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 제기(反求 諸己)
反 : 돌이킬 반, 求 : 구할 구, 諸 : 모두 제, 己 : 몸 기
(잘못을 자신에게서 찾는다 / 남을 탓하기보다 자신을 반성함)
맹자(孟子)의 호연지기(浩然之氣)는 담대한 기상이다.
비굴하지 않으며 스스로의 잘못을 인정하는 떳떳함이다.
남을 탓하기 앞서 스스로를 돌아보는 용기다.
맹자 공손추 편(公孫丑 篇)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어진 자는 활 쏘는 사람과 같다. 활을 쏘는 사람은 자신을 바르게 한 뒤에 활을 당기는데,
쏘아서 적중하지 못하면 ‘나를 이긴 자를 원망하지 않고 오히려 나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는다.
(不遠勝己者 反求諸己而己 불원승기자 반구제기이기)”
반구제기(反求諸己)는 ’되레 자기에게서 허물을 찾는다 “는 뜻으로,
일이 잘못되면 남을 탓하지 않고 스스로를 돌아본다는 의미다.
”내가 남을 사랑하는데 그가 나를 친애하지 않으면 내 사랑이 부족한지 돌아봐야 하고,
사람을 다스리는데 다스려지지 않으면 내 지혜가 부족한지 돌아봐야 하고,
남에게 예(禮)를 다했음에도 그가 내게 예(禮)로 답하지 않으면 내 공경에 부족함이 없는지
돌아봐야 한다“는 말도 함의(含意)가 같다.
공자는 ”군자는 허물을 자신에게서 구하고, 소인은 허물을 남에게서 구한다
(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고 했다.
공자 말에 비춰보면 ‘자기 집 두레박 줄이 짧은 것은 탓하지 않고, 다른 집 우물이 깊다고 한숨
짓는다’는 명심보감의 구절은 딱 소인을 빗 덴 말이다.
동서양 황금 율의 공통분모는 ‘내 탓’이다.
신약 성서는 ‘그러므로 무엇이든지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이것이 율법이요, 선지자니라”는 예수의 말은 남을 대함에 스스로를 먼저 살피라는 뜻이다.
이는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은 남에게도 하게 하지 마라(己所不欲 勿施於人 기소불욕 물시어인)“는
공자의 말과 뜻이 서로 맞닿는다.
잘 되면 내 덕이고 못 되면 조상 탓이라고 했다.
둘러보면 세상 천지가 핑곗거리다.
군자는 안을 살피고, 소인은 밖을 기웃댄다.
네 탓과 내 탓, 글자 하나 차이지만 둘 사이 거리가 아주 멀다.
안이 밝아야 밖이 빛난다.
출처 : 맹자(孟子)
<작금의 정치 현실을 보면서 '내 탓'이오 해야 한다는 마음이 앞서 이 글을 옮깁니다.
~~~~~~~~~~~~~~~~~~~~~~~~~~~~~~~~~~~~~~~~~~~~~~~~~~~~~~~~~~~~
故 김수환 추기경의 10가지 인생 명언
김광제(31기)
1. 말 : 말을 많이 하면 필요 없는 말이 나온다. 양 귀로 많이 들으며 입은 3번 생각하라.
2. 책 : 수입의 1%를 책을 사는 데 투자하라. 옷이 해어지면 입을 수 없어 버리지만
책은 시간이 지나도 위대한 진가를 품고 있다.
3. 노점상 : 노점상에서 물건을 살 때 깎지 말라.
그냥 돈을 주면 나태함을 키우지만 부르는 대로 주고 사면 희망과 건강을 선물하는 것이다.
4. 웃음 : 웃는 연습을 생활화하라. 웃음은 만병의 예방 약이며 치료 약이며 노인을 젊게 하고
젊은이를 동자(童子)로 만든다.
5. TV는 바보상자 : 텔레비전과 많은 시간을 동거하지 말라. 술에 취하면 정신을 잃고 마약에 취하면 이성을
잃지만 텔레비전에 취하면 모든 게 마비된 바보가 된다.
6. 성냄 : 화내는 사람이 언제나 손해를 본다.
화내는 사람은 자기를 죽이고 남을 죽이며 아무도 가깝게 오지 않아서 늘 외롭고 쓸쓸하다.
7. 기도 : 기도는 녹슨 쇳덩이도 녹이며, 천 년 암흑 동굴의 어둠을 없애는 한줄기 빛이다.
주먹을 불끈 쥐기보다 두 손을 모으고 기도하는 자가 더 강하다.
기도는 자성을 찾게 하며 만생(萬生)을 유익하게 하는 묘약이다.
8. 이웃 : 이웃과 절대로 등지지 말라. 이웃은 나의 모습을 비추어 보는 큰 거울이다.
이웃이 나를 마주할 때 외면하거나 미소를 보내지 않으면 목욕하고 바르게 앉아
자신을 곰곰이 도 돌아봐야 한다.
9. 사랑 : 머리와 입으로 하는 사랑에는 향기가 없다. 진정한 사랑은 이해, 포용, 동화, 자기를 낮춤이 선행된다.
"사랑은 머리에서 가슴에서 내려오는데 70년 걸렸다.”
10. 멈춤 : 가끔은 칠흑 같은 어두운 방에서 자신을 바라보라.
마음의 눈으로…! 마음의 가슴으로…! 주인공이 되어...!
"나는 누구인가...! 어디에서 왔나...! 어디로 가나” 조급함이 사라지고....! 삶에 대한 여유로움이 생기나니.
- 故 김수환 추기경 -
오늘도 좋으신 분들 가정에 사랑과 평화가 함께하시기를 기도드립니다. 샬롬
<출처 : 한국방송통신대학 메아리>
<옮긴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