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화경에 근거하여 석가탑과 다보탑의 조성되었다는 이야기는 이미 많은 곳에서 언급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이야기하지 않기로 한다. 그러나 신라계 탑의 흐름 속에서 석가탑과 다보탑의 위상에 대해서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 불국사를 대표하는 석가탑과 다보탑은 탑의 한 양식만을 놓고 이야기하더라도 최고의 것임을 부인할 수 없다. 석가탑 이전의 탑(구황리삼층석탑:692년, 감은사지 석탑, 천군리사지석탑 등)들은 비례가 둔중하다. 그리고 석가탑 이후의 탑은 비례가 세장하게 변화한다. 이러한 점에서 불국사가 절의 양식에서 절정기를 보여 주었다면 석가탑은 탑의 양식에 있어 절정기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나는 다보탑보다는 석가탑을 더 좋아한다. 석가탑을 보고 있노라면 더 이상 어찌할 수 없는 비례를 느끼게 된다. 저 모습에서 한 치라도 틀린다면 그 단아하고 세련된 맛을 느낄 수 없게될 것 같은 완벽한 비례이다. 화려함과 기교가 다보탑의 맛이라면 석가탑은 더 이상 손댈 것이 없는 완벽한 절대 비례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석가탑을 보노라면 석굴암 본존불의 위엄과 세련됨을 보는 듯하다. 다보탑을 화려하게 만들고 석가탑을 단아하면서도 정중하게 만든 것은 그야말로 부처님의 정각을 표현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한다. 정각에 들어간 석가의 모습을 추상화한다면 바로 석가탑의 모습이 아니었을까. 이러한 점에서 나는 석가탑을 만든 장인의 기량이 다보탑을 만든 장인의 기량보다 한 수위라고 생각하고 있다.
우리는 석가탑을 받치고 있는 암좌(巖座)를 주목하여 볼 필요가 있다. 암좌는 여러 책에서 이미 지적하듯이 석가모니가 정각을 이룬 금강좌를 암시하고 있다. 이러한 금강좌의 구조를 어떻게 만들었는가가 불국사 계획의 원칙을 밝혀줄 수 있는 실타래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암좌의 구조가 자연석이라고 한다면 불국사는 석가탑과 다보탑의 위치 설정으로부터 건축계획이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이러한 사실은 김대성이 불국사를 지을 위치에 대하여 이전부터 잘 알고 있었던 것을 의미하므로 불국사가 신축이 아닌 중창되었을 가능성을 암시하는 내용으로서 고금창기의 기록에 신빙성을 부여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와는 달리 암좌가 조성된 것이라고 한다면 사역(寺域)을 설정하고 금당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불국사 건축계획의 출발점이었을 것이다. 이 경우 암좌는 팔방금강좌(八方金剛座)와 더불어 결국 석가탑이 석가모니의 분신임을 강조하기 위해서 철저히 계획된 장치임을 알게 된다. 따라서 석가탑 밑의 암좌가 탑을 인공적으로 조성된 것이라면 불국사 바탕에 깔린 철저하게 의도된 조형의식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는 증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신영훈 선생은 석가탑 주변을 시험 굴착하였을 때 대웅전 주변의 지반이 성토지반임이 확인하였기 때문에 석가탑의 암좌가 인공적으로 만들어졌다고 생각하고 있다.
다보탑은 석가탑에 비하여 매우 화려하다. 이것은 연화경 견보탑품편(見寶塔品篇)에 소개되어있는 다보탑을 형상화하여 놓은 것이다. 매우 화려한 모습을 지닌 다보탑을 보면 지금과는 차이가 있겠지만 과거에도 설계라는 분야가 있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 지금의 상식으로는 다보탑과 같은 정교한 탑은 만들기 위하여 설계가 필수적이다. 한옥과 같이 일정한 법식이 있다면 아무리 정교하여도 기존의 법식을 넘어서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새로운 구상을 위한 설계가 필요하지는 않다. 그러나 다보탑처럼 과거에 예가 없는 새로운 시도를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구조물이건 간에 완성모습을 그려보거나 또는 모형의 작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차후에 일어나는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우리의 건축 역사를 보아도 건물의 완성된 모습을 그림으로 그렸고 또한 중국의 예를 보더라도 현재의 개념의 설계도는 아니지만 건물의 모습을 그리고 모형을 만들어 연구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중국고전건축의 원리 : 제12장 참조) 다보탑을 만들기 위해서 모형을 만들거나 그림을 그려 완성된 모습을 확인한 후 탑의 조성에 착수하였을 것이라 생각한다.
은유
청운교와 백운교의 이름과 그 구조를 보면서 불국사를 건축한 김대성의 능력을 다시 한번 깊게 느끼게 된다. 청운교와 백운교는 분명 계단이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한 계단이 아니다. 예토와 정토 그리고 차안에서 피안으로 이어주는 다리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분명 계단이다. 이러한 계단을 다리로 변화시켜주는 것이 홍예이다. 만일 홍예가 없었다면 청운교와 백운교는 다리가 아닌 계단으로 남았을 것이다. 이러한 발상은 쉽게 할 수 없는 것이다. 차안에서 피안으로 건너가기 위해서 다리의 개념을 도입하고 싶었고 그것을 다리답게 만든 것이 홍예이다. 또한 올라가는 계단과 교묘하게 접합되어 천상세계로 올라가는 개념까지 교묘하게 어우러진다. 고금창기에는 이외에도 승천교(昇天橋),관음전에 낙가교(洛迦橋), 지장전영역에 육도교(六道橋) 등의 다리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강우방선생은 화엄경에 의거하여 다리에 대한 해석을 하고 있다. '연화장세계는 세계해에 비견된다'고 하면서 불국사의 다리는 '세계해에 둘러싸여 있는 장엄한 정토를 표현하기 위함'이라고 하였다.(법공과 장엄: 321쪽)
또 다른 은유는 신영훈선생이 「비대칭의 대칭」이라고 표현한 '시간의 흐름의 균제 또는 기억 속의 균제(均齊)'이다. 범영루(좌)와 경루(우)의 대비가 안에서는 석가탑(좌)과 다보탑(우)의 대비로 나타난다. 앞에서는 좌측이 화려하였다면 자하문 안쪽에서는 우측이 화려하다. 현재 불국사로의 출입을 앞에서 하지 않고 옆에서 하도록 되어 있어 이런 변화를 잘 감지할 수 없다. 그러나 예전과 같이 앞에서 출입을 할 수 있었다면 이러한 변화를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었을 것이다. 같은 시각 공간 내에서 균형을 잡는 방법은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한눈에 들어오지는 않지만 공간의 기억을 전제로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의미를 깨닫게 하는 장치를 생각해 내기는 그리 쉽지 않다. 동 시각(同 視覺)공간 내에서 균형을 잡는 방법보다는 몇 단계 위의 장치이며 건축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이는 결코 생각해낼 수 없는 장치이다.
불교건축사적 관점에서 본 불국사
불국사는 쌍탑가람의 백미이다. 사천왕사, 망덕사 등은 목탑을 중심으로 한 쌍탑 가람이고 석탑계열의 가람으로는 감은사, 천군리사지, 원원사, 숭복사 등이 있다. 김성우교수는 「통일시대 불교건축의 변화」라는 논문에서 '삼국시대에 다양하였던 배치계획이 통일신라시대로 들어오면서 쌍탑형식으로 고정되어 버린다'고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다양한 배치형식을 보이는 일본이나 중국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라고 한다. 이렇게 단탑가람에서 쌍탑가람으로의 변화는 탑 중심에서 금당중심의 가람으로 변화하는 과정이라고 파악된다. 탑 중심의 가람은 탑이 배치의 중심이 됨으로써 탑이 금당을 가리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제 금당으로 중심이 옮겨지게 됨으로써 탑이 금당을 가리는 것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탑을 둘로 나누어 좌우로 배치하게 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탑 중심의 인도불교에서 당(堂)중심의 중국불교로의 변화로 파악하고 있다.(한국건축사, 241쪽) 이러한 변화가 단순히 중국 불교의 영향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금당 중심으로의 변화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고대 불교의 경우 초기에는 부처의 모습이 연화좌나 족적 등과 같은 상징물로 표현되었다가 후에 그리스문화의 영향을 받아 불상을 만들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바탕에는 일반인들이 추상화된 모습보다는 구체화된 형상을 신앙의 대상으로 원하였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우리 나라에서도 같은 변화가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삼국시대 이후 불교신자들이 추상적인 탑보다는 형상을 인지할 수 있는 불상을 선호하게 되어 불상을 모신 금당으로 무게 중심이 옮겨간 것이라고 생각한다. 결국 금당 중심으로의 변화는 탑이라는 추상화된 모습보다는 불상이라는 실제적인 모습을 원하는 민중의 욕구가 반영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어찌하였든 사찰이 탑 중심에서 금당중심으로 변화하여 갔다는 것은 통일신라시대에 지어진 건물에서 찾아볼 수 있다.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사천왕사, 망덕사, 감은사, 그리고 시대가 떨어지는 천군리사지, 불국사를 비교하여 보면 몇 가지 차이점을 알 수 있다. 우선 회랑으로 둘러싸여 있는 전체 규모를 보면 사천왕사가 제일 크고 망덕사, 천군리사지, 불국사 순으로 크기가 줄어든다. 그러나 망덕사와 사천왕사를 보면 후에 지어진 천군리사지나 불국사보다 전면의 회랑 폭이 넓다. 이는 목탑의 규모가 석탑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밖에 없기 때문에 회랑의 폭이 넓어진 것으로 생각한다.
금당의 형식을 보면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사천왕사, 망덕사, 감은사는 전면이 넓은 장방형의 평면을 보이고 있는 반면 천군리사지와 불국사의 금당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평면을 보이고 있다. 금당의 면적을 보면 사천왕사( 2280尺²),망덕사( 1170尺²),천군리사지( 2491尺²),불국사( 2392尺²)이다. 여기서 사천왕사의 경우 망덕사, 천군리사지, 불국사보다 훨씬 큰 규모를 보이고 있어 비교할 수 없으나 비슷한 절의 규모를 보이는 세 절의 경우 후에 지어진 천군리사지와 불국사의 금당이 훨씬 큰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평면의 형식에서 장방형과 정방형평면의 차이는 많은 의미를 지닌다. 장방형평면에는 앞뒤가 깊지 않기 때문에 불상을 모셔두고 별도의 의식을 할 공간이 협소하다. 따라서 장방형평면에서는 불상을 모셔두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정방형평면은 중앙에 불상을 모셔두어도 의식이 가능하다. 김성우교수는 쌍탑가람의 형식의 등장과 금당의 익랑의 보편화가 같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이것은 금당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사람의 출입이 잦아지면서 기능적인 배려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닐까한다. 익랑의 설치는 쌍탑가람에서 금당의 중요도가 높아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감은사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감은사는 목탑계열의 가람에서 석탑계열의 가람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감은사의 탑을 보면 매우 큰 규모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탑의 규모는 초기 탑인 고선사지 탑과 함께 장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탑의 규모가 큰 것은 목탑에서 석탑으로 전이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불국사의 또 하나의 특징은 동양삼국의 어느 곳에서 볼 수 없는 다불전(多佛殿)의 색채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이나 일본의 경우 서로 다른 부처를 모시는 경우가 없다고 한다. 또한 우리 나라의 경우도 불국사 이전에는 서로 다른 불상을 주존으로 모시는 경우가 없었다고 한다. 불국사의 경우 새로운 전통을 만들어간 것이다.
불국사에 대한 몇 가지 이야기들
가. 창건인가 중창인가
불국사사적이나 고금창기에는 불국사를 김대성이 중창한 것으로 적고 있다. 그러나 삼국유사의 기록에 의해 불국사가 김대성에 의해서 창건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불국사 복원공사보고서에 의하면 비로전이 불국사의 어느 건물보다 먼저 지어진 것으로 감은사 금당의 후면계단과 수법이 같다고 하였다.(불국사 복원공사보고서 : 58쪽) 비로전이 다른 건물보다 앞선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고금창기의 최치원의 글을 보면 불국사를 대화엄종불국사(大華嚴宗佛國寺)라고 부르고 있다. 이는 불국사가 화엄종파임을 천명한 것이다. 고금창기에는 문무왕이 무설전을 새로 짓고 의상과 그 제자들로 서로 강론하게 하였다는 내용이 있다. 이것은 문무왕시대 이미 화엄사찰로 불국사가 존재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료와 비로전이 다른 건물보다 앞선다는 발굴조사보고서의 내용은 서로 연관이 있음을 보여준다. 비로전의 양식이 고식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보아 최소한 문무왕 때 불국사가 초창된 것을 이후에 김대성이 대규모로 중창을 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 화엄불국사와 석가모니불
내 자신이 불교에 대한 지식이 얕아 감히 이 문제를 다룬다는 것이 문제가 있다. 그러나 나는 무지한 중생의 입장에서 불국사를 이해하고 싶다는 생각에서 이 글을 쓴다.
불국사는 일반적으로 석가모니의 사바세계 아미타불의 극락세계, 비로자나불의 연화장세계를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불국사는 화엄불국사(華嚴佛國寺)라고 불린다. 그렇다면 불국사는 당연히 화엄종의 주존불인 비로자나불을 주존불로 모셔야 한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법신불인 비로자나불이나 많은 사람들이 염원하는 아미타불의 극락세계를 구현하지 않고 왜 석가모니불의 세상이며 현세인 사바세계를 가장 중요하게 표현하였을까. 법화경 견보탑품편의 내용을 보면 "내 이제 사바세계의 석가모니불 계신 곳에 가서 석가모니불과 다보여래의 보배탑에 공양하겠다.하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때 사바세계는 곧 청정하게 변하니,"(묘법연화경:322쪽: 천태종관문사간)라고 쓰여있다. 이는 석가모니불이 법화경을 설하는 곳이 곧 불국토가 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대하여 강우방교수는 '정각을 통해 이 속세가 곧 법계가 된다는 불교 본래의 사상을 조형화한 것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법공과 장엄 : 337쪽)
타력신앙(他力信仰)을 근본으로 하는 대승불교에서 극락왕생은 모든 사람의 바램이다. 그러나 그 길은 그리 쉽지 않은 길이다. 아무리 노력해도 웬만해서는 윤회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 인간이다. 그러한 중생들에게 부처의 현재화는 사바세계를 불국토로 만드는 지름길 일 것이다. 자력(自力)으로 윤회의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사바세계에 부처님이 현현(顯現)하는 것이 모든 중생들이 보다 쉽게 윤회의 사슬에서 벗어나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오래 전 인도에서 설법하셨던 석가모니부처가 신라에서 법화경을 설함으로써 신라가 불국토로 되기 바라는 깊은 염원을 표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염원 때문에 사바세계가 불국토가 되는 연화경을 소의경전으로 하여 불국사를 조성한 것을 아닌가 생각한다.
이 부분에 대해서 관심있는 분은 강우방의 책 「법공과 장엄」에 실려있는 '佛國寺 建築의 宗敎的 象徵構造'를 읽어보십시오.
다. 구품연지(九品蓮池)
다음으로 고금창기에 기록되어 있는 구품연지(九品蓮池)에 대하여 돌아볼 필요가 있다. 불국사 고금창기에 '가경(嘉慶)3년 戊午年(정조 3년:1798년)에 연못의 연잎을 뒤집다'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18세기말까지 존재하였던 것 같다. 발굴조사가 있기 전에는 구품연지는 당연히 극락전 앞에 있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러나 발굴조사 결과 구품연지는 대웅전 영역 앞에 있었다. '구품연지'의 크기는 동서 39.5m 남북 25.5m 깊이 2-3m의 타원형 연못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발굴에 관계하셨던 분의 말에 의하면 전체의 발굴이 이루어지지 않아 아직 '구품연지'에 대한 명확한 규명이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발굴상황으로 보아서는 백운교 앞 광장 전체가 연못으로 구성되지 않은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발굴결과를 놓고 보면 '구품연지'는 이름과 관련이 있는 극락전과는 무관한 것으로 보아 연못의 이름은 후대에 붙여졌을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한다.
라. 불국사 배치와 풍수
불국사가 자리 잡은 곳을 자세히 돌아보면 다른 사찰과는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관음전과 비로전은 능선의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 능선도 토함산의 많은 능선 중 그리 크지 않은 능선이다. 토함산 전체를 놓고 보아도 불국사 배치에서는 주산 등을 고려한 흔적이 없다. 또한 전면에 대한 분석결과도 안산 등을 고려한 흔적을 찾을 수 없다. 다만 건물의 배치는 북쪽과 5도 차이를 보이고 있는 정도로 거의 정남의 배치를 하고 있고 개활지를 바라보게 되어있다. 이러한 것으로 보아 8세기까지는 건물을 배치하는데 지금과 같은 풍수학적인 고려는 없었던 것 같다. 이러한 것은 당시의 대부분의 사찰이 도심 내에 위치하고 있어 지금과 같은 산중사찰과는 다른 개념에서 배치되었기 때문이고 또 하나는 당시까지만 하여도 신라에 풍수학이 도입되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마. 표훈(表訓)과 관련된 기록에 대한 의문
삼국유사에 있는 '불국사를 짓과 표훈과 신림을 모셨다'는 기록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하여 보자 ,표훈은 생몰연대 미상이나 고금창기에는 문무왕 10년(670년)에 무설전(無說殿)을 짓고 '의상과 그의 제자 오진, 표훈 등 10대덕(大德)에게 맡겼으므로 서로 강론을 흥하게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같은 고금창기에는 표훈에 대한 기록이 더 있는데 751년(경덕왕10년)에 '살아 계신 두 부모님을 위하여 불국사를 개수하고 탑과 다리들을 만들었다. 한편 전생의 부모님을 위하여서는 석불사를 짓고 신림과 표훈 두 성사를 모셔다가 각각 그곳에 머무르게 하였다.'고 기록과 대웅전의 복장기라고 하면서 681년 대웅전의 불상이 낙성되었는데 신문왕이 선왕의 명으로 만들었고 표훈으로 하여금 상주하면서 예참(禮懺)하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고금창기의 문무왕 때의 기록과 경덕왕 때의 두 기록에는 81년의 차이가 있다. 그리고 문무왕 10년에 신림과 표훈이 대덕이라는 칭호를 들을 만한 위치에 있었다면 최소한 20대는 넘었을 것이다. 이러한 것을 고려하면 불국사 창건을 시작할 당시의 나이가 최소한 100세는 넘었을 것이다. 또한 석불사가 770년경에 완공되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더욱 의심하여 볼 만한 기록이다. 이때 나이가 120세 이상이 된다. 또한 삼국유사 기이(奇異)편에 나와있는 혜공왕(755년 또는 756년생)의 탄생설화와 관련하여 볼 때 혜공왕이 태어나기 1,2해 전까지는 표훈이 살아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당시의 표훈의 나이는 최소 105세 이상이므로 기록에 신빙성을 두기가 힘든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또한 같은 삼국유사에서는 사적기에 근거를 두어 말하면서 불국사 창건당시 유가의 승려인 항마를 모셨고 그것이 일연이 삼국유사를 지은 때까지 계속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고금창기에 기록된 것은 신림과 표훈의 명성에 기대어 불국사의 권위를 내세우기 위한 것이거나 기록의 오기일 것으로 추측된다.
불국사의 가치에 대하여
김성우교수는 석가탑과 다보탑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쌍탑이 세워지면서 석가탑과 다보탑만큼 완연하게 다른 경우는 아직 아무대서도 확인된 바가 없다, 불국사의 쌍탑은 탑의 조형적 가치에서도 한국적 성취의 느낌을 충실하게 전해주지만 쌍탑제도 자체에 대한 강한 주관적 해석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도 소중한 예다'라고 하였다.(한국건축사:246) 이러한 해석은 불국사의 가치를 명쾌하게 드러내 보이고 있다. 불국사는 석굴암과 더불어 당대의 신라예술을 대표하는 건축물인 동시에 동양불교의 새로운 지평을 보여주는 예이다. 불국사는 창건의 목적이 어떠하였든 간에 석불사와 더불어 창건당시 그 시대가 가지고 있는 건축과 예술의 역량 모든 것을 보여 준 것이다.
우리는 통일신라시대의 건물에 대해서 아는 바가 별로 없다. 남아있는 유구가 많지 않은 것은 물론이요 그 시대의 건축을 추론하여 볼 수 있는 자료도 그리 많지 않다. 집 형태의 토기, 변상도, 그리고 부도 등을 통해서 만이 당시의 건축의 수준을 알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9세기에 만들어진 철감선사부도를 보면 지붕의 형태와 건축의 구조가 지금과 별다름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철감선사부도에 나타난 목구조로 유추하여 본다면 당시의 목조건축의 수준이 현재와 별반 차이가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불국사의 석축이나 다보탑 등과 같은 석조유물을 통하여 당시의 건축뿐만 아니라 문화 전반의 수준이 매우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불국사를 지은 김대성이 불교에 대한 이해도 매우 높았다는 것에 대해서는 문헌자료에도 있다. 불교에 대하여 잘 이해하고 있다는 것은 불국사라는 건축물을 통해서도 분명하게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불국사를 통해서 보는 김대성 위대성은 자신의 이상을 너무도 완벽하게 구현하였다는데 있다. 불국사와 석불사를 보면 누가 감히 이런 걸작을 다시 만들 수 있을까? 어떠한 사상을 형상화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작업이 아니다. 그러나 불국사나 석굴암에서는 불교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석가탑과 다보탑은 종교의 정신을 너무도 잘 표현하고 있다. 석가탑 기단하부에 암좌의 설치, 다보탑에서 보여주고 있는 기발한 착상, 청운교와 백운교의 홍예 등은 깊은 사고의 결과이다. 불국사가 20년 넘은 공사기간을 소요하고도 완성되지 못한 것은 정성스럽게 공사를 진행한 결과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많이 고민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지금 과거에는 없던 최고의 기술과 능력으로 건축을 하는 우리가 이러한 마음자세를 가지고 있는가를 반문하여 보면 우리 자신이 부끄럽기 이를 데 없다.
첫댓글 선생님! 안녕하시죠? 귀한 말씀 잘 들었습니다. 언제나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