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나 피부가 노래지는 황달은 빌리루빈이라는 성분이 체내에 쌓여서 발생한다. 빌리루빈이 간에 의해 대사되기 때문에 황달은 간이나 담도에 생긴 암의 징조다. 그래서 어느 날 흰자위나 피부가 갑자기 누렇게 변한 걸 목격하면 소스라치게 놀라곤 한다. 그런데 황달은 헷갈릴만한 질환들이 많다.
◇흰자위만 누렇다면 결막모반증
눈만 누렇게 변한다면 결막모반일 가능성이 크다. 모반, 즉 점은 피부 속 멜라닌세포가 활성화돼 검거나 어둡게 보이는 조직이다. 흰자위를 덮고 있는 결막에 생기기도 한다. 이러한 결막모반은 주로 눈동자 근처에 갈색 혹은 붉은색으로 나타나며, 시간이 흐르면서 짙어지거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멜라닌세포 계통에서 유래한 모반세포가 결막 상피에 얇고 넓게 퍼지면 점 대신 흰자가 누렇게 보이기도 한다. 결막모반은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눈 기능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만약 외관상 눈이 탁해 보여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안과에서 제거술을 받을 수 있다.
◇녹황색 채소 많이 먹으면 카로틴피부증
비타민 A의 전구체인 카로틴을 과다섭취하면 피부가 누렇게 변할 수 있다. 황색증이라고도 불리는 카로틴피부증은 피부 각질층에 카로틴이 침착돼 피부가 누렇게 변하는 현상이다. 베타카로틴이 풍부한 녹황색 채소나 루테인을 과잉 섭취하면 발생한다. 카로틴 섭취량을 줄이거나, 중단했을 때 정상으로 회복되기 때문에 크게 우려할 필요는 없다. 단, 갑상선기능저하증, 당뇨병, 신증후군, 간질환 등도 카로틴피부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카로틴 섭취량을 조절해도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는다면 진단이 필요하다.
◇실제 황달이여도 높은 확률로 길버트 증후군
황달은 자가진단이 가능하다. 자연광이나 형광등 아래에서 눈 흰자위를 보면 된다. 앞서 언급한 요인들을 걷어낼 수 있기 때문. 아래 눈꺼풀을 당기면서 눈동자는 위로 치켜떴을 때 누런빛이 띠면 황달일 가능성이 크다. 이외에 소변의 색깔이 갈색으로 진해지거나 대변의 색깔이 연해지면 의심해볼 수 있다.
그런데 건강검진에서 황달이라 듣고 병원을 방문해도 가장 흔한 진단명은 길버트 증후군이다. 4~16% 정도의 유병률을 보이는 길버트 증후군은 간접 빌리루빈을 직접 빌리루빈으로 전환하는 효소의 선천적 결핍과 연관된 질환이다. 탈수, 과로, 스트레스, 금식 등의 상황에서 간접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하면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간 기능 검사에서는 이상 소견이 없고, 주로 간접 빌리루빈이 상승하는 고빌리루빈혈증이 나타난다. 간경화, 간암 등으로 진행하지 않는 양성 질환으로 우려할 필요는 없다.
◇65세 이상에서 식욕부진과 상부 통증 동반한다면 암 의심
그렇다면 실제 황달이 발생한 환자에게 암을 암시하는 소견은 무엇일까? 암에서만 발생하는 특이도 높은 증상은 없다. 다만 의심할만한 단서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먼저 나이다. 일반적으로 65세를 기준으로 할 때, 고령 환자에게 나타나는 황달 소견은 암인지 집중 진단을 필요로 한다. 그 다음으로는 식욕부진, 체중감소, 진통제에도 호전이 없는 명치 통증, 우상복부 통증 등은 빠른 내원이 필요한 증상들이다. 또 B형 간염, C형 간염, 담낭결석, 간내담관결석, 간디스토마, 만성췌장염과 같은 병력도 진단적 단서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