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7일 개회된 울산시의회 201회 2차 정례회에서 황세영 시의장이 인사말을 하고있다. © 편집부 |
|
울산시의회(의장 황세영)가 의정비 인상을 추진하다 지역사회에 부정적인 여론이 확산되자 다시 동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21일 안도영 시의회 의회운영위원장은 "의정비와 관련해 아직까지 제대로 논의된 것은 없지만 지역의 경제 현실을 감안해 동결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당초 시의회는 물가상승률을 고려해 전국 광역의회의 `평균 인상액 수준 이하`를 조건으로 의정비 인상을 추진했었다.
그러나 조선과 자동차 등 지역 주력산업의 부진으로 체감 경기가 바닥인 상황에서 시민의 대의기관인 시의회가 `제 밥그릇 챙기기`에 급급하다는 비난이 쏟아지자 이를 철회할 것으로 보인다. 정의당 울산시당은 지난 20일 `잿밥에 눈 어두운 울산시의회`라는 논평을 내고 시의회의 의정비 인상 추진에 대해 강력히 비판했다.
정의당은 이날 논평에서 "지금 울산의 경제사정은 전국 어느 곳보다 심각한 상황에 처해있다"며 "지역 경제가 이토록 어려운 지경인데 누구보다 민생을 더 챙기고 솔선수범해서 허리띠를 졸라매어도 시원치 않을 시의원들이 자신들의 임금을 인상하려한다고 하니 눈뜨고 보기 민망할 지경"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몇 년째 의정비가 동결됐다는 점을 강변하고 있지만 울산시민 가운데 연봉 5천만원 이상 받는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살펴봐야 한다"며 "월수입이 200만원 남짓인 자영업자와 비정규직 노동자가 허다하다"고 강조했다.
정의당은 또 "시의원 대부분이 초선에 불과한데 대접받으려 시의원이 되었느냐"며 "자신들의 임금을 올리는데 신경 쓸 시간이 있으면 어려운 민생 경제를 되살리는데 시간을 쏟아 붓길 바란다"고 힐난했다.
현재 울산시의원들은 의정활동비와 월정 수당으로 연간 5천 814만원을 받는다. 이는 전국 17개 광역시의회 가운데 서울(6천378만원)과 경기(6천321만원), 인천(5천951만원)에 이어 4번째로 많은 금액이다.
울산시의회는 지난 2014년 의정비를 5% 인상 이후 4년간 동결해 왔다.시의회는 22일 의원총회를 열어 의정비 인상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에서 인상 또는 동결안이 확정되면 오는 29일 열리는 울산시 의정비 심의위원회에서 최종 확정된다. 정종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