다. 저는 2004년 자료를 근거로 적고 있고 위에 글에도 그렇게 적고 있습니다. 억지로 낮춘다는 것은 지나친 해석으로 보이며 2005년도 기준으로 10위를 기록한거 정확하게 알고 있습니다. 본글을 적으신 분에게도 오류가 있다. 라는 지적은 전혀 없습니다. 참고로 저도 10위라고 알고 있습니다. 윗글은 10위권 국가들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었고 한국을 낮추는데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닙니다.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작성자 06.09.21 19:31

    전혀 반박이라고 할께 없군요.귀찮으시더라도 글을 제대로 읽고 대답하시길....

  • 06.09.21 12:17

    17.세계 화폐 제조 기술 2위 =>화폐제조 기술에도 순위가 있는지?그렇다면 유로화의 개념은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지? 화폐제조기술은 아마도 동전이나 지폐를 만드는것이라고 봅니다 -_-;;티비에서 봤는데 아직 세공되지 않은 동전 같은건 우리나라가 세계로 수출하더군요. 그 양도 엄청나고 수출하는 나라도 많습니다. 또한 위조방지같은 기술같은걸 말하는것 같네요-_-;; 유로화가 왜 나오는지...?

  • 06.09.21 14:58

    저도 유로화의 개념이 왜나오는지 이해불가네요. 유럽통합 화폐의 개념인 유로화와 한국의 화폐제조기술과 뭔상관이 있길래. ㅋㅋ 그리고, 화폐제조기술은 저도 뉴스에서 본 기억이 나네요. 위조방지기술이라든가, 종이의 질감이라든가. 사실 우리나라 지폐는 종이가 아니라 패브릭이라고 하더군요.

  • 작성자 06.09.21 19:47

    세계 화폐제조 기술 2위라는 것이? 어느 외국기관에 발표입니까? 저는 본질적으로 그것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어디 자료입니까? 근거자료부탁하고 세계 화폐제조 기술의 순위를 객관적으로 점수를 매기고 발표하는 기관이 어떤 기관인지 궁금해서 적은 부분입니다. 세계은행입니까?

  • 06.09.21 12:59

    천재심이 아니라 바보심 !!!

  • 06.09.21 13:32

    아까운 시간내어 이런 엉터리 반박글이나 만드는 사람은 한국인이 아니겠죠?

  • 06.09.21 14:55

    그러게요. 자학사관에 빠져 허우적대는 한국인이 아닌 이상.... 한국어공부 좀 '했다' 하는 조선족이나 화교, 일본인이 아닐까.

  • 작성자 06.09.21 19:48

    엉터리라고 할것이 전혀 없고 일본인이 아니고 참고로 전혀 자학사관 없습니다. 좋은 것은 좋다.라고 생각하고 무언가 다시 한번 생각해볼만 하다.라는 것에 대해서 의견을 적고 있는데 그치고 있습니다. 즉 한국 비하의 글 의도가 아니며 당신들 처럼 인신공격에 목적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명확하게 아닌 것도 있을수 있으므로 다시 한번 생각해보자.라는 부분에서 접근이며 내주장만 옳다.정의이다.라는 것도 없습니다. 틀릴수도 있고 의견이 다를수도 있고 서로 다시 생각해서 좋은 방향으로 가자.라는 것이죠.

  • 06.09.21 23:24

    이런글이 결코 나빠보이지 않는데요. 오히려 좋와보이는데, 한국을 깍가내린것도 아니고, 단지 좀더 객관적으로 보자는 의미 같은데요.

  • 06.09.21 19:35

    글내용상에.. 기준이 된 해가 나와있는데.. 제대로 보지도 않고 몇몇댓글 지나치게 반응하는거 아닌지..

  • 06.09.21 21:00

    윗글을 제대로 읽어보신다면, 까칠한 댓글을 달만한 글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 06.09.21 22:16

    까칠하다.,; 올린 사람이 불쌍하잖아.,;

  • 06.09.21 22:29

    천재심...대단하네요...잘 보고 가요~

  • 06.09.21 22:51

    글케 하나하나 따질껀 아니라고 보는데요...;;그냥 아..우리나라가 이만큼 발전했구나...어느정도 자부심을 가지고 앞으로 더 잘살아보자 일케 생각하고 넘어 가면 좋을텐데...뭐가 3위인지 5위인지 글케 중요하심..ㅋㅋ

  • 06.09.21 23:22

    위에서 다른건 모르겠고, 화폐제조 기술은 꽤 알아주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화폐수출도 많이 하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물론 그나라에서 수주를 받는게 겠죠) 의외로 화폐인쇄기술이 고급기술이라더군요. 복사방지 기술등등으로요. 하여간 이건 제가 언젠가 tv에서본 어줍잖은 지식.ㅡㅡ

  • 06.09.21 23:53

    천재심님 단순 테클이 아니라. 더 객관적으로 우리의 현실을 보고 더욱 발전하자 이말이시죠?

  • 06.09.22 08:11

    딴건 모르겠고 낸드 플레쉬에서 반박 하자면 Kbench.com에서 이런 기사가 있네요... 낸드는 삼성 말고도 하이닉스까지 있으니 .... 플래쉬 메모리 시장에서 낸드(NAND) 플래쉬 메모리 매출 규모가 작년 106억 달러로 64% 고성장한 반면, 노어(NOR) 플래쉬 메모리의 경우 80억 달러로 13% 하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장 조사 기관인 IC 인사이츠의 조사에 의하면 2005년 전체 플래쉬 메모리 매출은 19% 상승한 186억 달러였다. 플래쉬 메모리 부분에서 삼성은 여전히 선두 업체를 차지하며 매출은 47% 성장한 66억 달러로 전체 시장의 35%를 차지했다. 특히 애플이 삼성의 플래쉬 메모리를 아이팟 나노용으로 구매함에 따라서 삼성의 작년

  • 06.09.22 08:11

    하반기 매출 성장에 불을 붙였다. 2위는 도시바로 13%성장한 25억 달러였으나 시장 점유율은 1 포인트 떨어진 13%를 기록했다. 전체적으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업체는 하이닉스로 매출 규모가 2004년대비 무려 6배 가량 성장한 12.6억 달러를 달성했다.

  • 06.09.22 08:19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16&article_id=0000219980§ion_id=101&menu_id=101 요기로 가시면 삼성이 비메모리 분야 반도체 1위하고 있는 제품이 3개라고 나오네요... 그리고 Cmos와 SoC는 내년에 1위 등극을 노린다라고 나오네요....

  • 06.09.22 08:24

    그리고 공항 이야기는 딴 조사에서는 5위라는것도 있습니다. http://cafe.naver.com/alllovejeju.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685 여기 보시면 되겠네요 별다른 뜻은 없구요 이왕 반박하고 그러는거 조금이나마 정확한게 좋지 않겠어요??

  • 천재심님 고생하셨는데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 06.09.22 21:11

    동감1표~

  • 06.09.24 14:33

    우리나라 경제 13위인거같던데 두달전인가..브라질하테 추월당햇어요...

  • 06.09.28 01:42

    위에 어느분이 쓰셨듯 우리나라가 대충 이정도구나라고 알고 지내면 될자료들을 넘흐 따져서 천재심씨 자료의 해박함에는 인정을 하지만 사람사는 사회의 일원으로써의 동질성 내지는 자격면에서 미달같아보입니다. 어딜가나 꼬치꼬치 따져서 훼방놓는 그런사람수준의 글로 밖에는 보이질 않습니다. 기분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 하지만 당신으로 인하여 내마음이 상한것도 헤아려주세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