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조경수 관리와 문제점 | |
|
2.숲 가꾸기 | ||||||
숲을 가꾸는 이유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은 숲으로부터 나오는 많은 혜택을 받고 있다. 건축재, 종이, 화장지등 인간생활에 꼭 필요한 물질을 만드는 목재와 같은 직접적인 경제재는 물론 물, 산소등 인간생명에 필수적인 간접적인 환경공익재 등 그 혜택은 이루 말할 수 없다. ① 숲의 경제적 가치증진 ② 숲의 환경적 가치증진 도시근교에서는 썩고 죽은 나무, 수관이 불량한 나무를 제거하므로써 경관조성, 산불예방, 건강한 숲을 만들 수 있다. 가꾸어 주어야 할 시기를 놓치거나 가꾸어 주지 않으면 숲이 쓸모없이 되어 버린다. 인공림 숲 가꾸기 ① 풀베기 ② 어린나무 가꾸기 ③ 간벌 천연림 숲 가꾸기 ① 천연림보육 ② 덩굴제거 솎아베기 솎아베기는 나무의 경제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하는 작업이다. 경제적으로 값이 비싼 나무는 나무줄기가 굵고 곧다. 나무줄기가 굵고 곧은 나무를 만들기 위하여는 나무의 성장과정에 따라서 가꾸어 주어야 한다. 줄기가 곧은 나무를 만들기 위하여는 처음 나무를 심을 때 나무간의 밀도를 좁게 하여 나무가지가 옆으로 자라기 보다는 위로 곧게 자라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밀도를 높게 심어놓은 나무들은 서로 맞닿아 빛과 토양양분에 대한 경쟁이 치열하여 직경생장은 거의 하지 못하고 키만 크게 된다. 이때 솎아베기를 하여 주어야만 나무의 직경생장을 촉진하여 나무가 바람에 쓰러지거나 자연적으로 기울어져 숲이 망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무간의 가지가 서로 맞닿아 나무의 생육에 피해를 줄 경우 나무줄기가 굵고 곧아 앞으로 경제적으로 가치가 큰 나무를 선정하고 생육에 장애가 되는 나무를 제거한다. (제거대상목 : 방해목, 쌍줄기목, 회초리목, 병충해목) 미래목 생육에 장애가 되지 않는 나무는 남겨두어 미래목이 잘못될 경우를 대비한다. 하층식생은 임지보호를 위하여 남겨두며 희귀자생수종은 보호한다. 가지치기 나무의 경제적 가치가 높은 것은 일반적으로 굵고 곧은 것이어야 하고, 옹이(나무가지자국)가 없어야 한다. 옹이는 원목을 부가가치가 높은 판재로 가공하면 구멍이 되므로 판재로 만들 수 없어 나무의 값을 반값이하로 떨어지므로 가지의 굵기가 굵어지기 전에 잘라 주어야 한다. 가지가 작을 때 가지치기를 하여 주면 잘라진 가지부분이 나무의 조직과 유합되어 구멍이 생기지 않으나 가지치기의 시기를 놓쳐 가지가 굵어지면 구멍이 생긴다.
솎아베기와 가지치기의 효과 하층식생의 가치
이상적인 숲의 단면
|
3. 수목농장조성과제 | ||||||||
|
4.정원수 시비 | |||||||||||||||||||||||||||||||||||||||
1. 시비
다량원소 1 . 질소
- 활엽수 : 잎이 황록색, 잎의 크기가 작고 두꺼워진다. - 침엽수 : 침엽이 짧아지고 황색을 띄게된다. - 시비법 : 토양시비는 질소100m²당 1~2kg씩 시비. 엽면시비는 물 100ℓ당 1kg씩 희석.
2 . 인
- 활엽수 : 잎의 밑부분이 적색또는 자색으로 변함. - 침엽수 : 침엽이 구불어 짐. - 시비법 : 사질토는 인산을 100㎡당 1~2kg. 점토는 2~4kg시비.
3 . 칼륨
- 활엽수 : 잎이 쭈글쭈글 해짐. 위쪽으로 말림. - 침엽수 : 침엽이 황색, 자색을띔 - 시비법 : 칼륨비료를 토양에 100㎡ 사질토는 2~8kg, 점토는 8~15kg 시비.
4 . 칼슘
- 활엽수 : 잎이 백화현상. 어린잎이 다소작음. - 침엽수 : 잎의 끝부분 고사. - 시비법 : 알칼리성 토양은 사질토에 황산칼륨 100㎡당 40~75kg, 점토는 75~150kg 시비.
5 . 마그네슘
- 활엽수 : 잎이 얇고 조기에 낙엽이됨. - 침엽수 : 잎의 끝부분이 황색, 또는 적색으로 변색. - 시비법 : 토양시비는 사토의경우 황산마그네슘을 100㎡당 12~25kg 점토는 25kg씩 시비.
6 . 황
- 활엽수 : 짙은 황록색으로 변하며 잎의 크기가 작아진다. - 침엽수 : 잎의 끝부분이 적색. - 시비법 : 토양시비는 사토의 경우 5~8kg, 점토의 경우 8~12kg시비.
미량 원소
1 . 붕소
- 활엽수 : 잎이 적색을 띄며 작고 두꺼워진다. - 침엽수 : 잎이 구부러진다. - 시비법 : 토양시비는 사토의 경우 Borax를 100㎡당 0.2~0.6kg, 점토는 0.5~1.0kg씩 시비.
2 . 구리
- 활엽수 : 잎이 작아지고 새가지의 끝부분이 갈색으로 변한다. - 침엽수 : 잎의 끝부분이 고사하며 조기에 낙엽현상이 보인다. - 시비법 : 토양시비는 황산동100㎡당 사토의 경우 0.5~1.5kg, 점토의 경우 1.5~5.0kg씩을 시비한다. 엽면시비의 경우 황산동을 100ℓ당 0.5~0.8kg을 희석하여 시비한다.
3 . 철
- 활엽수 : 어린잎이 황색으로 변하고 크기가 작아진다. 조기낙엽. - 침엽수 : 백화현상. - 시비법 : 토양시비는 황산철을사토100㎡당 12kg, 점토의 경우 18kg씩을 시비한다.
4 . 망간
- 활엽수 : 잎이 황색으로 변한다. 열매의 크기가 작다. - 침엽수 : 철분부족현상과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구별이 어려움. - 시비법 : 토양시비는 황산망간을 100㎡당 2~10kg씩 시비하고 엽면시비는 100ℓ당 0.25~1.0kg씩을 희석하여 살포한다.
5. 몰리브덴
- 활엽수 : 잎의 폭이 다소좁아진다. 꽃의 크기가 작고 적게 맺힌다. - 시비법 : 토양시비는 Na , MoSO₄, MoO₄를 100㎡당 2~20kg씩 지표면에 살포한다.
6 . 아연
- 활엽수 : 잎이 황색으로 변하며, 크기가 작아진다. - 침엽수 : 가지와 잎의 크기가 작아지며 잎이 황색으로 변한다. - 시비법 : 토양시비는 chelate를 100㎡당 1kg씩 시비하며, 엽면시비는 chelate를100ℓ당 125~0.25kg씩 희석하여 살포.
2. 퇴비제조법 퇴비제조의 목적 토양의 화학성과 물리성 및 생물성을 좋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토양 중에 적절한 양의 유기물이 들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농토에 유기물을 지속적으로 줄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 때에 주의할 점이 있다. 즉 볏짚이나 보릿짚처럼 탄소 함량에 비해 질소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유기물을 많이 주면 볏짚이나 보릿짚이 썩는 동안 토양 중 미생물들이 토양에 있는 질소를 이용하기 때문에 작물이 질소를 이용할 수 없게 되어 작물이 잘 자라지 못하게 된다. 어떤 유기물은 분해되는 과정 중에 작물에게 해로운 물질을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가축분뇨 같은 것은 유해한 기생충을 갖고 있고 또 악취 때문에 다루기도 불편하고 또 발효시켜 각종 유기물들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바람직하지 않은 성질들을 제거하는 데에 있다. 퇴비 제조의 목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퇴비화 과정 퇴비화 과정은 유기물의 발효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발효란 생물적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다. 퇴비화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은 어느 단계까지 분해시키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퇴비화의 최적조건 퇴비화는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일어난다. 따라서 퇴비화가 빠르게 일어나려면 미생물이 활동하기 좋은 조건이 필요하다. 퇴비화에 관여하는 미생물들은 다음 조건들을 요구한다.
퇴비화 방법 가. 퇴적식 방법(농가의 경우) 퇴적에 있어서 주의할 점은 용적이 지나치게 크지 않게 하는 것과 배수가 잘 되도록 해야하고 비와 직사광선을 피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퇴적 부피는 10-12㎥ (넓이 5-6㎡ ∼높이 2m)가 적당하며 적절한 방법으로 빛 비를 가려 줄 수 있게 해야 한다. 퇴비 발효 과정 중에 퇴비 더미를 뒤집어 주어야 한다. 퇴비 더미 중에 공기를 소통 시키기 위해서 이다. 기온이 높을 때 볏짚이나 보릿짚으로 퇴비를 만들 경우에는 2-3회 되집어 주고 톱밥이나 왕겨처럼 분해가 잘 되지 않는 재료로 퇴비를 만들 때에는 주1회씩 뒤집어 주고 그 뒤에는 한 두 차례 뒤집어 주면 된다. 나. 고속퇴비제조법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제조법에는 부자재를 이용한 고속퇴비제조법과 부자재를 이용하지 않고 가축분을 건조하여 퇴비제조하는 연속퇴비제조법이 있다. 고속퇴비제조법은 그림 1과 같이 수분조절제와 가축분뇨를 기계로 혼합하여 발효조에 넣고 부숙시키는 방법이다. 수분조절제로는 톱밥, 수피, 왕겨,볏짚을 이용하고, 질소원으로는 가축분뇨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퇴비생산기계로는 나무절단기, 분쇄기 및 봉제기가 필요하고 시설은 퇴비사. 원료저장용기 300㎥발효조 3가지로 나누어 진다. 발효조내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장치와 횡단가능한 교반 장치가 이동하며 뒤집기를 한다. 퇴비원료는 탄소원으로 목재폐기물을 사용하고 질소원으로 가축분뇨를 이용한다. 가축분뇨는 제1건조장에서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여 수분함량을 65∼70%로 한다. 목질자재는 절단기로 절단한 후 파쇄기로 분쇄하고 수분함량을 40∼60%로 한다. 이를 가축분뇨와 혼합하여 발효조에 넣으면 수분함량이 60∼65% 정도 되고 발효조 내에 공기를 공급하여 호기성균에의해 분해를 촉진시키는 방법이다. 연속퇴비제조법 연속퇴비제조법은 천일, 화력에 의하지 않을뿐 아니라 수분조절제(톱밥, 왕겨)을 사용하지 않고 퇴비를 만드는 방법으로서 대규모의 퇴비공장보다 중소규모의 양축농가에서 가능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처음에 만 생분을 건조 시켜 퇴적하여 수분함량 30∼40%의 퇴비를 만들어 종균퇴비로 하고,이 종균퇴비와 생분을 1:1 로 혼합퇴적하여 재발효 시킨다. 이때 수분은 60∼65% 정도로 하는데 수분함량이 이보다 많을 때는 종균의 퇴비의 량을 많게 하던가, 수분이 이보다 적을 때는 종균퇴비의 량을 적게 한다. 재발효의 퇴적 수분함량은 58∼65%로하여 퇴적기간중에 2∼3회의 뒤집기하여 퇴비화한다. 발효가 끝난 퇴비는 그 량의 반은 퇴비로 사용하고 나머지 반은 다음 생분과 혼합할 종균퇴비로 사용한다. 생분의 천일건조는 종균퇴비를 만들때인 처음에만 실시하고 그 후에는 생분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퇴비를 만드는데, 계절에 관계 없이 2∼3주간이면 퇴비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3. 농약에 대하여
다. 근사미
라.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연농약
4. 제초 및 풀베기
5. 물주기
6. 수간 주사
단풍에 대하여
|
5. 나무보식. 전정 | ||||||||||||||
|
6. 수목 이식 | |||||
|
7. 조경용 수목 선택 | |||||||||||||||||||||||||||||||||||||||||||||||||||
|
8. 군락식재 설계 개념과 기법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