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0월 11일 수요일(癸卯년 壬戌월 壬寅일)
乾
□壬壬癸
□寅戌卯
甲乙丙丁戊己庚辛
寅卯辰巳午未申酉
오랜만에 종일 자격시험 답안지 채점을 했다. 오늘 우편으로 온 자격시험 답안지가 16개. 채점을 하는 중 옛 생각이 났다. 컴퓨터로 채점하기 전에는 색연필로 했었다. 어느 학교는 시험 보고 나면 빨간 색연필을 두 개씩 주었다. 사람은 큰 것보다는 작은 것에 감동한다. 작은 색연필 두 자루를 받고 좋아했던 기억이 난다. 색연필 채점에서 컴퓨터로 전환되는 시기에는 기득권층의 저항이 만만치 않았다. 색연필 채점이 좋다는 것이다. 자동차 변속기가 스틱에서 오토로 전환할 때도 사람들은 저항했다. 사람은 본능적으로 변화를 싫어한다. 익숙한 방식으로 살고 싶은 것이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좋아하든 말든 변화는 일어난다. 변화에 적응하고 익숙해져야 한다. 천간을 변해가는 지지에 맞춰야 살아남을 수 있다. 가을이 오면 익숙했던 여름옷을 벗고 가을옷을 입어야 한다.
시험을 볼 때는 틀리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한다. 보통 점수를 잘 맞으려고 한다. 주식을 할 때도 돈을 벌려고 하지 말고 잃지 않으려고 해야 한다. 손절매(損切賣)이다. 뭐든지 역발상(逆發想) 태도가 필요하다. 역지사지(易地思之)도 마찬가지다. 명리학을 배우면 천간을 지지 현실에 맞추려고 할 것이다. 천간으로만 사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생각대로 이루어지고 노력하면 된다는 사람이 많다.
12운성은 명리학의 종착지이다. 사주팔자는 천간과 지지로만 되어 있고 12운성은 천간과 지지의 관계를 다루기 때문이다. 음양은 밤과 낮처럼 대등한데 기존 12운성표는 음을 무시하고 양 중심으로 되어 있었다. 이번 자격시험 채점을 하면서 12운성을 자유자재(自由自在)로 다루는 것을 보고 기뻤다. 『새로운 12운성』을 숙달하면 오행으로 팔자를 보는 습관을 버리고 천간 지지 중심으로 보게 된다. 『새로운 12운성』이라는 정확한 눈금을 가진 저울을 들고 있으면 어떤 팔자라도 무게를 잴 수 있을 것이다.
乾
□壬壬癸
□寅戌卯
甲乙丙丁戊己庚辛
寅卯辰巳午未申酉
팔자의 본부는 월지이다. 월지는 나머지 일곱 글자를 통제한다. 연간 癸水는 월지에서 묘(墓)이고, 월간 壬水는 월지에서 관대이다. 일간 壬水는 월지 戌에서 관대이다. 월지가 장성살이므로 연지 卯는 월지 戌에서 천살이고, 일지 寅은 월지 戌에서 지살이다. 이렇게 월지는 팔자 원국의 나머지 일곱 글자를 통제한다.
각 지지는 동주(同柱)의 천간을 통제한다. 연간 癸水는 연지 卯에서 목욕이고, 월간 壬水는 윌지 戌에서 관대이다. 그리고 일간 壬水는 일지 寅에서 병(病)이다. 결론적으로 천간은 지지의 통제를 받으니 연간 癸水는 월지와 연지에서 묘(墓) 중 목욕이다. 월간 壬水는 관대 중 관대이고 일간 壬水는 월지와 일지에서 관대 중 병(病)이다.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寶書)라는 책을 새로운 명리학 이론에 근거해서 재해석해 본다.
****
二月 癸水
□癸□□
□□卯□
二月癸水 不剛不柔 乙木司令 洩弱元神 專以庚金為用 辛金次之。
卯월 癸水는 불강불유(不剛不柔)한데 乙木이 사령(司令)하여 원신(元神)을 설(洩)하여 약(弱)하니 오직 庚金으로 용신(用神)을 삼고 辛金을 차용(次用)한다.
해설) 卯월에는 乙木이 사령한다는 말부터 틀렸다. 음양의 법칙에 의해 卯월은 甲木이 제왕이고 乙木은 태(胎)다. 乙木이 사령한다고 하는 이유는 지장간 때문이다. 卯의 지장간에 甲乙이 있어서 乙木이 강한 것으로 착각하게 만든다. 심지어는 卯木=乙木이라는 사람까지 있다. 乙木도 卯木도 둘 다 음간으로 같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다 보니 모든 학문의 근본이 되어야 할 명리학이 거리를 떠도는 신세가 되었다.
癸水를 乙木이 수생목으로 설기(洩氣)하니 이때는 庚金으로 금생수 해주고 庚金이 없으면 辛金으로라도 금생수 해주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전제가 잘못되었으므로 나머지 설명은 무효(無效)이다.
庚辛俱透 無丁出干者 貴由科甲。無庚辛者常人。
庚辛金이 함께 투하고 丁火가 출간하지 않으면 과거에 급제하여 귀하고, 庚辛金이 없으면 평범하다.
해설) 卯월 癸水는 약하니 庚辛金이 함께 천간에 드러나서 금생수 해주면 좋다는 설명이다. 이때 丁火가 있으면 화극금으로 金이 손상되니 丁火가 없어야 과거에 급제한다고 한다. 과거급제가 팔자 원국 몇 개의 글자로 정해진다는 말인가? 말이 되는 소리를 하자. 오행의 상생상극은 십신 정할 때만 쓴다. 팔자 분석은 천간과 지지 중심이 되어야 한다. 기본을 무시하고 서두르면 안 된다.
或庚透辛藏 榮封有准。庚藏辛透 亦有衣衿。
혹 卯월 癸水에 庚金이 투하고 辛金이 암장되면 벼슬에 봉해지고, 庚金이 암장되고 辛金이 투해도 역시 의금(衣衿)은 있다.
해설) 卯월 癸水는 오로지 庚辛金 타령이다. 卯월 癸水에 庚金이 투하고 辛金이 암장되면 벼슬에 봉해지고, 庚金이 암장되고 辛金이 투해도 역시 의금(衣衿)은 있다고 한다. 庚金과 辛金 둘 중 하나는 투하고 다른 하나는 지장간에 있으면 좋다는 식이다. 庚金과 辛金을 같은 金으로 보고 있다. 밤과 낮이 같다는 것과 같다. 음간과 양간을 구분하지 못하면서 명리학을 공부하고 있다. 몇 년을 공부해도 제자리를 맴도는 이유이다.
庚辛兩藏 富中取貴 或刀筆揚名。
庚辛金이 모두 암장되면 부중취귀하거나 혹은 도필로 이름을 날린다.
해설) 卯월 癸水 팔자에 庚辛金 타령은 계속된다. 庚辛金이 둘 다 지장간에 있으면 부중취귀하거나 혹은 도필로 이름을 날린다고 한다. 역시 근거 없는 지장간 이론과 음간과 양간을 구분하지 못하고 庚辛金이라고 하였으니 설명은 무효이다.
或庚辛重見 有己丁出干者亦貴。
혹 卯월 癸水에 庚辛金이 중(重)하고 丁火와 己土가 출간할 때도 역시 귀(貴)하다.
해설) 丁火는 庚辛金을 화극금을 하므로 좋지 않지만 庚辛金이 지나치게 많으면 丁火로 화극금 해도 좋다는 설명이다. 庚辛金이 너무 많으면 금생수로 일간 癸水도 강해지므로 그때는 己土로 토극수 해도 좋다는 돌리고 돌리는 수법이다. 정말 이런 책은 백 번을 읽어 외운다고 해도 실제 사주풀이 할 때는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 결과를 알고 두들겨 맞추려고 할 때 사용하는 수법이다.
或支成木局 月時又見木者 為洩水太過 定主貧困多災。
혹 卯월 癸水가 지지에 목국을 이룰 때 월시(月時)에 또 木이 투간하면 癸水의 설기(洩氣)가 심해 명주(命主)는 빈곤하고 재난이 많다.
해설) 지지에 목국이라는 말이 또 나왔다. 지엽적인 것을 많이 외우고 있으면 많이 아는 것처럼 보인다. 뿌리는 약하고 잔가지만 무성한 나무와 같다. 卯월은 甲木이 제왕이다. 목국을 언급하지 않아도 된다. 지지에 목국이 있고 천간에 木이 또 있으면 수생목으로 설기 되어 일간 癸水가 약해지니 빈곤하고 재난이 많다는 설명이다. 온통 오행 기준이다.
부귀빈천(富貴貧賤)은 일간의 강약과 아무 관계가 없다. 팔자 원국에서 그릇의 종류와 크기가 결정된다. 팔자 원국의 그릇의 종류와 크기를 지키면 탈이 없고, 지키지 않으면 어려움이 생긴다. 개미는 개미로 살고, 독수리는 독수리로 살 때 행복하다. 송충이는 솔잎을 먹을 때 행복하다. 개미가 독수리가 되려고 하거나 송충이가 소고기를 먹으려고 할 때 불행이 시작된다.
即運入西方 亦屬無用。
이때는 운(運)이 서쪽으로 가도 역시 쓸모가 없다.
해설) 지지에 목국이 있고 천간에 木도 있으면 일간 癸水가 수생목으로 약해지는데 이 경우에는 운이 서쪽 申酉戌 金으로 가서 금생수 해도 쓸모가 없다고 한다.
이런 설명은 원국과 운의 관계를 모르고 하는 소리이다. 운이 왕(王)이고 원국은 신하(臣下)이다. 원국이 서방 申酉戌로 가면 팔자 원국의 모든 글자는 申酉戌에 복종해야 한다. 가을이 오면 팔자가 어떻게 생겼든지 모두 운에 복종하고 가을옷을 입어야 한다.
나이스사주명리, 사주 상담 (e-nicesaju.com)
2016 LMS 공지사항 (명리고전 다시쓰기) 자평진전 재해석 3권으로 나왔습니다.^^ (e-nicesaju.com)
첫댓글 빨간 색연필~~ 늘 품격있는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