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왕기상15:25-34절(이유 있는 단명 정치)
이스라엘 왕 나답(25-32)
a.나답의 통치와 평가:25-26
b.바사야에게 암살된 나답:27-30
c.나답의 통치 종결부:31-32
(적용)
1. What is the contents of the text?
-25.Nadab son of Jeroboam became king of Israel in the second year of Asa king of
-Judah, and he reigned over Israel two years.
-26.He did evil in the eyes of the LORD, walking in the ways of his father and in his sin,
-which he had caused Israel to commit.
-27.Baasha son of Ahijah of the house of Issachar plotted against him, and he struck
-him down at Gibbethon, a Philistine town, while Nadab and all Israel were besieging it.
-28.Baasha killed Nadab in the third year of Asa king of Judah and succeeded him as king.
-29.As soon as he began to reign, he killed Jeroboam's whole family. He did not leave
-Jeroboam anyone that breathed, but destroyed them all, according to the word of the
-LORD given through his servant Ahijah the Shilonite-
-30.because of the sins Jeroboam had committed and had caused Israel to commit,
-and because he provoked the LORD, the God of Israel, to anger.
-31.As for the other events of Nadab's reign, and all he did, are they not written in the
-book of the annals of the kings of Israel?
-32.There was war between Asa and Baasha king of Israel throughout their reigns.
2. Who is God?
-유다의 아사 왕 둘째 해에(25a)
-여로보암의 아들 나답이(25b)
-이스라엘 왕이 되어(25c)
-이 년 동안 이스라엘을 다스리니라(25d)
-그가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되(26a)
-그의 아버지의 길로 행하며(26b)
-그가 이스라엘에게 범하게 한(26c)
-그 죄 중에 행한지라(26d)
-이에 잇사갈 족속(27a)
-아히야의 아들 바아사가(27b)
-그를 모반하여(27c)
-블레셋 사람에게 속한 깁브돈에서 그를 죽였으니(27d)
-이는 나답과 온 이스라엘이(27e)
-깁브돈을 에워싸고 있었음이더라(27f)
-유다의 아사 왕 셋째 해에(28a)
-바아사가 나답을 죽이고(28b)
-대신하여 왕이 되고(28c)
-왕이 될 때에 여로보암의 온 집을 쳐서(29a)
-생명 있는 자를(29b)
-한 사람도 남기지 아니하고 다 멸하였는데(29c)
-여호와께서 그의 종 실로 사람 아히야를 통하여(29d)
-하신 말씀과 같이 되었으니(29e)
-이는 여로보암이 범죄하고(30a)
-또 이스라엘에게 범하게 한 죄로 말미암음이며(30b)
-또 그가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를(30c)
-노엽게 한 일 때문이었더라(30d)
-나답의 남은 사적과 행한 모든 일은(31a)
-이스라엘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31b)
-아사와 이스라엘의 바아사 왕 사이에(32a)
-일생 동안 전쟁이 있으니라(32b)
3. What lesson do you give me?
-아버지의 악행을 이어받다
-심판의 말씀이 실현되다
-먼저 불신앙과 싸웠어야 했다
1) 본문 요약?
-등극 공식(25)
-나답 왕에 대한 평가(26)
-바이사의 반란(27-30)
-죽음 공식(31-32)
2) 본문의 내용이 무엇인가?
-개혁은 옷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기본으로 돌아가는 일이다. 말씀의 권위가
-회복되게 하는 일이다. 편하고 익숙한 것이 때로 본질을 왜곡하는 가장 위험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기존의 나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나로 태어나는 일이다.
(1) 남 유다 왕 아사 때에 북이스라엘은 누가 통치하였는가?
(2) 나답의 치세 동안 그의 대한 평가가 무엇인가?
(3) 결국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3)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악행을 일삼은 북이스라엘을 반란을 통해 심판하심
-아사와 바아사 사이에 일생 동안 전쟁이 있게 하심
4) 내게 주시는 교훈이 무엇인가?
-과거와 단절하지 못하다
-과거의 경고를 실현하다
-자기의 불신앙 대신 블레셋과 싸우다
-세상에 물든 종교
-죄악의 결과는 혼돈과 무질서
-불순종의 결과는 심판
(1) 이스라엘 왕들에게 회개는 무슨 의미인가?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가?
4. Presentations Prayer
악행을 일삼은 북이스라엘을 반란을 통해 심판하시는 하나님
제게 과거의 죄와 단절하지 못해 생긴 어려움이 무엇이나이까?
인간의 악함과 구조의 비도덕성이 망가뜨린 이 사회를 심판하여 주옵소서.
나답과 바아사를 통해 보여 진 하나님의 응징을 두려운 마음으로 교훈을
삼게 하시고 이 응징이 사회가 정화되고 나를 성찰하는 계기가 되게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