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성>
효율성이란 능률적으로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정도를 뜻하며 뒤에 설명할 '효과성'과 '능률성'을 합친 개념이라 보면 된다.
행정의 투입과 산출의 비율을 따지지 않고 목표의 성취도만 따진 효과성과 투입에 대한 산출의 비율인 능률성을 함께 이룰 수 있는 정도를 뜻하는 것이다.
기사 제목: LG, 48인치 OLED 흥행... '시장확대-수익성' 모두 잡았다
LG 디스플레이 광저우 공장을 가동하게 되면서 LG의 OLED TV 출하량이 늘어 제품 믹스 개선 효과가 클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고 판매량 또한 2배 정도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으로 보아, 결과적으로 생산비는 줄고 생산량은 향상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LG의 광저우 공장 가동은 '효율성' 이 높은 사례로 보인다.
<효과성>
효과성이란 쉽게 말 해 목표달성의 정도를 말한다. 앞서 설명한 효율성과는 다르게 비용 내지 투입의 관념이 들어간 능률성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즉 비용이 얼마가 드느냐 하는 투입의 문제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 아닌 정해진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느냐에 초점이 맞춰진 단어이다.
포드 시대의 화두는 생산성 즉, 효율성이었다. 포드가 한 말 중에 '소비자들은 마음대로 골라가져가라! 하지만, 차의 색상은 검정색 밖에 없다.'라는 말은 매우 유명한 말이다.
포드의 모델 T 자동차는 동일 성능의 다른 차량들에 비해 가격이 50~70% 저렴했었기때문에 저렴한 가격을 위한 획일성, 효율성은 당시 시장경쟁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였을 것이다.
하지만, 생산성을 우선시하면, 사업계획을 결정할 때 생산능력, 원자재(철강재, 유리 등) 인력문제 등과 같은 내부문제를 우선시하고 외부적인 요인을 무시하는 부작용이 생긴다. 생산성에는 시간이나 상황변화의 개념이 별로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최적의 조건은 기능별 조직이고, 포드는 이러한 기능별 조직을 고수함으로써, 1920년대 미국의 대공황 이후 경기회복이 되면서 두번째 차량을 구매할 수 있는 경제적 여력이 생긴 환경의 변화에 대처하는데 실패한 격이다.
이러한 틈을 비집고 들어온 것이 GM이라고 한다. GM은 효과성이라는 지표로 목표를 얼마만큼 달성했는지... 1가구에서 2차량 이상을 구매/운용할 여유가 생겼을 때, 이러한 환경의 변화를 유연하게 활용하기 위해, 사업부제(캐딜락 사업부, 폰티악 사업부 등) 조직을 도입했고 각각의 사업부의 목표달성도로 성과를 평가하여, 포드를 추월할 수 있었다고 한다.
위의 내용을 살펴보면, '효율성'과 '효과성'에 대해 비교하는 내용이 모두 포함되어있다. 이 사례를 보면 효율성의 단점과 그에 대비되는 목표달성도인 효과성의 장점을 찾을 수 있다.
효율성과 효과성에 대한 전반적인 의미는 알고 있었으나, 효율성과 효과성 사이에 이렇게 큰 차이가 존재함과 기업들마다 효율성을 잡게 된 사례, 효과성을 얻게 된 사례가 이만큼 다양하게 있는지 간과하고 있었다. 가장 효율성과 효과성의 차이를 확연하게 보여주는 사례들을 가져온 것이지만 위 기사들 외에도 효율성과 효과성에 대해 뚜렷하게 보여주는 다른 사례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었다. 덕분에 개인적으로 기사를 통해 정확한 의미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어서 좋았고 효율성과 효과성을 통해 기업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갈 수 있도록 개선해나가는 것이 좋을 것 같다.
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0/09/10/2020091000242.html
200lx.tistory.com/12
첫댓글 효율성과 효과성을 다들 많이 다루어 보는구나.
이와관련 다른 학우들 생각을 담은 03/04분반 같은 주제 게시글들도 두루 살펴보면 좋을 듯~
mba54기 입니다. 효과성과 효울성의 차이를 공부잘하고 갑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