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러시아 “스크루 해저면 접촉 손상뒤 기뢰 건드려 폭발”
러시아 천안함 보고서, 합조단과 다른 결론
권오성 기자, 김도성 피디




천안함 사고와 관련한 러시아 전문가의 보고서 내용은 사고 원인과 발생시각에 대해 민·군 합동조사단(합조단)의 조사결과와 크게 다르다. 물론 러시아 쪽의 결론이 추정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뚜렷하지만, 분명한 점은 합조단의 조사결과가 애초 기대와 달리 국제사회를 설득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게다가 국내외 전문가들도 합조단 조사결과 발표 이후 알루미늄 흡착물 등에 대한 많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천안함 논란을 가라앉히기 위해서라도 좀더 공개적인 논쟁이 필요해 보인다.
■ 훼손된 스크루 광택이 나도록 깎여
러시아 조사단은 천안함 스크루의 손상 원인에 대해 해저면에 접촉돼 손상을 입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는 어뢰 공격으로 프로펠러 축이 순간적으로 멈춰 관성에 의해 날개가 변형됐다는 합조단의 조사결과와 완전히 다른 것이다.
스크루 변형 문제는 사고 원인과 관련해 최근까지 지속적인 논쟁을 불러왔다. 합조단에 참여한 노인식 충남대 교수는 <한겨레21>과 한 인터뷰에서 충분한 과학적 검증이 이뤄지지 못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그럼에도 국방부는 스크루 날개에 긁힘 등의 흔적이 없는 점 등을 들어 좌초·충돌의 가능성을 배제하고 기존의 주장을 되풀이해왔다.
그러나 러시아 조사단은 조사결과 보고서에서 “훼손된 스크루가(를) 광택이 나도록 심하게 깎여(아) 넓은 범위에 걸쳐 마찰로 인한 손상부위가 있었던 것이 조사결과 감지되었다”고 적시해, 스크루를 둘러싼 논란은 더욱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 폭발이 있기 전에 어떤 일이?
러시아 조사단의 결과에는 한국 쪽이 공식적으로 밝힌 폭발시각(21시21분58초)에 앞서 천안함에 이상 징후가 있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조사결과 두 가지가 포함돼 있다.
첫째, 천안함 내부 폐쇄회로티브이(CCTV) 영상의 마지막 촬영시각을 21시17분3초라고 적시한 부분이다. 당시 군은 유족들의 입장과 개인 신상정보 등을 고려해 5월23일 유족들에게만 공개한다며, 폭발시간 1분 전까지 특이사항이 없는 영상이 찍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때문에 시시티브이 장면은 북한의 기습적인 어뢰 공격으로 갑자기 천안함이 침몰됐음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증거 가운데 하나였다.
그러나 합조단이 이정희 민주노동당 의원에게 보낸 시시티브이 정지사진을 보면, 일반적인 시시티브이 화면과 달리 시간이 찍혀 있지 않아 의문이 제기된 바 있다. 국방부는 러시아 조사결과에 대해 “실제시간과 시시티브이에 설정돼 있는 시간이 많은 차이가 있어 일부 오해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명시하지 않았다”며 “3분 47~50초 정도 차이가 난다”고 해명했다. 국방부의 설명이 맞을 수도 있지만, 중요한 사실관계를 뒤늦게 시인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천안함에 탑승해 있던 승조원이 다른 승조원의 부상사실을 해안통신병에게 핸드폰으로 알린 시각(21시12분3초)도 완전히 새로운 사실이다. 러시아의 조사결과가 맞다면 사고초기 해경이 보도자료를 통해 최초상황을 인지했다고 밝힌 시각(9시15분)보다도 3분가량 더 앞선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국방부는 통화사실을 부인하고 있어, 사실관계 확인이 우선 필요한 대목이다.
■ ‘1번 어뢰’ 수중에서 6개월 이상 된 것
합조단이 북한의 어뢰 공격에 의한 천안함 침몰의 ‘결정적 증거’로 제시한 어뢰 잔해에 대해 러시아 조사단은 육안조사와 표기표준을 들어 증거능력이 없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합조단은 5월20일 발표 때 금속 재질 전문가의 육안분석을 바탕으로 어뢰와 함수가 비슷한 기간 바다 속에 있었던 것으로 분석했지만, 러시아 조사단은 육안분석을 통해 이 어뢰파편이 6개월 이상 수중에 있었던 것으로 판단했다. 전문가들은 과학적인 조사를 통해 어느 정도까지는 부식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고 하고 있지만, 합조단은 “부위별로 부식 차이가 심하다”는 이유로 추가분석은 어렵다고 얘기하고 있다.
권오성 김도성 <하니티브이> 기자
sage5th@hani.co.kr
천안호, 그물에 스크류 걸려 좌초
한그루
러시아 조사단이 천안호의 침몰 원인으로 "천안호의 스크류가 그물에 걸려 헛돌다가 해저면 접촉손상 뒤에 기뢰를 건드려 폭발했다"라는 결과를 발표했다고 합니다. (관련 기사는 여기를 클릭)
보도된 내용 중에서 스큐류 관련 의혹은 저의 견해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먼저 밝힙니다. 그 이유는 스크류를 만든 스웨덴 회사에서 분석결과를 내놓은 것과 '상이'하기 때문입니다. 좀 더 검토가 필요한 상황으로 관련 전문지식이 없는 저로서는 '정황들을 분석'하여 어느 쪽 의견이 맞다...라고 내놓을 수밖에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합니다.(아, 쓰잘데기 없는 쪽글 남기시는 멍충이들은 내가 나에게 유리한 증거를 스스로 포기한다는 의미이니 맥락 파악하고 나를 빨갱이로 몰아도 보시길 바랍니다. 인간이면 인간 비스무리하게라도 행동하세요. ^^)
1. 1번 어뢰 수중에서 6개월 이상 된 것
제가 제일 먼저 주목한 것은 바로 이 대목입니다. 합조단은 어뢰의 파편이 수중에서 1∼2개월 정도 있었다..라고 발표했는데 그 발표를 정면으로 반박한 것입니다. 합조단은 그 이후 부위별로 부식의 정도가 심해 판별하기 힘들다...라는 발표를 했었는데 결국 수심의 문제이겠지요.
간만의 차가 큰 서해라지만 30여 미터 아래에서 부식되는 금속....이 과연 부위별로 판별하기 힘들 정도로 부식의 차이가 날까요? 합조단이나 다른 반박이 없다면 저는 러시아의 발표가 '맞다'라고 판단합니다.
2. CCTV 녹화
러시아 조사단은 마지막 촬영시각을 21시17분3초라고 적시했습니다. 그와 관련 국방부에서는 두 가지로 해명했습니다.
1) 실제 시간과 시시티브이에 설정돼 있는 시간이 많은 차이가 있어 일부 오해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명시하지 않았다.
2) CCTV는 3분 47~50초 정도 차이가 난다.
1)번 항목은 의심이 가는 부분입니다. 무슨 오해요? 오해가 있을 것 같아 공개하지 않았다? 변명치고는 참 조잡한 변명입니다.
그리고 2)번 항목은 CCTV가 어떤 것인지에 따라 오차가 나긴 합니다.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디지탈 방식인 DVR(Digital Video Recorder)은 GPS로 현재시간을 받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해 시간을 자동으로 조정해주기 때문에 오차가 거의 없습니다만 아나로그 방식인 CCTV는 현재시각에 대한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예전에 송일국 탤런트가 기자를 폭행한 사건을 상기한다면 CCTV의 시각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당시 송일국 폭행사건에서는 출입에서부터 실제 CCTV 인식까지는 수초의 차이가 있다...는 것이 법정쟁점이었는데 일반적으로 CCTV가 여러 범죄나 현상 등의 원인을 밝히는데 쓰인다는 것을 생각하면 시간은 항상 맞추어 놓아야 했습니다.
하루에 4분이면 한 시간에 한번 씩이라도 맞추면.... 오차는 10초 이내로 떨어집니다. 그런데 4분가량의 오차. 그 오차는 '교활한 범인'이라면 알리바이를 조작하는데 충분하고도 남는 시간입니다.
문제는 그 오차의 범위입니다. 인터넷을 검색해 보았더니 CCTV의 시간오차는 2분 이내라고 합니다.(관련 기사는 여기를 클릭) 실제 관련 회사의 홈페이지를 찾아가서 제품 카다로그를 보면 좀더 정확하게 알겠지만 요즘은 거의 DVR로 교체되어 CCTV 카다로그 구하기도 쉽지 않으니 이 부분은 생략하겠습니다만 해태 사유를 벗어나지는 못 할 겁니다. 중징계를 내려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나중에 최종분석 편에서 다시 쓰겠습니다만 관련 기사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