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담배의 역사
1945년 8월 15일, 한민족 역사이래 최대의 굴욕과 치정을 당한 지 36년 만에 주권을 되찾은 날, 전국민은 기쁨에 겨워 목이 터져라 `만세`를 외쳐댔다. 그리고 그해 9월, 감격스러운 민족해방을 기념하는 폭죽이라도 터트리듯 우리나라 최초로 우리 기술진의 힘으로 담배를 제조 발매했으니, 그 이름이 바로 승리(勝利)이다. 가격은 3원, 길이는 6cm. 담배 이름이 `승리`인 것은 그 이전의 울분을 `승리(Victory)`의 환호로 변환해 폭발시키고 싶은 바람이었을까?! 역대 담배의 이름이 당시의 시대상황을 반영해왔듯, 최초의 담배 이름도 예외는 아니었다. 사진에서 보이듯 담배 의장이 지금 보기에는 단순하고 촌스러운 느낌이 드는데, 당시 해방된 감격이 너무나 벅차서 서둘러 의장을 고안하였기 때문에 의장 자체는 졸작을 면치 못했다. 하지만 빨간색의 사각선 테두리에 청색 글씨로 "승리(Victory)"를 표기해 음양의 조화를 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전통사상을 반영했음을 알 수 있다. 또 하나 특이한 점은 표기된 문자가 한글, 영어, 한자, 일본어의 4개 국어로 잡다하게 도안되어 있다는 것. 도안에 관한 기본원칙도 정립되지 못한 느낌이 있으나 이에는 또다른 이유가 있다. 일제 시대에 우리말과 글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했었기에 광복 직후에는 이렇게 표기해야 알아보는 사람이 많았던 것이다. 앞면에는 한글로 `승리`라는 담배이름이 쓰여 있고, 그 위에 한자로 `기념궐련`이라고 표기했으며, 발매처는 `조선군정청 전매국`으로 되어 있다. 한편 뒷면은 상단에 `Victory`라고 크게 흘림글씨로 썼으며, 그 밑에는 영문으로 광복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히 만들었다는 내용의 문구가 쓰여 있다. 그리고 옆면에는 일문으로 3엔이라 쓰여 있다. `승리`가 나올 무렵에 한국인들이 가장 애용했던 담배는 일명 쌈지담배라고 하는 `풍년초`였다. 잎담배 썬 것을 봉지에 넣어 파는 담배였던 `풍년초`는 곰방대에 넣어 피우거나 신문지에 말아 피웠다. 담배를 파는 곳에서 풍년초용 종이는 따로 팔기도 했는데, 이 종이는 얇고 누런 색깔이었다. 그러다 하얀 종이에 깨끗하게 말려 있는 `승리`가 나오자, 이 담배는 바로 `흰담배`라 불리게 되었다. 당시 누런 종이에 담배를 말아피우던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므로, `승리`가 발매된 후 네모난 갑에서 `하얀` 담배를 꺼내 바로 입에 물고 불을 당기는 모습은 모두에게 선망의 대상이었다. 그런 까닭에 `승리`를 피워물고서 공연히 으스대는 사람이 많았으며, `승리`를 피우는 것 자체가 상류층의 상징처럼 여겨지기도 했다.
2. 한국인이 가장 많이 핀 담배 Top 10
세계 제일의 담배 소비국이라는 명예 아닌 명예를 안겨준 `담배`. 해방 이후 지금까지 한국인이 가장 많이 피운 담배는 무엇일까? 한국담배인삼공사의 판매 자료에 근거해 해방 이후부터 98년까지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이 팔린 담배 10개를 뽑아보았다.
10위 신탄진 1965년 7월부터 1974년 6월까지 판매되고, 발매 당시의 가격은 50원. 9년간의 판매량은 38억 8천 55만갑이다.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1965년 건립된 당시 동양 최대의 신탄진 연초제조창의 준공을 기념하여 발매된 담배로, 담배 공장의 이름을 그대로 따서 이름을 지었다.
9위 환 희 1974년 4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판매되고, 발매 당시의 가격은 80원. 14년간 40억 6천 8백 55만갑의 판매고를 올렸다.
8위 파랑새 1955년 8월부터 1968년 7월까지 판매되고, 발매 당시의 가격은 50환. 13년간 43억 8백 95만갑의 판매고를 올렸다. `파랑새`는 한국 전쟁 후 전후의 상처를 극복하고 어떠한 시련에도 굴하지 않는 희망을 상징하는 의미에서 탄생된 담배였다.
7위 한 라 산 1989년 5월부터 판매되기 시작해서 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는 담배이다. 발매 당시의 가격은 700원이었으며, 현재는 1,100원. 지금까지 43억 2천 6백 15만갑이 판매됐다. `한라산`은 분단 40여 년 민족의 아픔이 온 국민의 통일염원으로 승화되어 백두산과 한라산을 잇는 조국통일의 그날을 기대하며 지은 이름으로, 미국의 담배시장개방 압력으로 국내 담배시장이 완전 개방됨에 따라 외국산 담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애연가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고자 발매된 담배다.
6위 풍년초 1955년 8월부터 1973년 3월까지 판매되었고, 발매 당시 가격은 30환. 17년간 판매된 담배는 53억 5천 9백 25만갑이다. 가난했던 보릿고개 시절에 발매된 `풍년초`는 농작물의 풍작과 마음의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는 담배였다.
5위 새마을 1966년 8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판매되고, 발매 당시의 가격은 10원. 20년간 판매된 담배량은 57억 6천 2백 65만갑이다.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기간 중 시작된 농촌근대화 운동인 새마을운동의 기본이념을 표현하고 이를 전국적 국민운동으로 장려하기 위하여 발매된 담배였다. 새마을 운동의 정신을 표방하듯 의장 윗부분에 "협동`이라는 문구를 새겨넣었다.
4위 거북선 1974년 7월부터 1989년 3월까지 판매되었고, 발매 당시의 가격은 200원. 15년간 58억 6천 6백 60만갑의 담배가 팔렸다. 애국심과 민족정기를 고취하기 위해 국난극복의 `거북선`을 상징화한 고급 필터 담배로, 명칭과 의장이 민족정서에 일치하며, 특히 뛰어난 의장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던 담배다.
3위 청자 1969년 2월부터 판매되기 시작했고, 발매 당시의 가격은 100원. 총 78억 1천 5백 30만갑의 담배가 팔렸다. `청자`는 옛 문화유산의 고귀함을 상기함과 아울러 담배의 품질이 청자와 같이 최고 품질임을 간접적으로 암시하는 담배였다.
2위 88 라이트 1987년 4월부터 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는 담배로, 발매 당시의 가격은 600백원. 현재까지 160억 2천 4백 60만갑의 담배가 팔렸다. 88 서울올림픽을 기념하며, 우리나라의 푸른 가을하늘을 연상하는 하늘색을 기본 바탕으로 국보 1호인 남대문을 핵심 캐릭터로 디자인한 담배다.
1위 솔 1980년 8월부터 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다. 발매 당시 가격은 450원이었으며, 500원으로 올랐다가 현재는 200원이다. 98년까지 총 166억 7백 4십만갑의 판매고를 올렸으며, 현재는 약 200억갑에 이르는 최대의 히트 상품이다. `솔`은 옛부터 백절불굴의 기개와 강인한 기상을 상징하는 나무로, `솔담배`는 이러한 민족정서와 친근감을 감안하여 명명된 담배다. 담배값이 200원으로 떨어진 이유는 세금 때문. 세금정책 바뀌면서 200원 이하 담배는 세금이 40원, 200원 이상짜리 담배는 세금이 460원으로 책정되었는데, 500원짜리 담배에 세금이 460원이면 너무 비싸서 아예 담배 가격 자체를 낮추기로 했다. 또 다른 이유로는 농촌 등에서 많이 애용했던 `청자`와 `백자`의 명맥을 잇기 위해서라고도 한다.
첫댓글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