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신라는 박씨와 석씨 그리고 김씨가 왕위를 계승한다
박씨는 박혁거세가 시조로 왕명이 거서간이다.
석씨는 석탈해가 시조로 왕명이 이사금이다.
김씨는 미추이사금이 시조로 왕명이 이사금이다. 300년경 북방계인 요동의 낙랑에서 넘어온 사람이다
마립간(메르켄)은 내물이사금부터 시작된다. 모씨이며 선비흉노족의 일파로 보인다.
원래 박씨왕조(서라벌) 석씨왕조(사로국) 김씨왕조(신라) 였으나, 17대 내물마립간 부터 모씨가 집권한 것으로 보인다.
•제22대 지증(知證) 마립간(A.D500~A.D514) 이후 왕(王)이라는 칭호를 처음 사용함.
아래는 삼국사기에 기록된 왕위계통도이다.
http://blog.daum.net/sonee/914
■신라의 왕위계통도
제1부. 삼국시대
(제1대 혁거세왕에서 제29대 태종무열왕까지)
박씨 왕조
•제1대 혁거세거서간(赫居世)(B.C57~A.D4) :13세에 왕위에 올라 나라이름을 서라벌이라 함. 왕21년에 수도를 금성(金城)이라 하고 성을 쌓아 국가의 기초를 쌓음. B.C27년 천일창(槍天日)이 왜(일본)땅으로 가고 신라의 도공이 왜에 건너가서 신라식 도자기 제작.
•제2대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A.D4~A.D24) : 박혁거세의 맏아들. 석탈해(昔脫解, 탈해왕)를 사위로 삼아 정사를 맡겼다함. 병선 100여척으로 왜구를 격퇴.
•제3대 유리 이사금(留璃尼師今)(A.D24~A.D57): 남해왕 아들. 6부(部)의 이름을 고치고 성(姓)을 내렸으며 신라 가악의 기원인 ‘도솔가’ 등을 지음.
석씨 왕조
•제4대 탈해(脫解) 이사금(A.D57~A.D80): 석탈해(昔脫解). 65년 국호를 계림(鷄林)이라 고침. 김알지 탄생.
2주갑 인상하면 (177~200)
박씨 왕조
•제5대 파사(婆娑) 이사금(A.D80~A.D112): 유리왕 아들. 월성을 쌓아 백성을 옮겨 살게 하고, 여러나라를 병합하여 국위를 떨침.
•제6대 지마(祗摩) 이사금(A.D112~A.D134): 파사왕의 맏아들. 백제의 협조로 말갈을 물리쳤음. 지미왕(祗味王)
•제7대 일성(逸聖) 이사금(A.D134~A.D154): 아버지는 유리왕의 형. 농본정책으로 경지를 개간하고 백성의 사치를 금함.
•제8대 아달라(阿達羅) 이사금(A.D154~A.D184): 현(縣)의 설치와 도로개통 등 내치에 힘씀.
석씨 왕조
•제09대 벌휴(伐休) 이사금(A.D184~A.D196): 탈해왕의 손자
•제10대 나해(奈解) 이사금(A.D196~A.D230): 벌휴왕의 손자
•제11대 조분(助賁) 이사금(A.D230~A.D247): 벌휴왕의 손자.
•제12대 첨해(沾解) 이사금(A.D247~A.D261): 벌휴왕의 손자. 조분왕의 동생. 고구려와 국교를 통함.
김씨 왕조
•제13대 미추(味鄒) 이사금(A.D261~A.D284): 김씨 왕가의 시조.
석씨 왕조
•제14대 유례(儒禮) 이사금(A.D284~A.D298): 조분왕의 맏아들. 백제와 수교함.
•제15대 기림(基臨) 이사금(A.D298~A.D310): 조분왕의 둘째아들. 307년에 국호를 신라(新羅)로 고침.
•제16대 흘해(訖解) 이사금(A.D310~A.D356): 기림왕이 후사가 없이 죽자 군신들의 추대로 즉위함.
김씨 왕조(모씨 왕조 마랍간)
•제17대 내물 마립간(奈物 麻立干)(A.D356~A.D402): 중국문물 수입에 힘씀. 나밀왕(那密王)이라고도 함.
•제18대 실성(實聖) 마립간(A.D402~A.D417): 내물왕이 죽은 후 백성들의 추대로 즉위. 내물왕의 태자 눌지(訥祗)를 시기하여 죽이려하다가 도리어 피살됨.
•제19대 눌지(訥祗) 마립간(A.D417~A.D458): 내물왕의 아들. 실성왕의 사위. 438년 우차법(牛車法)을 제정. 458년 묵호자(墨胡子)가 불교를 전파.
•제20대 자비(慈悲) 마립간(A.D458~A.D479): 왕 17년에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자 나제(羅濟)동맹을 맺음.
•제21대 소지(炤知) 마립간(A.D479~A.D500)
•제22대 지증(知證) 마립간(A.D500~A.D514): 휘는 지대로(知大路), 왕(王)이라는 칭호를 처음 사용함. 이사부(異斯夫)가 우산국(于山國)(울릉도)을 점령함.
•제23대 법흥왕(法興王)(A.D514~A.D540): 휘는 원종(原宗). 51년 아시촌(阿尸村)에 소경(小京) 설치. 율령(律令)반포. 52년 이차돈(異次頓) 순교. 532년 금관가야 멸망시킴. 536년 처음으로 연호를 건원(建元)이라 함.
•제24대 진흥왕(眞興王)(A.D540~A.D576): 휘는 삼맥종(三麥宗). 황룡사(皇龍寺) 건립을 시작. 555년 북한산 진흥왕순수비(眞興王巡狩碑). 561년 창녕 진흥왕순수비, 568년 황초령 진흥왕순수비, 마운령 진흥왕순수비를 건립. 562년 대가야 멸망시킴.
•제25대 진지왕(眞智王)(A.D576~A.D579): 휘는 사륜(舍輪).
•제26대 진평왕(眞平王)(A.D579~A.D632): 휘는 백정(白淨).
•제27대 선덕여왕(善德女王)(A.D632~A.D647): 휘는 덕만(德蔓).
•제28대 진덕여왕(眞德女王)(A.D647~A.D654): 휘는 승만(勝蔓).
중대. 김씨 왕조
•제29대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A.D654~A.D661): 휘는 춘추(春秋). 백제를 멸망시킴.
제2부. 통일시대
(문무왕부터 제50대 정강왕까지)
•제30대 문무왕(文武王)(A.D661~A.D681): 휘는 법민(法敏). 왕17년에 백제,고구려를 멸망시켜 삼국통일. 유언에 따라 동해 대왕암에 수장함. 667년 김유신과 함께 고구려 정벌에 나섬. 김유신(575~673) 죽음.
첫댓글 '박씨(시조:박혁거세)=왕명:거서간',.....'석씨(시조:석탈해)=왕명:이사금',.....김씨(낙랑도래인)=왕명:마립간(메르켄)',....으로 단순하게 분류하셨는데,..우연히 모든 석씨가 '이사금'이었었던 것은 맞지만,....모든 박씨왕이 '거서간'이었던 것은 아니며,...또한 모든 김씨도 '마립간'이었었던 것은 아닙니다....따라서 신라의 왕성(왕통)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 '거서간', '이사금', '마립간'이라는 호칭을 먼저 규명해야 한다고 봅니다. 북극님은 이 '거서간', '이사금', '마립간'이라는 호칭을 어떻게 이해하시나요?...
삼국사기신라본기의 내물이사금 이전시기가 짜집기 되어있다는 결론입니다. 박씨 다음에 석씨고 석씨 다음이 김씨죠.
박석김이 섞여 있다는 것은 이 기록이 짜집기 되어 있다는 것이죠. 왜 그래야 했나고 반문하시면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편찬하면서 기년을 2주갑 아래로 설정된 일본서기를 참조하다 보니 그렇게 되었을 거라 생각합니다.
백제가 남백제 북백제 2개의 백제가 있었지만 하나의 백제로 통합하면서 기년조작은 필수가 되었습니다.
이를 인정하지 못하시면 한국의 고대사를 풀기 어렵습니다. 소설을 쓰게 되는 것이지요.
조만간 기년조작의 결정적 증거를 올릴텐데, 아니라고 하시면 어쩔 수 없습니다만.
거서간과 마립간의 간은 <징기스칸>할때의 간<칸>이며 우두머리를 의미합니다. 이는 이들 출신이 북방민족임을 간접적으로 알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사금은 석씨로 남방민족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특히 이삼금때 호공이란 단어가 보이는데 이는 남쪽에서 배타고 온 무리로 보입니다. 일본일수도 있고 더 먼 남쪽일수도 있다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