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gwangyang.go.kr ☜ 클릭해주세요~
★★★-광 양 시 소 개-★★★
◆.시연혁
◎.백제(성왕16년) 마르현
◎.신라(경덕왕16년)희양현 ◎.고려(태조23년)광양현
◎.조선(고종32년)광양군
◎.1986.1.1 전라남도 광양지구 출장소개소
◎.1989.1.1 동광양시 승격 ◎.1995.1.1 통합광양시 출범
◆.기본현황
◎.면적:446.75㎢(전라남도면적 3.7%)
◎.인구:137,913명(43,842세대) 전라남도인구의 6.7%
◎.행정구역:1읍 6면 5동 (182리 96통)
◎.공무원:790명 (본청371명 사업소 231명 읍면동188명)
◎.예산규묘:268,565백만원 (재정자립도:42.75% :2002년 38.05%}
◆.시의상징물
◎.시민의날:10월8일:94년10월8일 동광양시와 광양군이 통합된 날기념
◎.시화:동백꽃 :향토애와 불굴의 의지를 상징
◎.시조:갈매기 : 협동심과 개척정신이 강해 끈기와 진취성을 상징
◎.시목:고로쇠나무 :고로쇠는 광양의 상징인 영산 백운산에서 자생하며 약효가 뛰여남
◆.주요이벤트행사
◎.광양백운산 약수제:매년 3월 경첩날 (옥룡 동곡리 약수재단)
◎.광양 매화축제 :매년 3월중 (다압면 섬진마을)
◎.광양 숫불갈비축제:매년 5월중 (광양읍 서천변)
◎.광양 전어축제 :매년 9월중 (진월면 진월포구)
◆.광양시민의비전
◎.교육,문화,예술이 꽃피는 품격 있는도시
◎.미래 지향적인 첨단기술 산업도시
◎.국제경쟁력이 있는 자립 기반의도시
◎.자연과 함께하는 환경친화도시
◎.더불어 함께사는 생산적 복지기반도시
◎.세계도시와 경쟁하는 동북아 물류중추도시
◆.명물메뉴
◎.광양숫불갈비 ◎.바다장어구이◎.재첩국과회무침
◎.문절어회(일명;망둥어) ◎.서대회 ◎.석화,꼬막
◎.흑염소구이 ◎.은어회 ◎전어회
◆. 특산품
◎.광양장도 ◎.광양궁시 ◎.광양죽림 ◎.고로쇠약수
◎.광양밤 ◎.광양매실 영농조합법인 제품 ◎.광양오이
◎.섬진강 재첩, 섬진강 수박 ◎.백운산 작설차 ◎.다슬기환 등~~
|
 |
|
![]() |
연대 (年代) |
내용 (內容) |
전거 (典據) |
구석기 시대 |
ㆍ봉강면 석사리 서석, 옥곡면 대죽리 대치(죽치), ㆍ옥룡면 용곡리 흥룡
![]() ㆍ죽천리 죽림, 진상면 지원리 창촌마을 유적등 ㆍ6개소에서 구석기 시대 유물확인.
![]() ㆍ이곳 유물산포지에서 구석기시대 유물인 ㆍ찍개(사냥도구), 주먹도끼(사냥도구), 돌날(생활도구) ㆍ등 구석기 유물이 발견됨으로서 구석기시대부터 ㆍ우리고장에사람이 살기 시작하였음. |
ㅇ문화유적 분포지도(2000.2) ㆍ순천대학교 박물관 ㆍ조선대학교 박물관 - 구석기시대 조사협조 | |
|
 |
|
![]() |
연대 (年代) |
내용 (內容) |
전거 (典據) |
신석기 시대 |
ㆍ진월면 오사리 돈탁마을, 진정리 중산마을의 ㆍ패총터에서 신석기문화를 대표하는 빗살무늬토기편과 ㆍ동물뼈,패각(貝角)등 신석기시대 유물 확인.
![]() ㆍ우리고장(한반도, 한민족)의 직접적인 조상인 신석기 ㆍ인들이 광양 고을에 살기 시작한 시기는 BC4000년경 ㆍ으로 추정됨
![]() ※ 구석기인들은 네 차례의 빙하기를 겪는 동안 멸종 ㆍ했거나 한반도를 떠났을 가능성이 큼. |
ㅇ光陽郡의 考古遺蹟 ㅇ(이문영, 정진기저. 1993)
![]() ㅇ광양군의 문화유적 ㅇ(순천대박물관, 1993.3)
![]() ㅇ2001년도 고교 국사교과서(上)p18, p231
![]() ※2001년도 고교 국사교과서(上)p18 | |
|
 |
|
![]() |
연대 (年代) |
내용 (內容) |
전거 (典據) |
청동기 시대 |
ㆍ우리고장에서는 청동기시대 대표적인 유물인 시체를 ㆍ매장하였던 지석묘가 현재 43개 군(群)에 272기(基)가 ㆍ조사되었고 또한 이 시대 유물인 석관묘, 패총, ㆍ마제석촉,돌칼, 돌끌, 돌화살촉 등 많은 유물이 발견됨.
![]() ㆍ- 광양읍 덕례리 회암마을 : 지석묘, 마제석촉, 패총 등 ㆍ- 옥곡면 원월리 원적마을 : 지석묘,석곽형석실 돌칼, ㆍ- 옥곡면 원월리 원적마을 : 돌끌,돌화살촉 등 ㆍ- 광양읍 용강리 기두/관동마을 : 지석묘,석곽묘 등 ㆍ- 광양읍 용강리 기두/관동마을 : 다수 ㆍ- 광양읍 세풍리 해창 유자섬 : 무문토기, 석기편 다수 ㆍ- 기타 여러곳에서 청동기시대 유적, 유물출토 |
ㆍ전남고고학지명표 ㆍ(최몽룡 저, 1975)
![]() ㆍ문화유적학술조사보고서 ㆍ(전남대 박물관,1989)
![]() ㆍ광양읍용강리 택지개발 ㆍ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 ㆍ요약보고서 ㆍ(순천대박물관, 2000.2)
![]() ㆍ문화유적 분포지도 ㆍ(순천대박물관, 2000.2)
![]() ㆍ문화유적 분포지도 ㆍ(순천대박물관, 2000.2) | |
|
 |
|
![]() |
연대 (年代) |
내용 (內容) |
전거 (典據) |
초기 철기 시대
|
ㆍ광양읍 용강리 택지개발지구 문화유적 조사시 ㆍ초기철기시대 유물인 철기류와 토광묘 발굴
![]() ㆍ이시대는 주로 돌도끼, 괭이와 나무로 만든 농기구로 ㆍ땅을 개간하여 곡식을 심었으며 저습지에서 벼농사가 ㆍ시작됨.
![]() ㆍ또한 집자리는 대부분 나즈막한 야산을 뒤에 두고 ㆍ앞에 시냇물이 흐르는 곳에 식수원인 우물을 중심으로 ㆍ모여 살았음. |
ㅇ광양읍용강리 택지개발 ㅇ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 ㅇ요약보고서 ㅇ(순천대박물관, 2000.2)
![]() ㅇ2001년 고교국사교과서(上) p23
![]() ㅇ2001년 고교국사교과서(上) p24 | |
| |
 |
|
![]() |
연대 (年代) |
내용 (內容) |
전거 (典據) |
삼한 시대
|
ㆍ우리고장은 마한 또는 변한지역이거나 어느 지역에도 ㆍ속하지 않는 완충지역 일수 있음.('83광양군지)
![]() ㆍ최근년에 마한지역으로 여겨져 왔던 전북남원지역에서 ㆍ가야국(변한의 다음국가)의 고분 유적이 발굴되었으며
![]() ㆍ고등학교 국사교과서(상, p32, 2001년) 옛 권역도에 ㆍ우리고장이 변한지역으로 되어있고, ㆍ변한 지역이었다는 새로운 학설이 대두되고 있어 ㆍ변한지역일 가능성이 많음. ㆍ(BC57신라의건국, BC37고구려건국, BC18백제건국)
![]() ※ 우리고장이 변한지역과 연결지어 생각할 수 있는곳 ① 진상면 비촌마을에 변한의 성지(城址)로 전해오는 ① 유적이 있음 ② 옥룡면 내천마을에 변한의 성지(城址)로 전해오는 ② 유적이 있음 ③ 골약동 중군리 중군현지(中軍縣址)가 변한의 ③ 성지(城址)라는 설이 있음 ④ 가야산(伽倻山)이라는 명칭의 산이 있음. |
ㅇ광양군지p169(1983)
![]() ㅇ가야연맹사 p165 ㅇ(김태식저, 2000.8)
![]() ㅇ2001년 고등학교 ㅇ국사교과서(상) p32
![]() ※ 광양군지 p169(1983) 전남도지 제10권 p112 (1956) | |
|
 |
|
![]() |
연대 (年代) |
내용 (內容) |
전거 (典據) |
369∼370 (근초 24-25년) |
ㆍ(BC18 : 백제건국) ㆍ백제의 세력권에 속함 |
ㅇ광양군지 p168 ㅇ「일본서기」신공기49년,50년조 |
346~374 (근초고왕대) |
ㆍ백제시대 마로현(馬老縣)이라 부름 |
ㅇ광양군지 p356(1983 | | |
|
 |
|
![]() |
연대 (年代) |
내용 (內容) |
전거 (典據) |
5세기말 |
ㆍ광양지역이 성산가야(星山伽倻)에 일시소속. |
ㅇ광양군지 p172(1983) 「일본서기」계체왕7년조 | |
|
 |
|
![]() |
연대 (年代) |
내용 (內容) |
전거 (典據) |
513 (무령왕16년) |
ㆍ광양지역이 백제에 다시 속함 |
ㅇ광양군지 p172-173(1983) 「일본서기」계체왕7년조 |
538 (성왕16년) |
ㆍ백제의 5방중 남방 ㆍ( 南方 : 久知下城 - 현재求禮郡)의 삽평군(삽平郡, ㆍ현재順天市)에 속한 마로현(馬老縣) 지역임. |
ㅇ삼국사기지리지(1145) | | |
|
|
|
 |
|
![]() |
연대 (年代) |
내용 (內容) |
전거 (典據) |
936 (후 백제신검1년) |
ㆍ고려에 속함 |
ㅇ고려사지리지 제57권(1451) ㅇ전라남도지제10권 p99(1993) ㅇ지방연혁연구p274(1988) |
940 (고려태조23년) |
ㆍ희양현(晞陽縣)을 광양현(光陽縣)으로고쳐 ㆍ승평군(昇平郡)의 영현(領縣)으로함 |
ㅇ고려사지리지 제57권(1451) ㅇ지방연혁연구p274(1988) ㅇ전라남도지제10권 p99(1993) ㅇ광양군지 p356(1983) |
983 (성종2년) |
ㆍ전국에 12목(牧)을 두었으며 광양현을 승주목(昇州牧 : ㆍ현재, 順天市)관할하에 둠 |
ㅇ광양군지 p188(1983) |
995 (성종14년) |
ㆍ전국을 10도, 4도호부, 8목, 12주제 실시로 광양 지역은 ㆍ海陽道(全羅道 지역)에 편제되어 12주중 ㆍ昇州(현, 順天市)에 소속됨 |
ㅇ광양군지(1983) | |
|
 |
|
![]() |
연대 (年代) |
내용 (內容) |
전거 (典據) |
1172 (명종2년) |
ㆍ처음으로 중앙 관리인 감무(監務)를 두고 ㆍ승평군(昇平郡)에서 분리함.
![]() ㆍ명종2년(1172년)으로 보임
![]() ㆍ향.소.부곡 등 특수 행정구역이 모두 광양현 관할로 ㆍ들어옴
![]() ※광양군지는 예종3년,1108년에 감무를 둔것으로 기록함 |
ㅇ대동지지 광양沿革條 (金正浩編, 1864년) ㆍ지방연혁연구p274(1988) ※광양군지 p344(1983) | |
| |
 |
|
![]() |
연대 (年代) |
내용 (內容) |
전거 (典據) |
고려 또는 그이전 |
ㆍ고려 또는 그이전 지방행정 편제
![]() 〈 광 양 현 〉
![]() - 지역촌 : 일반촌락
![]() - 특수행정구역 : 鄕(2개소), 所(14개소), 部曲(4개소) - ※ 향ㆍ소ㆍ부곡의 지명과 현재위치
![]() - 향(鄕, 2) - *本 亭 鄕 : 광양읍 사곡리 본정마을 - *三日浦鄕 : 여수시 삼일면 신덕리
![]() - 소(所, 14) - *奴乙道所 : 진월면 오사리 - *蚊 峴 所 : 진월면 송금리 - *骨 若 所 : 골약동 황길리 - *車衣浦所 : 진월면 차사리 - *仇良浦所 : 진월면 신구리 - *孔 村 所 : 진월면 월길리 - *多沙川所 : 다압면 도사리(다사) - *大 谷 所 : 옥곡면 대죽리(대리) - *實 岾 所 : (현위치 불명) - *烏 頂 所 ; 진월면 오사리(오추) - *知巖川所 : 다압면 금천리(직금) - *熊 陰 所 ; 진상면 황죽리(웅동) - *玉 谷 所 : 옥곡면 신금리 - *孔乙道所 : 진월면 오사리
![]() - 부곡(部曲, 4) - *沙於曲部曲: 광양읍 사곡리 - *栗川部曲 : 옥룡면 율천리(율곡) - *阿民部曲 : (현위치 불명) - *阿磨代部曲: 골약동 중군리 |
ㅇ세종실록지리지 전라도 광양현고적조(古蹟條)(1454)
![]() ㅇ신증동국여지승람 제40권 광양현고속조(古屬條)(1530)
![]() ㅇ지방연혁연구p275(1993)
![]() ㅇ광양군지 p345(1983) | |
| |
 |
|
![]() |
연대 (年代) |
내용 (內容) |
전거 (典據) |
1413 (태종13년) |
ㆍ(1392년 : 조선건국)
![]() ㆍ광양현의 감무(監?를고쳐 현감(縣監:종6품)으로 함
![]() ㆍ전국을 8도, 6부, 5대도호부, 20목 74도호부 73군 154현 ㆍ으로 함
![]() ㆍ광양현이 행정조직상 승주군의 속현에서 ㆍ완전히 벗어남 |
ㅇ세종실록지리지 전라도 광양현조 (1454)
![]() ㅇ신증동국여지승람 제40권 광양현조(1530)
![]() ㅇ지방연혁연구p275(1988)
![]() ㅇ광양군지 p211(1983) |
1442년경 (세종24년) |
ㆍ조선초기 광양고을의 지방행정 조직 ㆍ현감1인 → 훈도1인 : 鄕校敎官 (종6품) (종9품) ↓ - 육방(六房) - ㆍ좌수(座首) 1인 : 吏ㆍ兵房업무 ㆍ별감(別監) 2인 左別監 : 禮ㆍ戶房업무 右別監 : 刑ㆍ工房업무 ↓ ㆍ都監 6인 : 六房실무보좌 ㆍ別長 1인 : 섬진진의 수군관 ㆍ통제 (종9품) |
ㅇ세종실록 권47 正月壬戌條(1454)
![]() ㅇ신증동국여지승람 권40 광양현 관원조(1530)
![]() ㅇ대전회통(1865)
![]() ㅇ광양군지 p347(1983) | |
|
 |
|
![]() |
연대 (年代) |
내용 (內容) |
전거 (典據) |
1597 (선조30년) |
ㆍ(1592년 : 임진왜란) ㆍ왜구에 의해 광양읍성(光陽邑城)이 함락됨. |
ㅇ대동지지 광양현 典古條 (金正浩編, 1864년) |
1597.12 (선조30년) |
ㆍ광양읍성 탈환으로 왜병의 만행 봉쇄 ㆍ아군측 : 전라병사 이광악, 구례현감 이응서 ㆍ적군측 : 왜교성 수장 소서행장 |
ㅇ임진전란사 p723 p1063∼1065, p1083∼1085 ㅇ선조실록 권95(1609) ㅇ난중집록권3, 정유12월조 ㅇ광양군지 p241(1983) |
1598 (선조31년) |
ㆍ전란으로 광양고을 폐허. 순천도호부 진영으로 ㆍ일시 편입(곧 광양현으로 복구되었으나 연대미상) |
ㅇ전라남도지 제10권 p99(1993) ㅇ지방연혁연구p275(1988) | | |
|
 |
|
![]() |
연대 (年代) |
내용 (內容) |
전거 (典據) |
1660 (현종원년) |
ㆍ광양현 전비(「殿」자를 새겨 임금을 상징하는 나무패) ㆍ를 잃어버린 일이 있어 읍이 혁파됨 |
ㅇ현종실록 제3권p48(1677) ㅇ광양군지(1925) ㅇ전라남도지 제10권p99(1993) ㅇ지방연혁연구p275(1988) |
1664 (현종5년) |
ㆍ광양현으로 복구됨(현감:임하유) |
ㅇ광양군지(下)권 선생안조 (1925) | |
|
 |
|
![]() |
연대 (年代) |
내용 (內容) |
전거 (典據) |
1759 (영조35년) |
ㆍ광양현이 12面을 관할(面名이 최초로 문헌에 기록됨)
![]() ㆍ- 牛藏面, 沙羅谷面, 骨若面, 玉谷面 ㆍ- 津上面, 津下面, 月浦面, 多鴨面, 七星面 ㆍ- 仁德面, 內面(며내면), 玉龍面 ㆍ- 1759년 기준 광양현 3,560호구, 인구13,440명 ㆍ (남6,100명 여7,340명) ㆍ- 面의 長을 권농관(勸農官)이라 함 |
ㅇ여지도서(下)권 광양현 순천진관 방리조 p761(1759) |
1789 (정조13년) |
ㆍ광양현이 12面, 147里를 관할함 ㆍ- 면수는 1759년과 같으며 沙羅谷面→沙谷面, ㆍ-骨若面 → 七骨若面으로 표기함
![]() ㆍ1789년기준 광양현 3,706호구 인구17,586명 ㆍ(남8,102명 여9,484명)
![]() ㆍ태인동, 금호동, 광영동 지역이 옥곡면에 소속된 ㆍ사실이 처음 문헌상 나타남.
![]() ㆍ面단위에 村(마을)이름이 처음 기록됨 ㆍ- 面→勸農官, 里→里正, 村→村正, 村長이라 부름 |
ㅇ여지도서(下)권 광양현 순천진관 방리조 p761(1759) |
1798 (정조22년) |
ㆍ우리고장의 조선중기의 지방 행정조직
![]() ㆍ현감(「병마절제 도위」를 겸함) ↓ 좌수1명, 별감2명, 도감6명 (업무분장은 조선초기와 같음)
![]() ㆍ훈도:폐지, 별장1명(종6품) - 섬진진 수군관할 |
ㅇ광양읍지 관직조(1798) | | |
|
 |
|
![]() |
연대 (年代) |
내용 (內容) |
전거 (典據) |
1869 (고종6년) |
ㆍ제1차 광양농민 항쟁으로 인하여 광양현의 ㆍ읍호(邑號)가 강등됨 |
ㅇ철종실록,비변사등록,임술록 ㅇ일성록,승정원일기 ㅇ광양군지p268∼272(1983) |
1872 (고종9년) |
ㆍ面단위아래 里명칭이 처음으로 문헌상(지도) 나타남 ㆍ- 光陽縣 : 12面 147里
![]() ㆍ다압면 섬진마을에 섬진진(蟾津鎭)이 있었으며 ㆍ주변에「鎭村」마을이 형성됨. ㆍ- 蟾津鎭 : 別將 종6품1名(縣監 同一品階) ㆍ-섬진강 동쪽 경남하동군 옛 豆恥津지역 포함 |
ㅇ광양현지도 (서울대학교규장각소장, 1872)
![]() ㅇ광양현 섬진진지도(서울대학교규장각소장, 1872) |
1889 (고종26년) |
ㆍ(1876 : 강화도 조약) ㆍ제2차 광양농민 항쟁이 일어남 |
ㅇ일성록 동년9월17일조 ㅇ비변사등록 제270책 ㅇ광양군지 p272(1983) |
1894 (고종31년) |
ㆍ(1894 : 갑오개혁 시작)
![]() ㆍ동학농민 봉기로 일본군과 관군에 의하여 광양의 ㆍ많은 동학교도가 살해됨 ㆍ- 섬거역 : 28명 학살(12.10) ㆍ- 각면 : 130여명포살(12.10∼12.11) ㆍ- 남문(聽潮樓)이 좌수영 수병(水兵)의 방화로 소실 |
ㅇ서울대학교 규장각소장 잡책철 NO1970 「광양현」 포착동도성명성책 ㅇ광양군지 p284∼285 (1983) |
1895.5.1 (윤달) (고종32년) |
ㆍ전국8도제를 폐지하고 23부제를 도입. ㆍ광양현(光陽縣)을 광양군(光陽郡)으로 개칭 ㆍ- 남원부(관찰사)관할 광양군(군수)이 됨 |
ㅇ칙령제98호(1895.5.26) |
1895 (고종32년) |
ㆍ경남 우수영(통영)관할 이었던 다압면 소재 ㆍ섬진진(蟾津鎭)이 폐쇄되면서 섬진진 관할이었던 ㆍ경남 하동군 豆恥津지역이 光陽郡지역에 속함 ㆍ- 光陽郡 多鴨面 蟾津里 |
ㅇ광양군지 p895(1983) ㅇ하동군사 p183(1978) |
1895.9.5 (고종32년) |
ㆍ面, 結, 戶수의 다소에 따라 각군의 등급을 ㆍ정하면서 광양군은 4등군이 됨 |
ㅇ칙령제164호(1895.9.5) ㅇ광양군지 p348(1983) |
1896.2.3 (건양1년) |
ㆍ突山郡이 신설되면서 광양군에 속했던 9개 도서가 ㆍ돌산군으로 넘어가면서 면(北面:신설)이 됨. ㆍ- 太仁島, 金島, 吉島, 苗島(描島), 飛雲島, ㆍ三干島(三化島, 三和島), 松島, 勒島, 獐島 |
ㅇ칙령제13호(1896.2.3) ㅇ전남읍면편람 p130(전남도, 1985) ㅇ광양군지 p348(1983) ㅇ여수ㆍ여천향토지p155-156 (1982) |
1896.8.4 (건양1년) |
ㆍ전국23부제가 폐지되고 13道制가 실시됨에 따라 ㆍ全羅南道 光陽郡(4등군)이 됨
![]() ㆍ전국13도(관찰사), 한성부(판윤:서울), 7부 (부사), ㆍ1목(목사:제주), 331군(군수)
![]() ㆍ인덕면(현, 광양읍)덕례리 일부가 승주군(현, 순천시) ㆍ해룡면에 편입 |
ㅇ칙령제36호(1896.6.25) ㅇ광양군지 p349(1983) ㅇ전남도지제10권 ㅇp100(1993) ㅇ광양군지 p349(1983) ㅇ광양시통계연보p35(2000) |
1899 (광무3년) |
ㆍ태인도 등 9개 도서로 된 돌산군 북면이 ㆍ돌산군 태인면(太仁面)으로 개칭. |
ㅇ여수ㆍ여천향토지(1982) ㅇ여산군지(1899) | |
| |
 |
|
![]() |
연대 (年代) |
내용 (內容) |
전거 (典據) |
1912 |
ㆍ왜정시대 행정개편 이전 광양지역 각面과 관할里 ㆍ- 면 : 12면, 리 ; 226리 ㆍ- 군청 : 우장면 성내리(城內里)
![]() ㆍ※ 12개 面名 ㆍ- 牛藏面, 仁德面, 七星面, 鳳岡面, 玉龍面, 骨若面, ㆍ-紗谷面, 玉谷面, 津上面, 津下面, 月浦面, 多鴨面 |
ㅇ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1912) ㅇ광양군지 p349(1983) |
1914. 3.1 |
ㆍ순천군 西面 鶴洞里 일부가 광양군 鳳岡面 石社里에 ㆍ편입
![]() ㆍ光陽郡 仁德面 東池里 일부가 順天郡 海龍面 ㆍ福星里에 편입
![]() ㆍ순천군 龍頭面 智峰里 일부를 광양군 仁德面 ㆍ德禮里에 편입.
![]() ㆍ순천군 龍頭面 山頭里 鳳栖里 의 각 일부를 광양군 ㆍ仁德面 世豊里에 편입
![]() ㆍ突山郡 太仁面의 여러도서를 다시 光陽郡 骨若面으로 ㆍ편입(돌산군 폐지) ㆍ- 돌산군 태인면 吉島 → 광양군 골약면 中洞里 ㆍ- 돌산군 태인면 小勒島, 勒島, 獐島, 松島 ㆍ- → 광양군 골약면 松獐里 ㆍ- 돌산군 태인면 三化島, 飛雲島, 金島 ㆍ- → 광양군 골약면 金湖里 ㆍ- 돌산군 태인면 墻內里, 龍址里, 道村 ㆍ- → 광양군 골약면 太仁里 ㆍ※苗島(描島)는 麗水郡 三日面 描島里로 남게됨 |
ㅇ총독부 부령제111호 (1913.12.29) 「도의위치, 관할구역 및 부군명칭, 위치 관할구역」 ㅇ지방연혁연구p97∼98(1988) |
1914. 4.1 |
ㆍ왜정시대 행정개편이후 광양지역 각面과 관할里 ㆍ- 면 : 9면(←12면) ㆍ- 동리 : 70리(←266리) ㆍ- 군청 : 광양면 읍내리
![]() ※ 9개 面名 ㆍ- 光陽面 鳳岡面, 仁德面, 玉龍面, 骨若面, 玉谷面, ㆍ-津上面, 多鴨面, 津月面 ㆍ- 牛藏面, 七星面, 紗谷面이 통합하여 光陽面이됨 ㆍ- 津下面과 月浦面이 통합하여 津月面이 됨 |
ㅇ총독부 부령제111호(1913.12.29) ㅇ조선면리동일람(1917) ㅇ전라남도지(1993) ㅇ지방연혁연구(1988) |
1915. 1.1 |
ㆍ광양군 섬진강 동쪽의 다압면 섬진리 일부(옛豆恥津 ㆍ: 현 경남 하동군 하동읍 화심리 만지마을)를 ㆍ경상남도 河東郡에 넘겨줌. ㆍ- 섬진강 서쪽의 다압면 섬진리 잔여 지역은 다압면 ㆍ-道士里에 편입됨. ㆍ- 섬진리 : 1914년 행정구역 개편이전 광양군 관할 里 |
ㅇ총독부부령제173호(1914.12.22) ㅇ전라남도지제10권p100(1993) ㅇ지방연혁연구p276(1988) ㅇ지방행정구역요람 p605(내무부, 1980) ※광양군지p354(1983) ㆍ하동군사p183(1978) |
1925. 4.1 |
ㆍ인덕면(仁德面)이 광양면(光陽面)에 편입됨 ㆍ(광양군 - 8면 관할) ㆍ(1945.8.15 : 해방) |
ㅇ지방행정구역요람 p605 (내무부, 1980) ㅇ지방연혁연구p276(1988) ㅇ전라남도지제10권p100(1993) ㅇ광양군지p354(1983) |
1948 |
ㆍ(1948.10.19 : 14연대 반란사건)
![]() ㆍ여수, 순천지역에서 많은 官民이 학살되고 이재민, ㆍ재산상 피해가 많았음.
![]() ㆍ광양지역은 한때 광양군청과 경찰서가 점령 되었으나 ㆍ곧 수복되었으며 백운산으로 잠입한 반군에 의해 ㆍ봉강, 옥룡, 옥곡, 진상,다압면 일대에 피해가 컷음. |
ㅇ광양군지(1983) |
1949.8.14 |
ㆍ광양면이 광양읍으로 승격 (광양군 - 1읍7면 관할)
|
ㅇ대통령령 제162호(1949.8.13) ㅇ전라남도지제10권p101(1993) ㅇ지방연혁연구p276(1988) |
1950∼1953 |
ㆍ(1950 6.25동란 발발)
![]() ㆍ6.25동란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이 살상되고 이재민과 ㆍ재산상 피해가 극심했음. |
ㅇ광양군지(1983) |
1966.6.1 |
ㆍ주민편의를 위해 골약면 太仁里, 金湖里를 관할하는 ㆍ光陽郡 骨若面 太仁出張所 설치. |
ㅇ광양군조례제205호(1966.6.1) ㅇ전라남도지제10권p104(1993) ㅇ광양군지p354(1983) |
1973.7.1 |
ㆍ골약면 松獐里가 麗川郡 栗村面에 편입 |
ㅇ대통령령 제6542호(1973.3.12) ㅇ지방연혁연구p276(1988) ㅇ전라남도지제10권p105(1993) ㅇ광양군지 p355(1983) |
1974. 11.1 |
ㆍ골약면 태인출장소(태인리, 금호리관할)에서 ㆍ면단위 전반 업무수행 |
ㅇ광양군조례 제374호 (1974.10.19) |
1983. 2.15 |
ㆍ광양군 골약면 태인출장소가 광양군 太金面으로 승격 ㆍ(광양군 - 1읍8면 관할)
![]() ㆍ옥룡면 雲谷里 일부(桂谷마을)가 광양읍 牛山里에 ㆍ편입됨
![]() ㆍ진월면 眞亭里 일부(三亭마을)가 진상면 靑岩里에 ㆍ편입됨 |
ㅇ대통령령 제11027호(1983.1.10) ㅇ대통령령 제11027호(1983.1.10) ㅇ대통령령 제11027호(1983.1.10) |
1986. 1.1 |
ㆍ골약면, 태금면, 옥곡면 광영리를 관할하는 全羅南道 ㆍ光陽地區出張所 설치. |
ㅇ전라남도조례 제1554호(1985.12.30) |
1987. 1.1 |
ㆍ승주군 해룡면 福星里 일부(朱領마을)가 광양읍 ㆍ德禮里 朱領마을에 편입
![]() ㆍ봉강면 지곡리 일부 (普雲마을과 牛頭마을일부)가 ㆍ광양읍 구산리 新基마을에 편입
![]() ㆍ전라남도 광양지구출장소 옥곡면 광영리가 同출장소 ㆍ골약면에 편입.
![]() ㆍ여천시 묘도동 일부(智進島:쥐섬, 지새미)가 전라남도 ㆍ광양지구출장소 태금면에 편입. |
ㅇ대통령령 제12007호(1986.12.23) ㅇ대통령령 제12007호(1986.12.23) ㅇ대통령령 제12007호(1986.12.23) ㅇ대통령령 제12007호(1986.12.23) |
1987. 1.1 |
ㆍ1987.1.1기준 光陽郡. 全羅南道 光陽地區出張所 ㆍ행정구역 일람
![]() ㆍ▷ 광양군 ㆍ- 行政區域 : 1邑, 6面, 59법정리, 168행정리 235자연 ㆍ-마을, 375반, 74,484인 ㆍ- 所 在 地 : 光陽邑 七星里 70
![]() ㆍ▷ 전라남도 광양지구출장소 ㆍ- 行政區域 : 2面, 10법정리, 34행정리 48자연 ㆍ-마을, 87반, 37,308인 ㆍ- 所 在 地 : 太金面 金湖里 615
![]() ㆍ▷ 행정구역 총괄 ㆍ- 行政區域 : 1邑, 8面, 69법정리, 202행정리 283자연 ㆍ-마을, 462반, 111,792인 |
ㅇ광양군 통계연보p39∼44(1988) ㅇ전라남도 광양지구출장소 통계연보 p33-34(1988) ㅇ지방연혁연구p281∼286(1988) ㅇ광양군 마을유래지 (1988) |
1989. 1.1 |
ㆍ전라남도 광양지구출장소가 東光陽市로 승격.
![]() ㆍ동광양시 동의 명칭및 관할구역 설정.
![]() ㆍ▷ 10개 법정동 ㆍ- 황금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황금리일원 ㆍ- 황길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황길리일원 ㆍ- 도이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도이리일원 ㆍ- 성황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성황리일원 ㆍ- 중군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중군리일원 ㆍ- 중 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중동리일원 ㆍ- 마 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마동리일원 ㆍ- 광영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광영리일원 ㆍ- 금호동 : 종전의 광양군 태금면 금호리일원 ㆍ- 태인동 : 종전의 광양군 태금면 태인리일원
![]() ㆍ동광양시 행정운영동 설치
![]() ㆍ▷ 7개 행정동 ㆍ- 황금동 : 황금동, 황길동 일원 ㆍ- 성황동 : 성황동, 도이동, 중군동 일원 ㆍ- 중마동 : 중동, 마동일원 ㆍ- 광영동 : 광영동 일원 ㆍ- 금호동 : 금호동337-1, 337-2, 384-1, 672-695, ㆍ- 금호동 : 701-702, 705-717, 717-1-784, 786, 산1, ㆍ- 금호동 : 산2-산3, 산12-산87번지 일원 ㆍ- 금당동 : 금호동564-1, 569-1, 570-1, 571-1, 572-2, ㆍ- 금당동 : 572-1, 577,577-1, 577-4, 578-1, 582-584, ㆍ- 금당동 : 619-671, 696-700, 703-704, 785, 787-789, ㆍ- 금당동 : 산1-1, 산1-4, 산101-27, 산127-1, ㆍ- 금호동 : 산130번지 일원
![]() ※동광양시 : 7행정동, 10법정동, 76통299반 관할 |
ㅇ법률 제4050호 (1988.12.31)
![]() ㅇ동광양시조례 제88호(1989.1.1) 「東光陽市 洞의名稱 및 管轄區域에 관한 條例」
![]() ㅇ동광양시조례 제89호 (1989.1.1) 「東光陽市 行政運營洞의 設置 및 洞長定數條例」 |
1995. 1.1 |
ㆍ동광양시 ㆍ광양군을 각각 폐지하고 도농 복합형태의 光陽市설치. ※ 광양시 : 1읍6면 7행정동, 10법정동. |
ㅇ법률제4810호(1994.12.22) 「도농복합형태의 시 설치에 따른행정특례등에 관한 법률」
![]() ㅇ광양시조례 제40호 (1995.1.4) 「광양시행정운영 동의 설치및 동장정수조례」
![]() ㅇ광양시조례 제138호 (1995.1.4) 「광양시 동리의명 칭과 관할구역에관한 조례」 |
1998.11.25 ∼현재 |
ㆍ광양시 과소동 통폐합으로 황금동ㆍ성황동을 골약동 ㆍ으로, 금호동ㆍ금당동을 금호동으로 통폐합 ㆍ※2001.12.30 현재 ㆍ광양시 : 1읍6면 10법정동 5행정동 59법정리 ㆍ광양시 : 182행정리 94통 1016반
![]() ㆍ광양시청 : 광양시 중동 1313번지 |
ㅇ광양시조례 제339호(1998.11.5) 「광양시 행정 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정수 조례중 개정조례」
![]() ※광양시조례 제404호 (1999.11.9) 「광양시 동리의 명칭과 관할구역에 관한조례 중 개정조례」
![]() ※광양시조례 제468호 (2001.5.16) 「광양시 행정 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정수 조례 중 개정조례」
![]() ※광양시조례 제468호 (2001.5.16) 「광양시 이통반 설치조례중 개정조례」
![]() ※광양시규칙 제269호 (1999.11.9) 「광양시 이통반 설치조례 시행규칙중 개정규칙」 | | | |
| | | | |
첫댓글 ㆍ백제시대 마로현(馬老縣)이라 부름 ◎.백제(성왕16년) 마르현 이라는것은 잘못표기된것임. 마로현이 맞습니다.ㅎ
1925년까지 광양에 인덕면이라는곳이 있었는데 현재 德禮里로 : 仁德面 回岩里, 禮求里, 德山里, 舞仙里, 朱令里, 東池里, 順天郡 龍頭面 智峰里 일부 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그후에는 광양면에 포함되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