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행 개요
○목적지: 전북 부안 변산 봉래구곡(직소폭포)
○산행일자: 2023년 8월 18일 금요일 날씨 맑음
○산행코스:원암→재백이고개→직소폭포→분옥담→선녀탕→직소보→자연보호헌장→실상사터→사자동→내변산주차장
○산행거리: 5.7km
○소요시간: 4시간 58분 ( 2시간 이상 쉬는 시간이 많았음)
○참가 산악회: 광주금광산악회
2. 코스 특징
출발지에서 재백이고개까지는 살짝 오르는 길이고 그 이후는 계곡의 주변길로 완만한 하산길이다.
이 길은 직소폭포를 보는 것이 큰 목표이나, 물이 작게 흘러 웅장한 폭포수는 볼 수가 없었다.
봉래구곡은 무엇인가 궁금하지만 아래 사진 설명 부분에서 알 수 있다.
3. 산행 지도
<사진 01> 지형도
<사진 02> 통계표
<사진 03> 차트
4. 트랙 파일
○트랙 파일명:
20230818_부안군_원암_재백이고개_직소폭포_분옥담_선녀탕_직소보_자연보호헌장_실상사터_사자동_내변산주차장_약5.7km_혜윰.gpx
○수신기 및 기록:
GNSS : u-blox MAX-M10S
Record App : Locus Map Classic
5. 사진
○봉래구곡(蓬萊九谷 )
변산반도국립공원의 신선대 신선샘에서 발원한 계류가 직소폭포를 지나 해창으로 이어지는 계곡을 일컫는다.
내변산의 아름다운 절경을 따라 흐르던 물줄기는 직소폭포에서 힘찬 용트림을 한 후 다시 백천과 합류하여 잠두 마을의 암지까지 아홉 곳에 아름다운 절경을 만들어 놓으니 이곳이 봉래 9곡이다.
그 길이는 무려 20여 km에 이른다.
<사진 04>직소폭포에서 봉래구곡 새겨진 바위까지
위 지도의 상단에 있는 산길을 따라가 보면 "봉래구곡"이라고 새겨진 바위를 볼 수 있다.
냇물 사이에 있는 바위를 찾아가 사진을 찍었다.
<사진 05> 봉래구곡 안내판
<사진 06> 봉래구곡
봉래구곡(蓬萊九曲) 안내판 내용
변산반도국립공원의 신선대 분초대 망포대를 시작으로 한 물줄기가 직소폭포를 지나 해창으로 이어지는 곡으로,
제1곡 대소, 제2곡 직소폭포, 제3곡 분옥담, 제4곡 선녀탕, 제5곡 봉래곡, 제6곡 영지, 제7곡 금강소, 제8곡 백천을 거쳐 제9곡 암지까지 아홉 곡의 비경을 만들며 흐른다.
그중 이곳의 넓은 바위 위에 "봉래구곡"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사진 07> 봉래구곡 새겨진 바위
<사진 08> 봉래구곡 글자
<사진 09> 봉래구곡의 뜻과 새기는 사람
<사진 10> 봉래구곡의 9곡 내용
바위에 글자 새기는 사람은
*김석곤(金晳坤,1874-1948): 호는 동초(東樵) 또는 눌어(訥語)입니다.
변산의 봉래구곡 외에도 내장산, 칠보산, 모악산 등의 바위에 그의 글씨가 새겨져 있습니다.
○직소폭포(直沼瀑布)
계류를 따라 1km 정도 올라가면 높이 20m가 넘는 절벽 아래로 떨어지는 우렁찬 소리와 함께 제2곡인 직소폭포가 나온다. 직소폭포는 변산 8경의 제2경으로 용이 승천한 곳이라는 실상용추(實相龍湫)라 부르며, 폭포 아래 둥근 소(沼) 수심이 깊어 보는 이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다.
<사진 10> 직소폭포 안내판
<사진 11> 길 위에서 내려다본 직소폭포
<사진 12> 직소폭포로 내려간 회원들
<사진 13> 직소폭포로 내려가는 계단
<사진 14> 부안 직소폭포 일원 (명승 제116호)
<사진 15> 선녀탕 가는 길 이정표
<사진 16> 직소보 주변 경관 1
<사진 17> 직소보 주변 경관 2
<사진 18> 직소보 주변 경관 3
<사진 19> 직소보 경관 1
<사진 20> 직소보 경관 2
<사진 21> 직소보 경관 3
<사진 22> 직소보 경관 4
<사진 23> 직소보 경관 5
○ 그 외 사진
<사진 24> 원암 마을 길가 능소화
능소화는 명예, 기쁨, 그리움, 기다림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다.
<사진 25> 원암 마을의 새로운 집
<사진 26> 탐방로 입구
<사진 27> 마을길이 끝나고 탐방로 입구
<사진 28> 재백이고개를 향하여 가는 길
여기서부터 약간의 오르막길로 다양한 길 모양이 나타난다. 이 길은 돌로 되어있다.
<사진 29> 여기는 흙 길
<사진 30> 원암마을에서 0.7km 이정표
<사진 31> 직소폭포 2.0km 이정표
<사진 32> 고개를 들어 먼 산을 보니
<사진 33> 까칠한 길 모양
<사진 34> 재백이고개
원암마을에서 출발하여 재백이고개에 도착한다. 여기까지는 약간 오르막이지만 이후부터는 내리막 길이다.
<사진 35> 재백이삼거리 이정표
원암마을에서 1.2km 왔으며 직소폭포까지는 1.5km를 더 가야 한다.
<사진 36> 재백이고개 전망대를 건설 중
<사진 37> 탐방로 안내도
<사진 38> 재백이고개를 지나 만난 다리
실상사골에서 흘러내려오는 계곡물 직소천이다
<사진 39> 물이 많지 않고 노라스름한 색상
<사진 40> 물이 고일만한 웅덩이도 물이 적다.
<사진 41> 내변산 주차장 2.4km 남은 이정표
<사진 42> 데크길 곧 직소폭포가 나타난다
직소폭포를 이미 지났다.
직소폭포 사진은 앞에서 별도로 보였다.
그리고
봉래구곡이 새겨진 자위도 지났다.
이 사진도 앞에서 게재하였다.
<사진 43> 다 지나고 여기는 봉래교
<사진 44> 한가로운 가로수길의 멀리 산에 큰 바위
<사진 45> 부안 실상사지
<사진 46> 시선은 먼산에
<사진 47> 변산반도국립공원 주차장
<사진 48> 곰소 갯마을젓갈에서 하산주와 석식
끝.
첫댓글 역시 최고 입니다.
산행 후기 정리가 잘되어 쉽게 이해하면서 즐기고 갑니다