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승전무 중 북춤
승전무는 경남 통영지방에 전승되고 있는 중요무형문화재로 북춤과 칼춤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북춤은 민간제례악을 바탕으로 원무와 협무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무를 중심으로 협무가 창을 한다. 협무의 `지화자`라는 후렴과 창은 공을 찬양하고 병사의 사기를 북돋우는 내용이다. 반주는 시나위조(타령)의 가락을 연주한다.
2. 남도민요 <성주풀이, 남원산성, 진도아리랑>
남도민요라고 하면 전라도·경상도·충청도의 일부 지역에서 불려지는 소리들을 총칭하였으나 좁은 의미로는 전라도 지방의 민요만을 가리키기도 한다. 전라도 민요는 평평하게 길게 뻗는 목을 중심으로 해서 밑에서 굵게 떠는 목, 흘러내리거나 굴리는 목 등을 구사해 나간다. 이것을 시김새라고 하며 이 시김새가 표현을 강하게 만들며 흔히 슬픈 느낌을 주고 있어 맺힌 한을 풀어나가는 듯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성주풀이는 가택신(家宅神)인 성주신(城主神)과 그 부인인 터주신의 내력을 이야기하는 노래로 집안의 무사태평과 번영을 기원한다. 남원산성은 넘치는 기쁨과 애정이 듬뿍 담긴 멋스러운 노래이다. 진도아리랑은 전라도의 아리랑으로 원망과 슬픔 등을 신명나는 가락과 해학적인 노랫말로 풀어낸다.
3. 동래학춤
동래학춤은 학의 동작을 모방하여 추는 부산 동래지방에 전승되는 춤이다. 동래학춤은 의상을 따로 갖추지 않고 일상의 옷인 도포에 갓을 쓰고 바지저고리, 버선과 미투리를 신고 즉흥적으로 춘다. 반주악기는 꽹과리와 장구·징·북 등으로 되어 있으며, 굿거리장단을 사용한다. 동래학춤은 일반 민속춤과 같이 일정한 순서로 짜여져 있지 않고, 자유분방한 즉흥성과 개인적 멋이 강조되는 춤으로 자연미와 예술미의 조화가 우아하고 격조 높은 춤사위로 예술적 가치가 높은 춤이다.
4. 영남성주굿
성주굿은 집의 임자인 성주신을 모시고 가족구성원의 재수발원을 축원하는 것으로 마을의 풍물패가 이집 저집 돌아다니며 걸립(乞粒)을 할 때 고사덕담의 형식으로 불려지던 것이다. 영남성주굿은 영남 특유의 소리목으로 부르기 때문에 감칠맛이 있으며 빠르면서도 억제되는 등 흥겨운 묘미가 있다.
5. 가사 <죽지사>
가사(歌詞)는 긴 운문시를 가사로 하는 노래로, 시조를 부르던 계층에서 발전시킨 성악곡이다. 노래의 양식이 가곡만큼 세련되지는 않았으나 시조보다는 전문적인 발성과 음악적 기교를 가지고 있다. 고정된 선율에 다양한 사설을 즉흥적으로 얹어 부르는 가곡·시조와 달리 그 가사에 맞는 곡조로 선율이 짜여진 것이 특징이다. 죽지사는 남자 가객들의 애창곡으로 향토의 경치와 인정, 풍속 등을 노래한다.
6. 대풍류
대풍류란 관악합주 편성의 고유개념이자 특정 악곡의 곡명이기도 하다. 전통사회에서 현악합주를 ‘줄풍류’라 하는데 대하여 대금, 피리 등의 관악기가 중심이 되는 합주를 ‘대풍류’라 하였다. 보통 대금, 피리 2, 해금, 장구, 북이 각각 편성하며, 피리는 음량이 큰 향피리를 쓴다. 이 같은 연주는 민간의 축제와 연회에서 자주 연주되면서 민속음악의 문화를 주도하는 한편, 춤 반주음악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7. 좌수영어방놀이춤
좌수영어방놀이는 경상좌도 수군절도영이 있던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전승되는 민속놀이다. 어방의 어로작업 중 행해지던 멸치잡이 후리질 소리를 놀이화 한 것으로 좌수영어방이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우리나라의 유일한 어업협동기구라는 점과 어방의 전통적인 놀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니는 작품으로 좌수영어방놀이 중 주요장면을 춤으로 재구성하였다.
2. 부산문화회관 토요상설-부산시립 국악관현악단
관람료 : 초대
공연일자 : 2013-01-12

P R O G R A M
ꁮ 관악영산회상 중 상령산 / 집박:채수만, 소금:조은경, 대금:한영길엄익준 이만형, 피리:김경수 박춘석 최성교, 해금:방병원 이은주 강민정,
아쟁:권혜정 홍영혜, 장구:이장우, 좌고: 박재현
표정만방지곡은 관악기를 위한 영산회상곡이기 때문에 (관악영산회상)이라고도 한다. 이 곡은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염불도들이, 타령, 군악의 여덟 개의 소곡으로 되어 있다.
이 곡 중 상령산은 주선율을 피리가 불면 다른 악기들이 대응하고 다시 장단 끝을 쉬는데, 이것을 연음형식이라고 하며, 이곡의 특징이기도 하다.
ꁮ 가야금 산조 [강태홍 류] / 가야금:김혜진, 장구:이장우
강태홍류 가야금 산조의 아름다움은 여러 가지가 있다. 가락의 붙임새를 보면 장단을 먹고 들어가거나 건너뛰기도 하고, 두 박자와 세 박자가 서로 엇박으로 틀을 벗어나기도 한다. 또 농현을 생략하거나 절제하면서 줄의 울림을 막고 소리를 내기도 하며, 꺽는 목을 퇴성으로 대신하거나 전성을 쓰고 풍류처럼 미는 수법을 쓰기도 한다. 이러한 음악적 특징 때문에 더욱 세련되고 깊이가 있는 산조로서 많은 이의 사랑을 받고 있다.
ꁮ 천년만세 / 대금:김수일, 피리:권미정, 해금:최윤희, 단소:조은경,
가야금:하지희, 거문고:이대하, 양금:장미진, 장구:박재현
천년만세는 한국음악의 대표적인 실내악곡으로 섬세하고 단아한 맛을 자랑한다.
계면가락 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 도드리 세곡을 합하여 지칭하였던 명칭으로 원래는 영산회상에 이어 연주되어 뒷풍류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천년만세는 다른 정악곡에 비해 흥겹고 가벼운 경쾌한 선율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악기편성도 줄풍류 편성으로 되어 있다.
ꁮ 판소리 / 소리:정선희, 장구:송강수,
판소리는 1인의 창자가 북 장단에 맞추어 긴 줄거리를 가진 사설을 부르는 것으로 소리(창), 아니리(독백), 발림(몸짓)으로 구성되는 극적음악이다.
ꁮ 사물놀이 / 꽹과리:이주헌, 장구:전학수, 징:최오성, 북:김명진
사물놀이는 사물(四物), 꽹과리, 장구, 북, 징의 네 가지 악기 놀이(연주)라는 의미이다. 사물놀이는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대규모 구성의 풍물놀이를 1978년 무대예술로 각색한 것이다. 풍물놀이가 대규모의 놀이를 동반하여 야외 공연의 활동성을 강조하였다면 사물놀이는 악기 연주 자체에서 느낄 수 있는 감동을 강조한 공연형태라 할 수있다. 다양한 장단을 연주하며 긴장과 이완의 주기적인 흐름 속에서 기경결해(시작,진행,절정,마무리)의 전개방식으로써 진행한다.
3. 금정문화회관 남산놀이마당 -타퍼(TOPPER)공연
관람료 : 초대권
공연일시 : 2013.02.01 ~ 2013.02.01 14:00-16:00
첫댓글 헉...올리고 보니 잘못올렸네... 자삭은안할께요.. 이런 시간개념이없네..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