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 병이 되어 은거지에 기거하고 있는데 관동 팔백리 관찰사의 직분을 맡기시니, 아아, 임금님의 은혜가 갈수록 다함이 없구나. 연추문으로 달려 들어가 경회루 남문을 바라보며 임금님께 하직하고 물러나니 옥절이 앞에 서 있다. 평구역에서 말을 갈아 타고 흑수로 돌아드니, 섬강은 어디인가? 치악산이 여기로구나.
소양강의 흘러 내린 물이 어디로 흘러든다는 말인가? 임금곁을 떠나는 외로운 신하가 우국지정으로 백발이 많기도 많구나(연군지정과 우국지정)
동주에서 밤을 겨우 새워 북관정에 오르니, 삼각산 제일 높은 봉우리가 거의 보일 것도 같구나(연군지정). 궁왕(궁예)의 대궐터였던 곳에 까마귀와 까치가 지저귀니, 천고의 흥함과 망함을 아느냐? 모르느냐?(인생무상)
회양이라는 지명이 옛날의 이름과 마침 같구나. 급장유의 풍채를 다시 볼 것이 아닌가? (선정에의 포부)
감영안이 무사하고(선정을 베풀고 있음을 은근히 자랑함)시절이 삼월인 때, 화천의 시냇길이 풍악으로 뻗어 있다. 행장을 다 떨치고 돌길에 막대기를 짚고(죽장망혜) 백천동 지나서 만폭동으로 들어가니, 은같은 무지개와 옥같은 용의 꼬리, 섞어 돌며 뿜는 소리가 십리 밖까지 퍼져 있으니 멀리서 들을 때는 우레 소리같더니 가까이서 보니 눈이로구나.(폭포의 모습과 소리를 묘사)
금강대 맨 위층에 선학이 새끼를 치니, 봄바람에 들려오는 옥피리 소리에 선잠을 깨었던지, 흰저고리 검은 치마로 단장한 학이 공중에 솟아 뜨니(호의현상), 서호의 옛 주인을 반기듯 나를 반겨 넘나들며 노는구나.
소향로봉과 대향로봉을 눈 아래 굽어보고, 진헐대에 다시 올라 앉으니, 여산 진면목이 여기서 다 보인다.(금강산의 아름다운 참모습이 여기서 다 보이는구나). 아아, 조물주의 솜씨가 야단스럽기도 야단스럽구나.(산세의 다양함을 칭찬) 나는 듯 하면서 뛰는 듯 하고, 우뚝 서 있는 듯 하면서 솟은 듯 하구나.(다기다양하면서 동적인 봉우리를 찬양)부용꽃을 꽂아 놓은 듯, 백옥을 묶어 놓은 듯, 동해를 박차는 듯 북극을 괴어 놓은 듯하구나.
높기도 높구나 망고대여, 외롭기도 하구나 혈망봉이 하늘에 치밀어 무슨 일을 아뢰려고 오랜 세월이 지나도록 굽힐 줄 모르느냐( 그 지조가 놀랍다) 아 너로구나. 너 같은 이 또 있는가( 너처럼 지조가 높은 것이 또 있겠는가)
개심대에 다시 올라 중향성을 바라보며 만이천 봉을 똑똑히 헤아려 보니, 봉마다 맺혀 있고 끝마다 서린 기운 , 맑거든 깨끗하지 말거나, 깨끗하거든 맑지 말 것이지. 저 기운을 훑어 내어 뛰어난 인재를 만들고 싶구나( 우국지정-정치가로서의 포부). 형용도 끝이 없고, 산세도 많기도 많구나. 천지가 생겨날 때 저절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이제 와서 보니 모두가 뜻이 있어 만들어진 것이니 정답기도 정답구나.
비로봉 꼭대기에 올라 본 이가 그 누구인가. 동산과 태산이 어느 것이 높던가? 노국 좁은 줄도 우리는 모르거든, 넓고도 넓은 천하가 어찌하여 작다는 말인가? 아아, 저 높은 경지를 어찌하면 알 것인가?오르지 못하는데 내려감이 괴이할 것인가?
원통골 좁은 길로 사자봉을 찾아 가니, 그 앞의 넓은 바위 화룡소가 되었구나. 천년된 늙은 용이 굽이 굽이 서려 있는 것같이 밤낮으로 물을 흘러 내어 넓은 바다에 이어졌으니, 바람과 구름을 언제 얻어 삼일우를 내리려 하느냐( 흡족한 비를 내리려 하느냐). 그늘진 낭떠러지에 시든 풀을 다 살려 내려무나(선정에의 포부)
마하연, 연길상, 안문재를 넘어 내려가 외나무 썩은 다리를 건너 불정대에 오르니, 천길이나 되는 절벽을 공중에 세워 두고 , 은하수 많은 굽이를 마디마디 잘라 내어 실처럼 풀어내어 베처럼 걸어 걸어 두었으니, 도경 열 두 굽이 , 내가 보기에는 더 많아 보이는구나. 이백이 이제 있어 다시 의논하게 되면 여산이 여기보다 낫다는 말을 못 할 것이다.
내금강의 경치만 항상 보겠는가/ 동해로 가자꾸나. 남녀를 타고 천천히 걸어서 산영루에 오르니 눈부시게 반짝이는 시냇물과 여러 소리로 우짖는 새는 이별을 원망하는 듯하고(감정이입), 정기를 위세있게 휘날리니 오색이 넘나들며 노니는 듯, 북과 피리를 섞어 부니 바닷구름이 다 걷히는 듯하다. 모래길에 익숙한 말이 취선을 비스듬히 태우고 해변의 해당화가 핀
곳으로 들어가니, 백구야 날지 마라, 네 벗인 줄 어찌 아느냐( 자연친화의 감정, 물아일체)
금난굴 돌아들어 총석정에 올라가니, 백올구의 남은 기둥이 다만 네 개가 서 있구나. 공수의 공작품인가, 귀부로 다듬었는가, 구태여 육면은 무엇을 본떴던가?
고성을 저만큼 두고 삼일포로 찾아가니, 바위에 새긴 붉은 글씨는 뚜렷하되 사선은 어디를 갔는가? 여기서 사흘을 머문 후에 또 어디로 가 머물렀던가?선유담, 영랑호 거기나 가 있는가? 청간정, 만경대를 비롯하여 몇 군데에서 앉아 놀았던가?(사선에 대한 추모)
배꽃은 벌써 지고 소쩍새가 슬피 울 때 낙산사 동쪽언덕으로 의상대에 올라 앉아 일출을 보려고 한밤중쯤 일어나니, 상서로운 구름이 뭉게뭉게 피어나는 듯, 여러 마리 용이 해를 떠받치는 듯, 바다에서 떠 오를 때는 온 세상이 일렁이더니, 하늘에 치솟아 뜨니 가는 터럭도 헤아릴 만큼 밝도다. 아마도 지나가는 구름이 근처에 머무를까 두렵구나(이백의 시구절 인용- 총위부운능폐일) 이백은 어디 가고 시구만 남았느냐? 천지간의 굉장한 소식을 자세히도 표현하였구나(해타- 훌륭한 사람의 닙에서 나온 말이나 글)
석양 현산의 철죽을 잇달아 밟아 우개지륜(새의 깃으로 뚜껑을 꾸민 수레)을 타고 경포로 내려 가니, 십리 얼음같은 비단을 다리고 다시 다려 큰 소나무 둘러 싼 속에 실컷 펼쳐져 있으니, 물결도 잔잔하기도 잔잔하구나. 물 속의 모래알을 헤아릴 만하구나. 한 척의 배를 띄워 정자 위에 올라가니 강문교 넘은 곁에 동해가 거기로구나. 조용하구나 이 기상이여, 넓고 아득하구나 저 경계, 이보다 갖추어 진 곳이 또 어디 있다는 말인가. 홍장의 고사를 야단스럽다고 할만 하구나.
강릉 대도호부의 풍속이 좋기도 하구나. 충신,효자, 열녀를 기리는 정문이 고을마다 늘렸으니, 요순시절의 태평성대가 이제도 있다고 하겠도다.
진주관 죽서루 오십천의 내린 물이 태백산 그림자를 동해로 담아 가니, 차라리 한강의 남산에 닿게 하고 싶구나(연군지정). 왕정(관리의 여정)이 유한하고 풍경이 싫증이 나지 않으니, 그윽한 회포가 많기도 많구나. 나그네의 시름도 둘 곳이 없구나(달랠 길이 없구나).선사(신선의 뗏목)를 띄어 내어 북두성과 견우성으로 향할 것인가, 사선을 찾으려 단혈에 머무를 것인가( 연군의 정과 선인에 대한 선망사이에서 느끼는 화자의 갈등)
하늘의 맨끝을 끝내 못 보고 망양정에 오르니, 바다 밖은 하늘인데 하늘밖은 무엇인가? 가뜩이나 성난 고래(파도), 누가 놀라게 하기에 불기도 하고 뿜기도 하면서 어지럽게 구는 것인가? 은산을 꺾어 내어 온 세상에 흩뿌리는 듯, 오월 드높은 하늘에 백설(물보라)은 무슨 일인가?
잠깐 사이에 밤이 되어 바람과 물결이 가라앉거늘, 부상 가까운 곳에서 명월을 기다리니, 상서러운 빛이 보이는 듯하다가 숨는구나. 구슬꿰어 만든 발을 다시 걷고, 섬돌울 다시 쓸며, 샛별이 돋아올 때까지 곳꼿이 앉아 바라보니, 백년화(명월) 한 가지를 누구라서 보내셨는가? 이렇게 좋은 세계를 남들에게 다 보이고 싶구나(애민의 정). 신선의 술을 가득 부어 달에게 물어 본 말이 영웅은 어디 갔으며, 사선은 그 누구이더냐? 아무나 만나보아 옛날의 기별을 묻고자 하니 선산이 있다는 동해로 갈 길리 멀기도 멀구나.
소나무 뿌리를 베고 누워 설핏 잠이 드니 꿈에 한 사람이 나에게 이르기를 “그대를 내가 모르겠느냐? 하늘나라의 참 신선이라. 황정경 한 자를 잘못 읽어 인간세상에 내려 와서 우리를 따르려는가? 잠시동안 가지 마오, 이 술 한 잔 먹어 보오, 북두칠성 같은 국자를 기울여 창해수(술)를 부어 저 먹고 날 먹이거는 서너잔을 기울이니 온화한 봄바람이 산들산들하여 양 겨드랑이를 추켜 드니 구만리 하늘에 거의 웬만하면 날 것 같구나. 이 술을 가져다가 온 세상에 골고루 나누어 온 백성을 다 취하게 만든 후에 그 때서야 다시 만나 또 한 잔 하자꾸나( 선우후락의 정신) 말을 끝맺자 학을 타고 구만리 장공에 올라가니 공중의 옥피리 소리가 어제던가 그제던가. 나도 잠을 깨어 바다를 굽어보니 깊이를 모르는데 가인들 어이 알겠는가. 명월이 온 세상에 아니 비친 곳이 없다.
첫댓글 연재 감사합니다
잘보고 갑니다 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